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불국(佛國)을 만나다
불국사

- 제목
- 불국사
- 저자
- 김상현 저,김동현 저,곽동석 저,김종섭 사진,곽동석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종교 > 불교
제품소개
신라인들이 그린 불국(佛國), 즉 이상적 피안의 세계를 옮겨 놓은 절 불국사의 창건 이야기와 역사의 수난 속에서 이어진 중창 과정, 귀중한 유물들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보여 준다.
저자소개
곽동석
김동현
김상현
부산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였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에술학과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였다(석사). 현재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신라 불상의 연구’ ‘고려 경상의 도상적 고찰’ ‘준제관음ㆍ백의관음 선각 방형 경상의 도상 해석-중국 준제관음 도상의 신해석-’ ‘동문선과 고려시대의 불교 조각’ 등 여러 편이 있다.
김동현
한양대학교 건축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고 일본 동경대학교 대학원에서 연수하였다. 경주고적발굴조사단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문화재전문위원,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장, 대한건축학회 역사분과위원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 고건축 단장」 「불국사」 등 여러 책과 논문들이 있다.
김상현
경상대학교 임학과 졸업,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석사를 취득,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와 동국대학교의 교수,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신라 화엄 사상사 연구」 「한국의 사찰」(총10권, 공저) 등이 있고 ‘석불사 및 불국사의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수록내용
불국사의 창건, 중창 과정, 귀중한 유물들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수록
- 창건의 정신
- 불국에서의 손짓
- 불국으로 가는 계단
- 불국사 창건
- 창건 시기
- 창건 설화
- 창건주 김대성
- 표훈과 신림
- 중창의 역사
- 고려 및 조선 전기의 불국사
- 임진왜란의 참화와 복구
- 1973년의 복원 공사
- 불국사 배치
- 대웅전 일곽
- 극락전 일곽
- 비로전, 관음전 일곽
- 대웅전, 극락전 관계
- 대웅전 일곽
- 대웅전
- 자하문
- 무설전
- 범영루
- 좌경루
- 회랑
- 극락전 일곽
- 극락전
- 안양문
- 회랑
- 비로전 및 관음전 일곽
- 비로전
- 관음전
- 기타 건물
- 일주문
- 불국사의 유물
-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
- 금동 아미타불 좌상
- 다보탑
- 석가탑
- 석가탑에서 나온 사리 장엄구
- 불국사 사리탑
- 석조물
- 기록을 통해 본 유물
- 참고 문헌
- 영문 요약
- 창건의 정신
- 불국에서의 손짓
- 불국으로 가는 계단
- 불국사 창건
- 창건 시기
- 창건 설화
- 창건주 김대성
- 표훈과 신림
- 중창의 역사
- 고려 및 조선 전기의 불국사
- 임진왜란의 참화와 복구
- 1973년의 복원 공사
- 불국사 배치
- 대웅전 일곽
- 극락전 일곽
- 비로전, 관음전 일곽
- 대웅전, 극락전 관계
- 대웅전 일곽
- 대웅전
- 자하문
- 무설전
- 범영루
- 좌경루
- 회랑
- 극락전 일곽
- 극락전
- 안양문
- 회랑
- 비로전 및 관음전 일곽
- 비로전
- 관음전
- 기타 건물
- 일주문
- 불국사의 유물
-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
- 금동 아미타불 좌상
- 다보탑
- 석가탑
- 석가탑에서 나온 사리 장엄구
- 불국사 사리탑
- 석조물
- 기록을 통해 본 유물
- 참고 문헌
- 영문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