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역사왜곡의 문제를 짚어보다
한·중·일 역사인식과 일본 교과서 - 난징평화포럼

- 제목
- 한·중·일 역사인식과 일본 교과서 - 난징평화포럼
- 저자
-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저
- 발행처
- 역사비평사
- 발행년도
- 2008-0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펴내는 교과서운동의 또 하나의 결실로 『한. 중. 일 역사인식과 일본교과서』는 일본의 역사왜곡을 주제로 지난 2002년 3월 27일부터 31일까지 중국 난징에서 열린 '역사인식과 동아시아평화포럼'에서 발표된 글들을 모은 책이다.
일본의 역사왜곡은 결코 단기간에 끝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아시아가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내용을 채워가는 일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생생한 증언과 현장이 남아있는 난징에서 일본의 역사왜곡을 주제로 개최된 더욱 의미 깊었던 국제학술대회는 총 27편의 발표문과 18편의 토론 문이 발표되었고, 그 중 한국 발표문 5편, 일본 발표문 7편, 중국 발표문 6편이 실렸고 일본의 역사왜곡에 관련한 사관의 문제, 한국정부의 대응, 동아시아의 상황, 교과서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엮어 현재 당면한 일본 역사왜곡의 문제들을 조목조목 짚어보는데 큰 도움이 되어줄 것이다.
일본의 역사왜곡은 결코 단기간에 끝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아시아가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내용을 채워가는 일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생생한 증언과 현장이 남아있는 난징에서 일본의 역사왜곡을 주제로 개최된 더욱 의미 깊었던 국제학술대회는 총 27편의 발표문과 18편의 토론 문이 발표되었고, 그 중 한국 발표문 5편, 일본 발표문 7편, 중국 발표문 6편이 실렸고 일본의 역사왜곡에 관련한 사관의 문제, 한국정부의 대응, 동아시아의 상황, 교과서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엮어 현재 당면한 일본 역사왜곡의 문제들을 조목조목 짚어보는데 큰 도움이 되어줄 것이다.
수록내용
1부 일본교과서 역사왜곡의 역사
일본교과서 문제에 관한 검토 / 보평(步平, 중국 흑룡강성 사회과학원 부원장)
교과서 파동과 역사인식 / 타와라 요시후미(俵 義文,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워크21' 사무국장)
2001년도 교과서문제와 한국정부의 대응 / 하종문(한신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부 일본 우익교과서 역사왜곡의 실태 1
난징대학살과 교과서 문제 / 가사하라 도쿠지(笠原十九司, 츠루문과대학교 교수)
난징대학살에 관한 영국 외교문서의 사료적 가치와 그 의의 / 왕위성(王衛星, 중국 강소성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부소장)
난징대학살과 공동의 기억 / 장연홍(張連紅, 중국 난징사범대학 역사학부 부교수)
3부 일본 우익교과서 역사왜곡의 실태 2
위험한 역사교과서, 위기의 동아시아 / 주진오(상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일본 세균전 의학전범들의 전쟁 후 종적 / 왕선(王選, 일본군 세균전 중국 피해자 소송단 단장)
일본군 '위안부' 관련기술의 현실과 앞으로의 과제 / 니시노 루미코(西野瑠美子,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워크21 대표위원)
인간성 회복을 위한 야스쿠니신사 참배 위헌 소송 / 스가하라 류켄(管原龍憲, 고이즈미수상 야스쿠니참배 위헌 아시아소송 원고단 단장)
4부 일본 우익교과서의 사관
역사는 어떻게 왜곡되었는가 / 소지량(蘇智良, 중국 상해사범대학교 역사학부 교수)
일본 〈새 역사교과서〉 역사관의 비판과 극복을 위하여 / 도면회(대전대학교 교수)
일한 역사교육 실천의 교류와 역사인식의 공유 / 이시와타 노부오(石渡延男, 일한교육실천연구회 대표)
제2차 세계대전 사실(史實)을 왜곡한 음모 / 간조평(簡兆平, 홍콩기념항일수난동포연합회 주석)
일본의 군국주의적 정치세력과의 대결을 교과서문제에서 생각한다 / 다카시마 노부요시(류큐대학교 교수)
한국의 교과서운동 그 성과와 과제 / 양미강(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상임공동운영위원장)
5부 일본사회의 정치흐름과 동아시아 평화
동아시아평화를 위한 3개국 NGO의 연대 / 오가타 야스오(일본공산당 국제국장 / 참의원 의원)
일본의 교과서 역사왜곡과 21세기 동아시아 평화 / 이신철(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일본교과서 문제에 관한 검토 / 보평(步平, 중국 흑룡강성 사회과학원 부원장)
교과서 파동과 역사인식 / 타와라 요시후미(俵 義文,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워크21' 사무국장)
2001년도 교과서문제와 한국정부의 대응 / 하종문(한신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부 일본 우익교과서 역사왜곡의 실태 1
난징대학살과 교과서 문제 / 가사하라 도쿠지(笠原十九司, 츠루문과대학교 교수)
난징대학살에 관한 영국 외교문서의 사료적 가치와 그 의의 / 왕위성(王衛星, 중국 강소성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부소장)
난징대학살과 공동의 기억 / 장연홍(張連紅, 중국 난징사범대학 역사학부 부교수)
3부 일본 우익교과서 역사왜곡의 실태 2
위험한 역사교과서, 위기의 동아시아 / 주진오(상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일본 세균전 의학전범들의 전쟁 후 종적 / 왕선(王選, 일본군 세균전 중국 피해자 소송단 단장)
일본군 '위안부' 관련기술의 현실과 앞으로의 과제 / 니시노 루미코(西野瑠美子,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워크21 대표위원)
인간성 회복을 위한 야스쿠니신사 참배 위헌 소송 / 스가하라 류켄(管原龍憲, 고이즈미수상 야스쿠니참배 위헌 아시아소송 원고단 단장)
4부 일본 우익교과서의 사관
역사는 어떻게 왜곡되었는가 / 소지량(蘇智良, 중국 상해사범대학교 역사학부 교수)
일본 〈새 역사교과서〉 역사관의 비판과 극복을 위하여 / 도면회(대전대학교 교수)
일한 역사교육 실천의 교류와 역사인식의 공유 / 이시와타 노부오(石渡延男, 일한교육실천연구회 대표)
제2차 세계대전 사실(史實)을 왜곡한 음모 / 간조평(簡兆平, 홍콩기념항일수난동포연합회 주석)
일본의 군국주의적 정치세력과의 대결을 교과서문제에서 생각한다 / 다카시마 노부요시(류큐대학교 교수)
한국의 교과서운동 그 성과와 과제 / 양미강(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상임공동운영위원장)
5부 일본사회의 정치흐름과 동아시아 평화
동아시아평화를 위한 3개국 NGO의 연대 / 오가타 야스오(일본공산당 국제국장 / 참의원 의원)
일본의 교과서 역사왜곡과 21세기 동아시아 평화 / 이신철(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