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8] 부재의 시대 : 근대계몽기 및 식민지기 조선의 연설ㆍ좌담회

제목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8] 부재의 시대 : 근대계몽기 및 식민지기 조선의 연설ㆍ좌담회
저자
신지영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5-06-2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이 그러했듯이, 19세기 말 조선은 외부로부터 근대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식민지화 되어 갔다. 이는 ‘외부’에는 있는 것이 스스로에게는 ‘부재’한다는 것을 강하게 인식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근대 초기에는 민족과 국가라는 개념을 알게 된 동시에 그것이 자기 내부에 없음을 인정해야 했으며, 동시에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은 민족국가를 곧 상실할지 모른다는 현실 앞에 서 있었다. 구성해야만 할 당위로서 주어진 무언가가 현재 부재하며, 더구나 손에 잡아보기도 전에 이미 잃어버릴 상황에 처해 있다는 ‘부재의 경험’은 이후에도 변형된 형태로 반복되었다.조선에서의 근대성이 곧 식민지성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의 근저에는 이 상황 즉 근대성이 아직 부재하는 것임에도 이미 부재하게 될 운명에 놓여 있다는 상황, 아직 태어나기도 전에 이미 죽을 운명이라는 상황이 도사리고 있다.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외부에서 온 근대성을 부재하는 상태로 잃어버릴 것이라는 위기감을 파고든 조급한 식민지성. 근대계몽기와 식민지기 연구에서 주체성이 절실한 탐구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이 부재의 시대가 낳은 결과였던 것이 아닐까? 그런 점에서 외부로부터 주어진 주체성에 대한 대안이나 그것을 벗어난 파격도 부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식민지적 근대는 이중 삼중으로 얽혀진 부재의 시대였던 것이다. <책표지에서>

수록내용

●책머리에

●제1장 부/재의 시대

1. 연구대상 및 연구사 검토

2. 연구방법 및 관점

●제2장 근대 초기 연설ㆍ토론회의 발생과 변화

1. 연설ㆍ토론회의 유입과 감각의 변화

1) '연설하는 학문'과 연설ㆍ토론'會'의 성립

2) '言權'의 자각과 정치적 대중의 출현

2. 연설ㆍ토론회의 문체와 신체성

1) '연설ㆍ토론하는 신체규범'의 형성과 문체변화

2) '연설ㆍ토론하는 청년'의 신체와 '共同感情'

●제3장 1920년대 연설ㆍ토론ㆍ강연회의 사건성

1. '강연회'로의 변화와 '연설하는 청년'의 쇠퇴

1) '사회'의 출현과 '강연ㆍ웅변회'로의 변화

2) '연설하는 청년'의 쇠퇴와 계급갈등의 발생

2. 다양화된 정치대중과 언론 매체 - 연설ㆍ토론ㆍ강연회의 쇠퇴

1) 다양화하는 정치대중과 사건성

2) 후일담이 된 연설ㆍ토론ㆍ강연회와 상업화된 미디어

●제4장 1930년대 '기획ㆍ편집된' 좌담회 발생과 변화

1. 소비적 대중의 출현과 좌담회의 발생

1) 출판자본주의의 생존전략으로서의 좌담회

2) 사라진 토론, '기획ㆍ편집된' 좌담회

2. '총동원 체제'와 '형식적 전향'으로서의 좌담회

1) '검열'의 내부화와 '형식적 전향'

2) 좌담회의 시공간 감각과 로컬리티

●제5장 1940년대 신체제 질서와 좌담회의 제국화

1.『국민문학』좌담회의 '모드'와 언어게임

1) 신체제 질서와 좌담회의 제국적 모드(mode)화

2)『국민문학』좌담회의 양가성과 언어게임

2. 조선 좌담회의 문화송출과 번역불가능성

1) 매체간 좌담회 교환을 통한 문화송출과 번역 불가능성

2)『모던일본』의 문화송출과 오리엔탈리즘화되는 조선성

3)『국민문학』좌담회의 신지방 조선문단 송출 시도

●제6장 신체제 질서와 대회ㆍ학교ㆍ이동연극의 황국신민화

1. 다민족적 대회와 '부/재하는 참여'

1) '대동아문학자대회'라는 이동연극장

2) 부/재하는 대동아, 통로로서의 조선

3) 중계지의 초월술과 분열

2. 전국화하는 대중동원과 '부/재하는 참여'

1) 전국화ㆍ일상화된 대중동원과 참여를 둘러싼 논란

2) '이동' 연극, 식민권력의 의도를 빗나간 '참여'

●제7장 결론 - 다시, 부/재의 시대

●부록 _ 합평회ㆍ좌담회ㆍ대동아문학자대회 자료 목록

Ⅰ.『조선문단』합평회

Ⅱ. 좌담회 목록

Ⅲ. 대동아문학자대회 1차 관련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