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한 사진으로 설명한 씨름 교본
씨름

- 제목
- 씨름
- 저자
- 이만기 저,홍윤표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화 > 민속
- [KDC ] 예술 > 오락, 스포츠
제품소개
천하장사 이만기, 스포츠 체육담당 부국장 홍윤표가 최초로 씨름의 어원을 더듬었고 씨름 이론 체계, 씨름사에 편입되지 못했던 여자 씨름, 씨름의 기술 등을 다양한 그림, 사진과 함께 자세히 설명했다.
저자소개
이만기
홍윤표
1963년 경남 의령에서 태어났다. 마산 무학초등학교 5년 때부터 샅바를 잡기 시작, 마산상업고등학교, 경남대학교를 거쳐 현대중공업 코끼리씨름단에서 선수생활을 하였다. 경남대학교 2년 때인 1983년 4월 제1회 천하장사 민속씨름대회에서 우승, 일약 모래판의 최강자로 떠올랐다. 1991년 3월 은퇴할 때까지 프로씨름 통산 천하장사 10번, 백두장사 18번, 한라장사 7번, 기타 대회 14번 등 각종 장사 타이틀을 모두 49차례나 차지했다. 은퇴 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운동생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인제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KBS 씨름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홍윤표
1953년 강원도 삼척에서 태어났다. 신일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철학과를 나왔다. 1982년 한국일보사에 입사한 이래 일간스포츠 체육부와 야구부에서 20여 년간 체육기자 생활을 했다. 1989년에는 1년 동안 일본 게이오대학신문연구소 연수를 거쳤고 1998년 제10회 이길용체육기자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일간스포츠 편집위원으로 재직중이다.
수록내용
씨름 이론 체계, 씨름사에 편입되지 못했던 여자 씨름, 씨름의 기술 등을 다양한 그림, 사진과 함께 자세히 수록
- 머리말
- 씨름의 기원 및 어원
- 씨름의 기원
- 씨름의 어원
- 씨름의 역사
- 근대 이전
- 벽화와 그림을 통해 본 씨름
- 문헌을 통해 본 씨름
- 근대 및 일제 치하의 씨름
- 해방 이후~프로 민속씨름의 태동
- 프로 민속씨름 시대(1983년~현재)
- 대상과 지역에 따른 구분
- 씨름의 지역별 특성
- 여자 씨름
- 북한 씨름
- 씨름의 대부 나윤출
- 북한 씨름의 체계화
- 북한 씨름의 형태 및 기술
- 북한 씨름의 실태
- 샅바, 끈 하나에 걸린 운명
- 내력과 그에 얽힌 일화
- 샅바의 어원과 유래
- 샅바의 재질과 규격
- 씨름의 실제
- 경기장 규격 및 시설
- 체급 구분
- 프로 씨름
- 아마추어 씨름
- 샅바 매기
- 샅바 잡기
- 경기시작 전 준비자세
- 씨름의 기술
- 손 기술(팔 기술)
- 앞무릎치기
- 뒷무릎치기
- 오금당기기
- 옆무릎치기
- 등채기
- 꼭뒤집기
- 콩꺾기
- 앞무릎짚기
- 앞무릎짚고밀기
- 들안아놓기
- 등쳐감아돌리기
- 등쳐감아젖히기
- 애목잡채기
- 다리 기술(발 기술)
- 밭다리걸기
- 안다리걸기
- 호미걸이
- 빗장걸이
- 덮걸이
- 밭다리후리기
- 밭다리감아돌리기
- 낚시걸이
- 뒷발목걸이
- 발목걸어틀기
- 앞다리차기
- 모둠앞무릎치기
- 무릎대어돌리기
- 허리 기술
- 들배지기
- 배지기
- 돌림배지기
- 오른배지기
- 엉덩배지기
- 맞배지기
- 들어놓기
- 돌려뿌려치기
- 공중던지기
- 허리꺾기
- 밀어치기
- 차돌리기
