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증보) 한문산문의 내면 풍경

- 제목
- (수정 증보) 한문산문의 내면 풍경
- 저자
- 심경호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3-02-25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산문은 기록과 의론과 서정을 포괄하는 잡다한 성격을 지닌 문학 갈래다. 근세 이후의 서구 소설을 읽는 일로부터 문학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 우리로서는, 문학은 허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다시, 문학이 지닌 사회적 효용에 대하여 진지하게 논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인물의 전형성이 뚜렷하여야 문학적 가치가 높다고 단정하기 일쑤다.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상징과 비유와 같은 수사적 특징이 문학의 정수라고 생각하거나, 시대의식의 반영과 같은 문제를 문학의 본령으로 떠올리게 된다. 허구, 전형성, 상징, 반영이란 것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면서도 말이다. 그런데 전근대 시기의 문학은 그것과는 달랐다. 특히 동아시아의 문학은 허구나 전형성과 같은 문제를 고려에 넣지 않고도 훌륭한 문학으로서 수용되었고, 그 자신의 위상을 차지할 수 있었다. 아니, 허구를 빚어내는 공언(空言)을 배격하고 사실에의 조회(照會)를 문학의 중요한 특성으로 생각해 온 전통이 있었다. 또한 상징적 조작이 대단히 미약하고 논리적 주제를 아예 전면에 드러내거나 살짝 가려두는 시와 문을 멋있다고 여기는 감상법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오늘날 보기에는 옅은 수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그런 글쓰기 방법으로 이루어진 시와 문을 외고 또 소리내어 읽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한 문학의 대표적인 갈래가 산문이다.
수록내용
책을 내면서
구도자의 산수 유람:퇴계 이황의 산수유기
주체의 윤리적 긴장과 산문:신대우의 의고문
화원에서 얻은 단상:조선후기의 화원기
객주의 형상과 축재의 도:한문단편에 반영된 객주의 형상과 상업관
기록문학으로서의 한문산문:한문산문의 기록성과 국문문학
한문산문에 나타난 허환(虛幻)과 실재(實在)의 문제
경세가의 여행기록:다산 정약용의 춘천 기행문『산행일기』
일회성의 진실과 미학:연암의 인식론과 미학론
연암과 루쉰
일탈과 실험:이옥의 산문세계
저자후기
찾아보기
구도자의 산수 유람:퇴계 이황의 산수유기
주체의 윤리적 긴장과 산문:신대우의 의고문
화원에서 얻은 단상:조선후기의 화원기
객주의 형상과 축재의 도:한문단편에 반영된 객주의 형상과 상업관
기록문학으로서의 한문산문:한문산문의 기록성과 국문문학
한문산문에 나타난 허환(虛幻)과 실재(實在)의 문제
경세가의 여행기록:다산 정약용의 춘천 기행문『산행일기』
일회성의 진실과 미학:연암의 인식론과 미학론
연암과 루쉰
일탈과 실험:이옥의 산문세계
저자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