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현대문학] 임순득, 대안적 여성 주체를 향하여 : 이상경의 여성문학연구

제목
[현대문학] 임순득, 대안적 여성 주체를 향하여 : 이상경의 여성문학연구
저자
이상경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2-1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이 책은 임순득을 중심으로 1930년대 후반부터 해방기까지 그리고 어쩌면 해방 이후 남한과 북한의 문학사의 엇갈리는 지점까지 보고자 하는 것이다. 1930년대 후반 문단에서 최정희는 '여류'스러움을 극명하게 드러내 보이면서 논의의 중심에 서 있었다. 이는 그의 작품이 구축한 '여성적' 세계가 1930년대 후반 문단의 관심을 끌게 된 것과 최정희 자신이 '삼천리' 지의 기자로서 문단의 중심에 있었다는 점이 상호 작용을 한 결과이다. '여성적'인 작가의 등장을 기대하는 문단 분위기에 부응하여 그러한 소재들을 최정희 스스로 발굴해 나갔을 뿐만 아니라, 기자로서 여성 문인들을 계속 지면에 등장시키면서 최정희 스스로 일종의 여성문단의 권력이 되었고 그런 만큼 '여류'문학의 파급력도 있었다.제1부는 임순득 평전이다. 제2부에는 임순득의 작품들을 가려 실었다. 해방 전 시기의 작품은 이제까지 찾은 것을 모두 실었고, 해방기와 북한에서 쓴 작품은 찾을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작가 임순득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것으로 골라 실었다. 그리고 부록으로 임순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참고자료로 오빠 임택재 관련 자료를 찾아 실었다. 임순득의 오빠이기도 하고, 사방이 감옥인 그 엄혹한 시대를 살아가야 했던 고통 받은 식민지의 젊은 영혼을 기억하는 의미도 있다. 임순득이라는 아직은 낯선 작가가 독자들이 1930년대의 새로운 여성들을 만나는 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제1부 임순득의 삶과 문학

제1장 여성문학사와 임순득

제2장 가족환경과 지적 성장의 배경

제3장 독서회와 학생맹휴를 통해 성장한 여학생

제4장 새로운 세대의 대변자, 작가가 되다

제5장 여성평론가의 등장

제6장 일제 말기 파시즘과 여성문학

제7장 해방과 여성문학의 새로운 시작

제8장 전쟁 이후, 미완의 여성문학

참고문헌

제2부 임순득 작품 선집

1. 소설

2. 평론

3. 수필

부록 1 _ 임순득 관련 자료

임순득 연보

임순득 작품 목록

부록 2 _ 임택재 관련 자료

임택재 연보



진정서

증인신문조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