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대(漢代) 초기의 백과전서

회남자(淮南子)

제목
회남자(淮南子)
저자
유안 지음,이석명 역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8-0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중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특징

본문 설명 이미지, 표 10컷 수록

제품소개

『회남자』한대(漢代) 초기 회남(淮南) 지역의 제후였던 회남왕 유안(劉安)의 주도하에 여러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술한 집단 저작 『회남자』를 번역한 제품입니다. 한대(漢代) 초기에 널리 유행하였던 도가 계통의 정치철학 즉 황로학의 대표 작품으로 꼽히는 이 작품은 자연의 이치와 인간 세상의 이치를 두루 말함으로써 통치자가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통치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전의 문화와 사상을 종합하고 새로운 한대 문화를 열고 있는 문헌으로 꼽히는 이 제품을 통해 중국적 문화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자소개

유안
서한 초기 문제(文帝)의 재위 기간 중에 회남왕 유장(劉長)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니, 그는 한고조 유방(劉邦)의 손자이자 5대 황제 한무제의 숙부가 된다. 그의 아버지가 반역 혐의를 받고 자살한 후, 문제에 의해 아버지 유장에 이어 회남왕으로 봉해졌다. ‘무’(武)에 뛰어난 그의 아버지 유장과 달리 그는 ‘문’(文)에 밝고 뛰어났다. 이런 문재(文才)를 바탕으로 널리 학자들을 초빙해 그들과 함께 많은 글을 짓고 책을 완성하였다. 현존하는 『회남자』를 비롯해 『외서』(外書), 『중편』(中篇) 등 다수의 저술을 남겼다고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 역시 반역 혐의를 받고, 무제(武帝) 시대에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이석명
대학을 졸업하고 태동고전연구소[芝谷書堂]에서 3년간 한학 공부를 하였다. 고려대에서 「회남자의 천인상통사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회남자의 무위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백서노자-백서본과 곽점본·왕필본의 텍스트 비교와 해석』, 『회남자-한대 지식의 집대성』, 『노자와 황로학』 등이 있으며, 『문자』,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 등을 번역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해로·유로의 황로학적 성격과 그 사상적 의미」,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의 장생불사 사상과 그 도교적 맹아」, 「노자상이주를 통해 본 노자사상의 종교화 작업」, 「노자지귀의 비판정신과 무위정치론」 등을 발표하였다.

수록내용

제1편 원도(原道)
제2편 숙진(?眞)
제3편 천문(天文)
제4편 지형(墜形)
제5편 시칙(時則)
제6편 남명(覽冥)
제7편 정신(精神)
제8편 본경(本經)
제9편 주술(主術)
제10편 무칭(繆稱)

제11편 제속(齊俗)
제12편 도응(道應)
제13편 범론(氾論)
제14편 전언(詮言)
제15편 병략(兵略)
제16편 설산(說山)
제17편 설림(說林)
제18편 인간(人間)
제19편 수무(脩務)
제20편 태족(泰族)

제21편 요략(要略)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