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의 발생과 현대적 의미 조명
민화

- 제목
- 민화
- 저자
- 김영학 저,김영학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미술 - [KRpia 기본분류] 예술 > 미술
- [KDC ] 예술 > 예술
제품소개
민화가 발생한 요인을 규명하면서 사람의 마음을 끄는 원인을 분석하고 서양의 근대 미술과의 비교를 통해 민화의 창조성이 지닌 가치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특히 민중과 호흡을 같이한 우리 민족 예술로서의 민화를 사진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저자소개
김영학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서울교육대학 교수,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교수와 동대학 가정대 학장을 역임했다. 현재 정산 고등기 자료관 관장으로 있다. 1958년 한국 최초의 조각 개인전을 시작으로 국전 초대 작가를 거쳤고, 1991년 제2회 조각 개인전을 가졌다. 저서로는 「 조각 작품집」 「미술교육」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민화는 한국 민족의 순수한 감정표현’(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논문, 1992, 3), ‘반가상 조각’(서울교대논문집 2호, 1969, 3) 등 다수가 있다.
수록내용
민화를 사진과 함께 수록
- 머리말
- 민화의 발생
- 한국의 자연 환경
- 산악과 신도 문화
- 한국의 기후
- 한국의 가옥 구조
- 도배와 민화
- 병풍과 민화
- 방랑 화가와 무낙관(無落款)
- 민화의 명칭과 종류
- 민화의 명칭과 개념
- 민화의 종류와 화제(?題)
- 산수도
- 금강산도
- 화조도
- 초충도
- 호표도(虎豹圖)
- 풍속도
- 문방도
- 문자회(文字繪)
- 비백회(飛白繪)
- 사신도
- 십장생도
- 민화의 재인식
- 민화에 대한 재인식
- 민화의 미관
- 미숙(未熟)의 표현
- 기억의 표현
- 대칭적 표현
- 약동감의 표현
- 민화의 특징적 표현에 대한 현대적 고찰
- 정면성에 의한 표현
- 동시적 표시에 의한 표현
- 환상에 의한 표현
- 의인화에 의한 표현
- 등측도법에 의한 표현
- 입체에 의한 표현
- 특수 기법에 의한 표현
- 맺음말
- 참고 문헌
- 머리말
- 민화의 발생
- 한국의 자연 환경
- 산악과 신도 문화
- 한국의 기후
- 한국의 가옥 구조
- 도배와 민화
- 병풍과 민화
- 방랑 화가와 무낙관(無落款)
- 민화의 명칭과 종류
- 민화의 명칭과 개념
- 민화의 종류와 화제(?題)
- 산수도
- 금강산도
- 화조도
- 초충도
- 호표도(虎豹圖)
- 풍속도
- 문방도
- 문자회(文字繪)
- 비백회(飛白繪)
- 사신도
- 십장생도
- 민화의 재인식
- 민화에 대한 재인식
- 민화의 미관
- 미숙(未熟)의 표현
- 기억의 표현
- 대칭적 표현
- 약동감의 표현
- 민화의 특징적 표현에 대한 현대적 고찰
- 정면성에 의한 표현
- 동시적 표시에 의한 표현
- 환상에 의한 표현
- 의인화에 의한 표현
- 등측도법에 의한 표현
- 입체에 의한 표현
- 특수 기법에 의한 표현
- 맺음말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