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고학파의 거두 고힐강의 자전적 서문
고사변 자서(古史辨 自序)

- 제목
- 고사변 자서(古史辨 自序)
- 저자
- 고힐강 저,김병준 역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2-0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중국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중국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특징
번역문
제품소개
『고사변 자서(古史辨 自序)』는 의고학파의 거두 고힐강의 자전적 서문 『고사변』 자서를 번역한 제품입니다. 『고사변』 자서는 1926년 고힐강이 『고사변』 제1책을 출간하면서 붙인 자서를 말하는데 20세기 중국 역사학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의고학파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 젊은 역사학자가 모든 민족이 하나에서 비롯되었다는 일원적 생각, 모든 지역이 원래부터 통일되어 있었다는 생각, 신화를 모두 인격화시키려는 생각, 고대가 황금시대였다는 생각 등의 전통적 권위에 도전하며 20세기 초 새롭고 올바른 것을 추구하려 했던 삶의 궤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천 년 동안 내려오던 전통적 우상을 과감히 깨고 중국고대사에 대한 비판적인 이해를 밝혔다는 점에서 중국사학사상 매우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받는 제품입니다.
저자소개
고힐강
김병준
20세기 초 중국의 역사학계에 새로운 전환점을 불러일으킨 의고학파(疑古學派)의 선두 역사학자였다. 소주(蘇州)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전통 한학교육을 받았고, 북경대학에 들어가 호적(胡適)과 전현동(錢玄同)의 영향을 받으면서 고서(古書)와 고대사에 대한 독자적인 체계를 세웠다. 정초(鄭樵)와 최술(崔述), 그리고 요제항(姚際恒)으로 이어지는 전통적 의고사조(疑古思潮)를 계승하였던 그는 각종 제자문헌은 물론 경전이 갖고 있는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그 안에 담겨 있는 고대사를 철저히 분석, 비판하였다. 그는 자신의 견해를 둘러싸고 일어난 고대사 논전을 <고사변>으로 묶어 출판하였고, 그 제1책에 자신의 학문적 입장과 형성 배경을 적은 장문의 자서를 덧붙였다. 1931년 9.18사변 이후 그는 항일운동전선에 뛰어들어 대중의 항일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각종 책자를 만드는 데 열중하였으며, 아울러 변경 지역의 역사와 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도 했다. 만년에는 『자치통감(自治通鑑)』의 총교(總校), 『이십오사(二十五史)』와 『청사고(淸史稿)』의 교점 작업 등을 담당하고 『상서(尙書)』학에 집중했다.
김병준
한림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중
저서 : 『중국고대 지역문화와 군현지배』(1997)가 있고, 역서로는 『순간과 영원-중국고대의 미술과 건축』(2001) 등
저서 : 『중국고대 지역문화와 군현지배』(1997)가 있고, 역서로는 『순간과 영원-중국고대의 미술과 건축』(2001) 등
수록내용
『고사변』제1책 자서
1.『고사변』출간의 경과
2. 서문 집필의 동기
3. 어린 시절의 경전 교육
4. 서당과 중학교 시절
5. 연극에 대한 취미
6. 금고문학 논쟁에 대한 관심
7. 목록학 및 학술사 연구
8. 북경대학 철학과 시절
9. 가요 수집과 고사 연구
10. 위서와 위사의 변증
나는 어떻게『고사변』을 편찬했는가?
1. 목록학에 대한 소양
2. 학술적 성향과 그 연원
3. 고대사 논전의 시작
4. 박사의 설립
5.『고사변』제1책~7책의 출간
6. '의고'의 참뜻
해제-『고사변』자서와 고힐강
1.『고사변』출간의 경과
2. 서문 집필의 동기
3. 어린 시절의 경전 교육
4. 서당과 중학교 시절
5. 연극에 대한 취미
6. 금고문학 논쟁에 대한 관심
7. 목록학 및 학술사 연구
8. 북경대학 철학과 시절
9. 가요 수집과 고사 연구
10. 위서와 위사의 변증
나는 어떻게『고사변』을 편찬했는가?
1. 목록학에 대한 소양
2. 학술적 성향과 그 연원
3. 고대사 논전의 시작
4. 박사의 설립
5.『고사변』제1책~7책의 출간
6. '의고'의 참뜻
해제-『고사변』자서와 고힐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