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조선영화와 충무로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 제목
-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조선영화와 충무로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 저자
- 주창규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6-05-26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예술일반
- [KDC ]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제품소개
최근 들어 한국 영화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는 계기가 많아지고 있다. 베니스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감독으로 발돋움한 김기덕 감독과, 할리우드의 탑 배우 니콜 키드만을 캐스팅하며 화려하게 할리우드에 입성한 박찬욱 감독과 같은 경우만 봐도 확연히 알 수 있다. 이러한 한국 영화의 위상은 결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는 이처럼 한국 영화의 부흥기를 맞기까지의 굴곡 많은 한국영화사를 조선영화부터 살펴볼 수 있는 매력적인 학술서이다.식민적 근대성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사의 일곱 가지 결정적 순간들을 분석한 도서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에는 〈아리랑〉, 〈자유부인〉, 〈하녀〉 등 그동안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작품들을 다룬다. 저자는 한국영화사의 일곱 가지 결정적 순간들은 근대성의 경험과 관련하여 양가적인 관계를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설명한다. ‘근대화의 소용돌이를 헤치고 나가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런 근대성의 경험에 내재된 식민주의를 고통스럽게 경험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만 하는 이중적인 과정인 것이다. 한국영화사의 결정적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만큼, 지나온 과거를 되돌아보고 보완해가면서 더 나은 한국영화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유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수록내용
● 책머리에: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 1부 조선영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버나큘라 모더니즘
제1장 식민적 근대성의 멜로 드라마와 무성영화〈아리랑〉의 탈식민성
1. 탈신화화된〈아리랑〉의 재역사화
2. 식민적 근대성의 문화적 표현으로서 멜로 드라마와 '시간 지체'의 알레고리
3. 유럽이 지방화되었기에 제국이 검열할 수 없었던 저항
4. 유럽이 지방화된 공론장의 발견
제2장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무성영화 변사
1. 보이지 않는 조선영화문화의 목소리
2.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변사
3. '제3의 창작자'에서 비난과 통제의 대상으로, 무성영화 변사의 위상 변형
4. 근대의 시간과 경쟁하는 버나큘라 공간의 소리
제3장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1.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2. '새로운 주체'로서 '은막의 여배우'를 훈육하기
3. '침묵의 쿨레쇼프 효과'로서 '국민 여배우' 문예봉의 탄생
4.〈지원병〉과〈조선해협〉에서 수행되는 '문예봉'
제4장 '이행적 친일영화'의 식민지 파시즘과〈집 없는 천사〉의 이중의식
1.〈집 없는 천사〉의 이중성과 불온한 성격
2. '이행적 친일영화'와 '신체제 애트랙슌 '
3.〈집 없는 천사〉에 나타난 식민지 파시즘의 노출증
4. '사회진화론'과 '라마르크주의' 사이에서
● 2부 식민적 판타지, 비천한 스크린, 그리고 충무로 영화
제1장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의〈자유부인〉
1.〈자유부인〉의 기억과 침묵
2. 거세된 민족의 페티시로서〈자유부인〉
3.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로서 충무로 여성관객성
4. 움직이지 않고 움직이는〈자유부인〉의 시간성
제2장 식민적 판타지를 횡단하는〈하녀〉
1.〈하녀〉의 초국적 상상력과 보편성
2. 식민적 근대성의 기원적 판타지
3.〈하녀〉가 재현하는 근대의 실패로서 '모방'
4. '서발턴한 과거'와 식민주의로부터의 깨어남
제3장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과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1. 남자 둘 여자 하나, 한국영화사의 무의식적 장르
2.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
3. '민족적 영화 장르'의 가족 로망스
4. 광경으로서 풍경이 부재하는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 참고문헌
● 1부 조선영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버나큘라 모더니즘
제1장 식민적 근대성의 멜로 드라마와 무성영화〈아리랑〉의 탈식민성
1. 탈신화화된〈아리랑〉의 재역사화
2. 식민적 근대성의 문화적 표현으로서 멜로 드라마와 '시간 지체'의 알레고리
3. 유럽이 지방화되었기에 제국이 검열할 수 없었던 저항
4. 유럽이 지방화된 공론장의 발견
제2장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무성영화 변사
1. 보이지 않는 조선영화문화의 목소리
2.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변사
3. '제3의 창작자'에서 비난과 통제의 대상으로, 무성영화 변사의 위상 변형
4. 근대의 시간과 경쟁하는 버나큘라 공간의 소리
제3장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1.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2. '새로운 주체'로서 '은막의 여배우'를 훈육하기
3. '침묵의 쿨레쇼프 효과'로서 '국민 여배우' 문예봉의 탄생
4.〈지원병〉과〈조선해협〉에서 수행되는 '문예봉'
제4장 '이행적 친일영화'의 식민지 파시즘과〈집 없는 천사〉의 이중의식
1.〈집 없는 천사〉의 이중성과 불온한 성격
2. '이행적 친일영화'와 '신체제 애트랙슌 '
3.〈집 없는 천사〉에 나타난 식민지 파시즘의 노출증
4. '사회진화론'과 '라마르크주의' 사이에서
● 2부 식민적 판타지, 비천한 스크린, 그리고 충무로 영화
제1장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의〈자유부인〉
1.〈자유부인〉의 기억과 침묵
2. 거세된 민족의 페티시로서〈자유부인〉
3.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로서 충무로 여성관객성
4. 움직이지 않고 움직이는〈자유부인〉의 시간성
제2장 식민적 판타지를 횡단하는〈하녀〉
1.〈하녀〉의 초국적 상상력과 보편성
2. 식민적 근대성의 기원적 판타지
3.〈하녀〉가 재현하는 근대의 실패로서 '모방'
4. '서발턴한 과거'와 식민주의로부터의 깨어남
제3장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과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1. 남자 둘 여자 하나, 한국영화사의 무의식적 장르
2.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
3. '민족적 영화 장르'의 가족 로망스
4. 광경으로서 풍경이 부재하는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