- 잡채기
- 어깨걸어치기
- 자반뒤집기
- 정면뒤집기
- 손 기술의 응용
- 앞무릎치기→오금당기기
- 앞무릎치기→앞무릎뒤집기
- 앞다리들기→들안아놓기
- 등채기→꼭뒤집기
- 다리 기술의 응용
- 밭다리걸기→밭다리후리기
- 밭다리후리기→안다리걸기
- 호미걸이→안다리걸기
- 오금걸이→호미걸이
- 낚시걸이→빗장걸이
- 앞다리차기→모둠앞무릎치기
- 빗장걸이→호미걸기
- 낚시걸이→밭다리걸기
- 허리 기술의 응용
- 배지기→잡채기
- 맞배지기→잡채기
- 돌림배지기→엉덩배지기
- 허리꺾기→밀어치기
- 잡채기→옆무릎치기
- 배지기→정면뒤집기
- 장사열전
- 해방 이전
- 해방 이후~1960년대
- 1970년대
- 프로시대
- 3이(이만기, 이준희, 이봉걸)
- 개그맨 강호동
- 불곰 황대웅
- 무게 씨름의 원조 김정필
- 소년장사 백승일
- 신3강(김경수, 신봉민, 이태현)
- 거인 장사들(김용주, 박범조, 이봉걸, 김영현, 최홍만)
- 2000년대의 새 주자 황규연
- 부록-1984년 한글학회가 정리한 씨름 용어표
- 부록-민속씨름대회 경기 규정
- 참고 문헌
- 머리말
- 씨름의 기원 및 어원
- 씨름의 기원
- 씨름의 어원
- 씨름의 역사
- 근대 이전
- 벽화와 그림을 통해 본 씨름
- 문헌을 통해 본 씨름
- 근대 및 일제 치하의 씨름
- 해방 이후~프로 민속씨름의 태동
- 프로 민속씨름 시대(1983년~현재)
- 대상과 지역에 따른 구분
- 씨름의 지역별 특성
- 여자 씨름
- 북한 씨름
- 씨름의 대부 나윤출
- 북한 씨름의 체계화
- 북한 씨름의 형태 및 기술
- 북한 씨름의 실태
- 샅바, 끈 하나에 걸린 운명
- 내력과 그에 얽힌 일화
- 샅바의 어원과 유래
- 샅바의 재질과 규격
- 씨름의 실제
- 경기장 규격 및 시설
- 체급 구분
- 프로 씨름
- 아마추어 씨름
- 샅바 매기
- 샅바 잡기
- 경기시작 전 준비자세
- 씨름의 기술
- 손 기술(팔 기술)
- 앞무릎치기
- 뒷무릎치기
- 오금당기기
- 옆무릎치기
- 등채기
- 꼭뒤집기
- 콩꺾기
- 앞무릎짚기
- 앞무릎짚고밀기
- 들안아놓기
- 등쳐감아돌리기
- 등쳐감아젖히기
- 애목잡채기
- 다리 기술(발 기술)
- 밭다리걸기
- 안다리걸기
- 호미걸이
- 빗장걸이
- 덮걸이
- 밭다리후리기
- 밭다리감아돌리기
- 낚시걸이
- 뒷발목걸이
- 발목걸어틀기
- 앞다리차기
- 모둠앞무릎치기
- 무릎대어돌리기
- 허리 기술
- 들배지기
- 배지기
- 돌림배지기
- 오른배지기
- 엉덩배지기
- 맞배지기
- 들어놓기
- 돌려뿌려치기
- 공중던지기
- 허리꺾기
- 밀어치기
- 차돌리기
- 잡채기
- 어깨걸어치기
- 자반뒤집기
- 정면뒤집기
- 손 기술의 응용
- 앞무릎치기→오금당기기
- 앞무릎치기→앞무릎뒤집기
- 앞다리들기→들안아놓기
- 등채기→꼭뒤집기
- 다리 기술의 응용
- 밭다리걸기→밭다리후리기
- 밭다리후리기→안다리걸기
- 호미걸이→안다리걸기
- 오금걸이→호미걸이
- 낚시걸이→빗장걸이
- 앞다리차기→모둠앞무릎치기
- 빗장걸이→호미걸기
- 낚시걸이→밭다리걸기
- 허리 기술의 응용
- 배지기→잡채기
- 맞배지기→잡채기
- 돌림배지기→엉덩배지기
- 허리꺾기→밀어치기
- 잡채기→옆무릎치기
- 배지기→정면뒤집기
- 장사열전
- 해방 이전
- 해방 이후~1960년대
- 1970년대
- 프로시대
- 3이(이만기, 이준희, 이봉걸)
- 개그맨 강호동
- 불곰 황대웅
- 무게 씨름의 원조 김정필
- 소년장사 백승일
- 신3강(김경수, 신봉민, 이태현)
- 거인 장사들(김용주, 박범조, 이봉걸, 김영현, 최홍만)
- 2000년대의 새 주자 황규연
- 부록-1984년 한글학회가 정리한 씨름 용어표
- 부록-민속씨름대회 경기 규정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