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모든 것
전통 장신구

- 제목
- 전통 장신구
- 저자
- 장숙환 저,장숙환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예술일반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조선시대 여성의 장신구는 어떠한 것이 있었으며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궁중이라는 독특한 공간에서 쓰인 장신구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저자소개
장숙환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의류직물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직물학과 교수이며 동 대학 담인복식미술관 관장으로 있다. 여러 차례 전통 장신구 해외 전시를 가졌고 전통 장신구에 관한 다수의 글이 있다.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의류직물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직물학과 교수이며 동 대학 담인복식미술관 관장으로 있다. 여러 차례 전통 장신구 해외 전시를 가졌고 전통 장신구에 관한 다수의 글이 있다.
수록내용
조선시대 여성의 장신구의 종류, 용도 수록
- 장신구의 역사
- 조선시대 장신구의 유형
- 여자 수식품(女子首飾品)
- 첩지(疊紙)
- 비녀〔簪〕
- 뒤꽂이
- 떨잠
- 댕기〔唐只〕
- 여자 쓰개〔冠帽〕
- 화관(花冠)
- 족두리(簇頭里)
- 궁중의 장신구
- 영왕비(英王妃)의 수식품(首飾品)
- 잠(箴)
- 유소(流蘇)
- 차(釵)
- 대요(臺腰)
- 화유옹주(和柔翁主)묘 출토 장신구
- 참고 문헌
- 장신구의 역사
- 조선시대 장신구의 유형
- 여자 수식품(女子首飾品)
- 첩지(疊紙)
- 비녀〔簪〕
- 뒤꽂이
- 떨잠
- 댕기〔唐只〕
- 여자 쓰개〔冠帽〕
- 화관(花冠)
- 족두리(簇頭里)
- 궁중의 장신구
- 영왕비(英王妃)의 수식품(首飾品)
- 잠(箴)
- 유소(流蘇)
- 차(釵)
- 대요(臺腰)
- 화유옹주(和柔翁主)묘 출토 장신구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