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부석사의 건축과 유물

부석사

제목
부석사
저자
김보현 저,박도화 저,배병선 저,배병선 사진,유남해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종교 > 불교

제품소개

정연하고 아름답게 쌓아 올린 석축으로 유명한 부석사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 무량수전으로 더욱 중요시되는 사찰이다. 더욱이 조사당의 벽화는 고려시대 벽화의 일면을 보여 주고 있으며, 자인당에 전하는 석불들과 무량수전의 주존인 소조 아미타불상 등도 보물급 문화재들이다. 부석의 교리적 배경과 건축, 유물에 대해 상세히 접근한 책이다.

저자소개

김보현
서울 출생.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 고대사를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고려대학교 문과대 강사를 역임하고 현재는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 국사학과 조교수로 재직중이며 동국대학교 신라 문화 연구소 간사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신라 화엄종 연구』가 있으며 「신라 중대 화엄종과 왕권」 「북한 불교 연구의 동향」 「대가야의 불교」 등이 있다.

박도화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미술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 연구원으로 있으며 동국대에 출강하고 있다. 논문으로 ‘한국 불교 벽화의 연구’ ‘조선조의 사원 벽화’ ‘조선조 약사불화의 연구’ 등이 있다.

배병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연구소에서 한국 건축의 조사ㆍ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다포계 맞배집에 관한 연구」 「금산사 금강문에 대한 소고」 「닫집의 건축사적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과 「한국의 고건축」 제11~16호와 「민가 조사 보고서(전남ㆍ전북편)」 등에 쓴 글이 있다.

수록내용

부석사에 대한 연혁, 불교사적 위치, 건축, 유물 등을 컬러 사진과 함께 소개

- 연혁
- 신라시대
- 초창(初創)
- 신라 하대의 중창
- 고려 이후의 부석사
- 고려시대
- 조선시대
- 근ㆍ현대
- 부석사의 불교사적 위치
- 신라 화엄종의 종찰
-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
- 부석사와 아미타 신앙
- 건축
- 가람의 입지
- 가람의 배치와 공간 구조
- 배치와 공간 구조
- 가람 구조의 변천
- 화엄 사상으로 본 가람 구조
- 부석사의 건물들
-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18호)
- 안양루(安養樓)
- 선묘각(善妙閣)
- 조사당(祖師堂, 국보 제19호)
- 취현암(醉玄菴) 옛터
- 응진전(應眞殿)
- 자인당(滋忍堂)
- 단하각(丹霞閣)
- 범종각(梵鍾閣)
- 취현암(醉玄菴)
- 응향각(凝香閣)
- 신범종각(新梵鍾閣)과 보장각(寶藏閣)
- 삼성각(三聖閣)
- 삼보전(三寶殿)
- 천왕문(天王門)과 일주문(一柱門)
- 기타 건물들
- 유물
- 불화
- 조사당 벽화(국보 제46호)
- 괘불(掛佛)
- 화기(畵記)
- 불상
- 소조 여래좌상(국보 제45호)
- 자인당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2구(보물 제220호)
- 자인당 석불좌상
- 석조 건축
- 3층석탑(보물 제249호)
- 3층석탑 2기(지방유형 문화재 제130호)
- 석물
- 석등 1(국보 제17호)
- 석등 2
- 당간지주(보물 제255호)
- 원융국사비(圓融國師碑, 경북유형문화재 제127호)
- 화엄경판(華嚴經板 : 보물 제735호)
- 참고 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