다양한 형식의 문학 창작과 진보적 사상
유종원집(柳宗元集)

- 제목
- 유종원집(柳宗元集)
- 저자
- 유종원 지음,오수형 역,이석형 역,홍승직 역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4-04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고전문학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중국문학
제품특징
번역문, 원문 구성
제품소개
『유종원집(柳宗元集)』은 유종원의 시문을 모두 모은 제품입니다. 저자의 절친한 친구이자 시인인 유우석(劉禹錫)에 의해 처음 정리된 이래 긴 기간을 지나며 여러 사람들에 의해 잘 편집 정리되었습니다. 본 번역서의 저본인 중국 중화서국의 '유종원집'은 교감이 거의 완전하며 풍부한 자료를 부록하고 있습니다. 유종원은 당만이 아니라 중국 역사상 대단히 걸출한 문장가이며 사상가이고 정치가입니다. 그는 시가에서도 능하여 시와 문 모두에서 크게 성과를 거둔 대표적인 문인으로 다양한 형식의 문학 창작과 진보적 사상을 엿볼 수 있는 풍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저자소개
오수형
유종원
이석형
서울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대만대학 중문연구소에서 문학석사, 서울대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 인문대학 중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 중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대만 정치대학의 객좌교수로 강의하고, 중국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에서 연구하였으며, 초대 한국중국산문학회장을 지냈다. 주로 중국 고전산문과 관련된 분야를 연구하며 강의한다. 『당송팔대가의 산문세계』, 『중국우언문학사』, 『욱리자』, 『유종원시선』 등의 책과 「유종원산문연구」, 「명대의 우언문학」, 「당대의 산문미학」 등의 논문이 있다.
유종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사람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문인이다. 자는 자후(子厚)이며 유하동(柳河東) 또는 유유주(柳柳州)라고도 부른다. 21세에 진사과에 급제한 후에 정치 혁신을 꾀하는 집단에 참여하였다가 몰락하여 10년 동안 벽지인 영주(永州)에서 지내며 창작에 몰두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다. 후에 남방인 유주(柳州)에서 4년 동안 자사를 지내다가 47세의 나이로 임지에서 세상을 떠났다. 한유(韓愈)와 더불어 당대의 고문운동을 선도하며 문체개혁에 나서 산문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특히 우언문(寓言文)과 산수유기(山水遊記)에 뛰어났으며, 의론문과 전기문도 뛰어나다. 시가에서도 성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하늘과 인간의 영역을 나누어 왕권의 절대성에 반대하는 등 매우 진보적이었으며 유교와 불교의 통합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사회주의 이념 아래에서 뛰어난 유물론자로 대단히 높이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이석형
서울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인제대학교 중문과에서 조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중앙대 중어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중국문학사, 당시, 송사, 중국역대산문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만대학 및 복단대학에서 방문학인으로 연구한 바 있다. 주로 사학(詞學) 중심의 시가 방면에 연구를 집중하여, 저서로 『청말사학이론연구』, 공동 역서로 『두보초기시역해』, 『두보지덕연간시역해』, 『두보위관시기시역해』, 『두보진주동곡시기시역해』, 『두보성도시기시 역해』, 논문으로 「백우재사화연구」, 「주이준사론연구」, 「운간사파사학 연구」 등이 있다.
수록내용
본집 45권 수록 : 아시가곡(雅詩歌曲)ㆍ고부(古賦)ㆍ논(論)ㆍ변의(議辯)ㆍ비(碑)ㆍ비명(碑銘)ㆍ행장(行狀) 등으로 나누어 수록
외집, 부록 : 부문지(賦文誌), 표계(表啓), (補遺) 등 수록
외집, 부록 : 부문지(賦文誌), 표계(表啓), (補遺) 등 수록
목차
- 『유종원집』 전언(前言)
- 제1권 아시가곡(雅詩歌曲)
- 제2권 고부(古賦)
- 제3권 논(論)
- 제4권 의변(議辯)
- 제5권 비(碑)
- 제6권 석교비(釋敎碑)
- 제7권 비명(碑銘)
- 제8권 행장(行狀)
- 제9권 표명갈뢰(表銘碣誄)
- 제10권 지(誌)
- 제11권 지갈뢰(誌碣誄)
- 제12권 표지(表誌)
- 제13권 지(誌)
- 제14권 대(對)
- 제15권 문답(問答)
- 제16권 설(說)
- 제17권 전(傳)
- 제18권 소(騷)
- 제19권 조찬잠계(弔贊箴戒)
- 제20권 명잡제(銘雜題)
- 제21권 제서(題序)
- 제22권 서(序)
- 제23권 서(序)
- 제24권 서(序)
- 제25권 서(序)
- 제26권 기(記)
- 제27권 기(記)
- 제28권 기(記)
- 제29권 기(記)
- 제30권 서(書)
- 제31권 서(書)
- 제32권 서(書)
- 제33권 서(書)
- 제34권 서(書)
- 제35권 계(啓)
- 제36권 계(啓)
- 제37권 표(表)
- 제38권 표(表)
- 제39권 주장(奏狀)
- 제40권 제문(祭文)
- 제41권 제문(祭文)
- 제42권 고금시(古今詩)
- 제43권 고금시(古今詩)
- 제44권 「비국어(非國語) 상(上)」
- 제45권 「비국어(非國語) 하(下)」
- 외집(外集) 상권(上卷) 부문지(賦文誌)
- 외집(外集) 하권(下卷) 표계(表啓)
- 외집(外集) 보유(補遺)
- 부록(附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