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내부 구조를 하나하나 설명하다

사원건축

제목
사원건축
저자
신영훈 저,김대벽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기술과학 > 건축공학

제품소개

절집에는 기둥 하나, 돌 한 조각에도 사상과 정성과 상징이 배어 있다. 이 절집, 곧 사원 건축은 여러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는데 그 모든 요소 요소에 불교의 사상과 교리가 작용하고 있다. 사원에서 만나는 건축과 그 내부 장식, 봉안물의 관계를 불교 교리의 입장에서 관찰하고 서술하여 절집이 갖는 독특한 매력을 알게 해주는 책이다

저자소개

김대벽
함경북도 행영 출생으로 해라시아 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한국사진작가협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한국가면 및 가면극』, 『문화재대관(무형문화재편, 민속자료편)』등 중요민속자료 다수를 전담 촬영하였다.

신영훈
호는 목수(木壽), 1935년 개성 출생. 지유(指諭), 한옥문화원장, 전 문화재전문위원이다. 주요 작품으로 송광사 대웅보전, 보탑사 3층 목탑, 강화 학사재(學思齋), 영국박물관 한영당(韓英堂) 등이 있고, 저서로는 《한국의 살림집》(열화당, 1983) 《우리 문화 이웃 문화》(문학수첩, 1997)《우리 한옥》(현암사, 2000) 《한옥의 향기》(대원사, 2000) 《한옥의 조형의식》(대원사, 2001) 《조선의 정궁 경복궁》(조선일보사, 2003) 등이 있다.호는 목수(木壽), 1935년 개성 출생. 지유(指諭), 한옥문화원장, 전 문화재전문위원이다. 주요 작품으로 송광사 대웅보전, 보탑사 3층 목탑, 강화 학사재(學思齋), 영국박물관 한영당(韓英堂) 등이 있고, 저서로는 《한국의 살림집》(열화당, 1983) 《우리 문화 이웃 문화》(문학수첩, 1997)《우리 한옥》(현암사, 2000) 《한옥의 향기》(대원사, 2000) 《한옥의 조형의식》(대원사, 2001) 《조선의 정궁 경복궁》(조선일보사, 2003) 등이 있다.

수록내용

사원의 건축과 그 내부 장식 등 수록

- 사진으로 보는 사원 건축
- 절간
- 바위 속의 부처님
- 삼신
- 산 속의 맑은 터전
- 명당의 터전
- 가람의 경계
- 산문(山門)
- 산행길
- 월천공덕
- 장대
- 일주문
- 중문
- 층층다리
- 석대(石臺)
- 목탑
- 가람의 융성
- 석탑(石塔)
- 사리장치
- 조선조 태종이 명나라에 보낸 사리
- 법등(法燈)
- 마당의 석물(石物)
- 댓돌과 층계
- 소맷돌의 생각
- 금당(金堂)
- 불상 없는 법당
- 대웅보전과 대웅전
- 극락전ㆍ무량수전
- 약사전(藥師殿)
- 미륵전(彌勒殿)
- 팔상전ㆍ영산전
- 관음전ㆍ원통전
- 명부전ㆍ지장전
- 나한전ㆍ응진전
- 대장전
- 대장경판고
- 조사전ㆍ국사전
- 살법전ㆍ무설전
- 승당(僧堂)
- 승방(僧房)
- 후원ㆍ삼묵당
- 수각(水閣)
- 해우소(解憂所)
- 부도밭
- 비림(碑林)
- 사리탑
- 탑비
- 극락으로 가십시다
- 가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