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장자 평전 : 소요하는 철학자

제목
장자 평전 : 소요하는 철학자
저자
왕꾸어똥 저
발행처
미다스북스
발행년도
2006-08-04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장자 #평전 #동양철학
  • [KRpia 기본분류] 인물전집∙사전 > 인물전집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백성들의 고통을 동정하며 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하는 것은 물론, 중국 고대 이론 사유의 큰 발전을 가져온 “하늘”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과 유물론, 변증법의 시원이 되는 상대주의적 인식론과 운동 변화에 대한 사상, “무위(無爲)”로 요약되는 새로운 정치 사상을 유포하였다. 또한 선진(先秦) 시기 도가문화의 기수이자 고대 중국의 정론성 글과 철학적 논리 사유를 통일시킨 산문의 개척자로 중국문학 발전에도 커다란 공을 세웠다. 이렇게 장자의 사상은 개척정신과 창조성을 갖추고 있었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한 “진보적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장자 사상의 핵심은 “진보” - 거대한 변혁의 시기에 생겨난 비범한 사상 장자의 사상에는 시대의 흔적이 깊이 각인되어 있다. 그가 살았던 때는 전국시기 중기로 정치, 경제적 변혁기였으며 전쟁과 제자백가의 난립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평생 생활고에 시달리며 은거했기 때문에 “비관적 염세주의자”로 비쳐지기도 했으나 사실 장자는 세상을 탐색하는 소요파(逍遙派)인 동시에 자신의 이상에 충실한 사람이었다. 통치자들과 영합하지 않았을 뿐이지 끊임없이 혼탁한 세상과 위정자들을 풍자하고 비판하는 글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세상에 알렸다. “걸송(桀宋)”의 폭정으로 지식인이 뜻을 펼칠 수 없었던 시기에 장자는 저술활동을 통해 “마음에 맺힌 바가 있지만 뜻을 이룰 수 없어 그 억울함을 풀어” 내며 현실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살았다. 그는 글 속에서 자신의 철학적, 정치적 관점, 문학관과 인생 철학, 과학적 상상 등을 펼쳤고 이 때문에 [장자]는 고대 중국의 종합적 학술 저작이자 2천여 년간 지식인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수록내용

저자의 말

서문

제1장 거대한 변혁의 시기에 비범한 사상이 나오다
1. 정치적 혼란으로 경제적 발전이 지연되다
2. 걸송의 폭정으로 지식인이 뜻을 펼칠 수 없었다
3. 세상을 질타하면서도 세상 속에서 글을 쓰다

제2장 ''하늘에 올라 안개 속을 떠돌기를'' 바라다
1. 장자의 우주론 - 천문과 천론
2. 하늘에 올라 안개 속을 거닐고, 무극을 배회하다
3. 전통관념에 대한 혁명

제3장 도의 이름을 빌어 천지의 근본을 개괄하다
1. 하나에 능통하면 만사가 잘 된다
2. 천지 만물의 근본은 ''도''에 있다
3. 장자의 ''도''와 노자의 ''도''

제4장 의식은 인식의 기준이 될 수 없다
1. ''된다''가 있으면 ''안 된다''가 있다
2. 이것 또한 하나의 시비이고, 저것 또한 하나의 시비이다
3. 삶은 유한하지만 앎은 끝이 없다
4. 이름이 실재에 꼭 알맞게 일치된다

제5장 음직여서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
1. 저것과 이것은 서로 대립하면서도 서로 의존한다
2. 움직여서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
3. 변화를 견지하고 절대화를 반대한다

제6장 윗사람은 반드시 무위하고 아랫사람은 반드시 유위해야 한다
1. 장자는 어떤 ''유위''를 반대하였는가?
2. 장자가 말한 ''무위''의 참뜻
3. 장자 무위사상의 양면성

제7장 소박하고 천방한 인생철학
1. ''소박''하고 ''천방''한 인생
2. 마음을 깨끗이 하고 좌선을 통해 집념을 버린다
3. 재능을 감추고 자취를 숨긴다

제8장 산문의 새로운 장을 열다
1. 명확한 입장, 뚜렷한 애증
2. 산문의 새로운 장을 연 창작 양식
3. 말을 그대로 좇으면 뜻을 해친다

제9장 진한 이후 장자학설의 운명
1. 후대 사람들이 실천한 ''무위''론
2. 장주를 빙자한 현학
3. 장자 사상의 종교적 이용
4. 시대를 초월한 문단의 스승

제10장 2천여 년이 지났지만 논의는 분분하다
1. 평가의 기준
2. 장자 사상의 진보성
3. 장자의 한계

미주

연관검색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