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중.고등학교의 ‘국사’와 ‘한국 근대사’ 교과서를 분석하다

한국사 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 - 21세기 한국사 교과서와 역사교육의 방향

제목
한국사 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 - 21세기 한국사 교과서와 역사교육의 방향
저자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08-0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역사교육에서 교과서는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2001년부터 지속적으로 발간한 교과서운동 시리즈의 완성본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중 고등학교의 ‘국사’와 ‘한국 근대사’ 교과서를 분석한 심포지엄 '21세기 한국사 교과서와 역사교육의 방향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2002.11.9)'에서 발표한 원고를 손질한 것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현주소를 볼 수 있다.

이 심포지엄에서는 이러한 분석 성과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교과서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분석하려 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과 비판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모색과 전망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읽으려 한다.

다양한 각도에서 한국사교과서를 분석, 비판하고 있다. 그러한 비판 속에서 나오는 역사와 역사교육에 대한 성찰과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수록내용

제1부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바람직한 한국사 교육을 위하여 / 안병우(한신대 교수)

21세기 '국사'교육의 방향과 제7차 교육과정 - 문제는'소통'이다 / 지수걸(공주대 교수)

국사교과서 국정 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양정현(서울 구일고 교사)

제2부 국정 국사교과서의 문제점과 전망

국사교과서의 정치사 서술 및 인식 검토 / 이익주(서울시립대 교수)

「고등학교 국사」 경제사 부분의 서술체제와 서술내용 분석 / 송규진(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역사인식 및 서술 내용 - 사회사의 '신분제도', '향촌사회', '농민항쟁'에 관한 서술을 중심으로 / 한상권(덕성여대 교수)

제3부 검정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성과와 한계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문화사 인식 및 서술방식 검토 / 강응천(한국생활사박물관 시리즈 편집인)

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 전환기 인식과 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 서술 / 고영진(광주대학교 교수)

저항, 그리고 형상화와 교육과정 / 신주백(경도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한국 현대사 어떻게 가르칠까? - 해방 8년사를 중심으로 / 김종훈(서울 문창중 교사)

한국사 교과서 속의 '북한', 그리고 통일을 향한 민족사 서술 모색 / 이신철(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젠더의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과 한국사 교과서 / 신영숙(서울여대 강사)

노동의 관점에서 본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 최규진(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