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7] 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 제목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7] 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 저자
- 최성민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6-1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대부분의 문학 위기론은 위기를 내세우는 사람 스스로가 설정한 문학의 본질이 훼손되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렇다면 위기론에 앞서 필요한 것은 바로 문학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지점에서 출발한다. 문학의 본질이 훼손된 것이 아니라, 이미 변화해버린 문학을 이해하지 못한 시대착오였을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우리는 할머니 무릎을 베고 누워 듣던 옛날이야기나 창자(唱者)와 고수(鼓手)에 의한 판소리를 흔히 쉽게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키곤 하면서도, 문학 작품은 종이로 된 인쇄물로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편견은 쉽게 버리지 못했다. 영화를 모니터로, 음악을 파일로 감상하는 시대에 문학만 종이 위에 머물러야 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모든 것을 문학의 범위 안에 포획하려는 시도 역시 위험한 시도일 수밖에 없다.‘서사 텍스트’라는 표현은 그러한 차원에서 ‘문학’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활용한 것이다. 서사는 인간의 삶을 사실적으로 담아내려는 목적을 가진 본능적 욕망의 산물이다. 이 욕망을 인정한다면, ‘문학’이라는 제도나 ‘문자’라는 미디어의 틀에 묶어놓을 수만은 없다. 인간의 삶과 그 주변의 세계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비롯된 서사적 욕망은 최신의 테크놀로지를 반영한 미디어와의 결합을 견인하였다. <책표지에서>
수록내용
●머리말
●제1부 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의 관계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서사 텍스트의 재매개 방식과 소통
1. '문자성(文字性)'의 고정(固定)과 근대적 '문학' 개념의 형성
2. 서사의 재매개와 서사 텍스트의 수사학적 구성
제3장 신매체의 등장과 근대 서사 텍스트의 대중적 소통 양상
1. '신문'의 등장과 활자 중심 문학의 확립
2. '잡지' 및 '단행본'의 유통과 문학 독자의 형성
3. '연극' 및 '영화'의 등장과 서사 관객의 형성
4. 전파ㆍ전자 매체의 등장과 다감각 시대의 서사
제4장 결론 : 재매개의 투명화와 반성화
●제2부 보론
보론 1 은유의 매개와 서사의 매체
1. 개념적 은유 : 은유에 대한 확장적 이해
2. 텍스트의 은유 : 폴 리쾨르의 서사 이론과 해석 이론
3. 매체의 은유 : 서사, 텍스트와 신매체
4. 결론
보론 2 테크놀로지와 서사적 리얼리티 연구
1. 서론
2. 문자(文字) 이후의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3. 서사의 본능과 매체의 리얼리티
4. 디지털 게임의 특성과 유형 분류 양상
5. 디지털 게임의 가능 세계와 리얼리티 유형
6. 결론
●참고문헌
●제1부 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의 관계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서사 텍스트의 재매개 방식과 소통
1. '문자성(文字性)'의 고정(固定)과 근대적 '문학' 개념의 형성
2. 서사의 재매개와 서사 텍스트의 수사학적 구성
제3장 신매체의 등장과 근대 서사 텍스트의 대중적 소통 양상
1. '신문'의 등장과 활자 중심 문학의 확립
2. '잡지' 및 '단행본'의 유통과 문학 독자의 형성
3. '연극' 및 '영화'의 등장과 서사 관객의 형성
4. 전파ㆍ전자 매체의 등장과 다감각 시대의 서사
제4장 결론 : 재매개의 투명화와 반성화
●제2부 보론
보론 1 은유의 매개와 서사의 매체
1. 개념적 은유 : 은유에 대한 확장적 이해
2. 텍스트의 은유 : 폴 리쾨르의 서사 이론과 해석 이론
3. 매체의 은유 : 서사, 텍스트와 신매체
4. 결론
보론 2 테크놀로지와 서사적 리얼리티 연구
1. 서론
2. 문자(文字) 이후의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3. 서사의 본능과 매체의 리얼리티
4. 디지털 게임의 특성과 유형 분류 양상
5. 디지털 게임의 가능 세계와 리얼리티 유형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