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ㆍ사회과학의 모든 분야에 걸친 연구
한국개념사총서증보판

- 제목
- 한국개념사총서증보판
- 저자
- 박명규 저,박찬승 저,김효전 저,김용구 저,박상섭 저,노대환 저,최원식 저,이삼성 저,김경일 저,권용림 저,이헌창 저
- 발행처
- 도서출판소화
- 발행년도
- 2016-09-1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역사이론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역사일반
- [KDC ] 사회과학 > 사회과학
제품소개
『한국개념사총서』는 『국민인민시민』, 『민족민족주의』, 『헌법』, 『만국공법』, 『국가와 주권』, 『문명』, 『문학』, 『제국』, 『노동』, 『보수』, 『경제ㆍ경제학』 총 11권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품입니다.
『국민인민시민』은 한반도라는 장소에서 일어난 개념들의 해석, 번역, 굴절, 선택 그리고 오해를 포함한 모든 충돌 현상에 관한 분석을 다루고 있으며, 『민족민족주의』는 자유주의적ㆍ통일지향적 내셔널리즘과 국가주의적ㆍ일국주의적 내셔널리즘 등 다양한 민족주의의 유형이 분석되어 있습니다.
『헌법』은 만국공법과 함께 전래된 서구식 '헌법' 개념이 근대 한국에서 종래의 개념과 만나서 충돌, 침투, 갈등, 저항을 거치며 선망, 수용, 모방, 편입으로 이르는 과정을 역사적ㆍ실증적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만국공법』은 19세기 만국공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한반도에 전파, 인식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국가와 주권』은 우리의 국가 관념이 상당 부분 서양적 개념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만큼 먼저 서양적 국가 개념의 역사적 뿌리를 알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문명』은 ‘문명’의 개념사를 정리한 책으로 서양에서 바라보는 문명, 동아시아에서의 문명 개념, 그리고 한국에서의 문명 개념 수용의 역사를 살펴보고 한국에서 문명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는지 분석하고 있습니다.
『문학』은 3·1운동을 모태로 태어난 조선의 근대문학의 정립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지금의 문학을 연결함으로써 젊은 문학과 화해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제국』은 제국 개념의 고대적 기원, 제국 개념과 19세기 근대 일본·근대 한국, 제국과 식민지에서의 제국,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제국을 짚어 보며 제국이라는 개념에 담겨 있는 고요와 광포, 그 양극의 기원과 전개에 관해 추적하고 있습니다.
『노동』은 동서양의 과거와 현재에서 노동의 형태와 의미가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해 갔는가를 제시하며, 노동의 개념사를 통해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방식에 대한 풀리지 않는 문제에 답하고자 하였습니다.
『보수』는 보수를 중심으로 근현대 정치사를 돌아보고 한국인을 이끌어 온 정치적 인식의 지평과 변화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경제ㆍ경제학』은 경제와 경제학이라는 개념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이는 학제적 연구의 산물이며 세계적 범위의 비교사적 고찰인데, 이를 통해 경제학술의 발전과 그 지역 차를 해명하고자 하였습니다.
『국민인민시민』은 한반도라는 장소에서 일어난 개념들의 해석, 번역, 굴절, 선택 그리고 오해를 포함한 모든 충돌 현상에 관한 분석을 다루고 있으며, 『민족민족주의』는 자유주의적ㆍ통일지향적 내셔널리즘과 국가주의적ㆍ일국주의적 내셔널리즘 등 다양한 민족주의의 유형이 분석되어 있습니다.
『헌법』은 만국공법과 함께 전래된 서구식 '헌법' 개념이 근대 한국에서 종래의 개념과 만나서 충돌, 침투, 갈등, 저항을 거치며 선망, 수용, 모방, 편입으로 이르는 과정을 역사적ㆍ실증적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만국공법』은 19세기 만국공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한반도에 전파, 인식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국가와 주권』은 우리의 국가 관념이 상당 부분 서양적 개념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만큼 먼저 서양적 국가 개념의 역사적 뿌리를 알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문명』은 ‘문명’의 개념사를 정리한 책으로 서양에서 바라보는 문명, 동아시아에서의 문명 개념, 그리고 한국에서의 문명 개념 수용의 역사를 살펴보고 한국에서 문명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는지 분석하고 있습니다.
『문학』은 3·1운동을 모태로 태어난 조선의 근대문학의 정립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지금의 문학을 연결함으로써 젊은 문학과 화해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제국』은 제국 개념의 고대적 기원, 제국 개념과 19세기 근대 일본·근대 한국, 제국과 식민지에서의 제국,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제국을 짚어 보며 제국이라는 개념에 담겨 있는 고요와 광포, 그 양극의 기원과 전개에 관해 추적하고 있습니다.
『노동』은 동서양의 과거와 현재에서 노동의 형태와 의미가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해 갔는가를 제시하며, 노동의 개념사를 통해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방식에 대한 풀리지 않는 문제에 답하고자 하였습니다.
『보수』는 보수를 중심으로 근현대 정치사를 돌아보고 한국인을 이끌어 온 정치적 인식의 지평과 변화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경제ㆍ경제학』은 경제와 경제학이라는 개념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이는 학제적 연구의 산물이며 세계적 범위의 비교사적 고찰인데, 이를 통해 경제학술의 발전과 그 지역 차를 해명하고자 하였습니다.
저자소개
권용림
김경일
김용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U. C. 버클리 미국정치연구소(IGS)에서 미국정당사를 연구했다. 현재 경성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미국의 정치문명』ㆍ『미국 외교의 역사』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정치사상사』ㆍ『이데올로기와 미국외교』가 있다. 또한 논문으로는「미국의 대한정책에 나타난 아메리카니즘」, 「21세기 미국외교와 한반도」, 「미국의 쇠락 요인과 전망」 등이 있다.
김경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덕성여대 교수, 미국 뉴욕주립대와 프랑스 파리 인간과학연구소(Maison des Sciences de L’Homme)에서 후기박사과정, 일본 도쿄대학 경제학부 객원연구원, 미국 버클리대학과 워싱턴대학 교류교수 등을 역임했다. 한국사회사와 사회사상ㆍ역사사회학ㆍ동아시아론 등에 관심이 있으며, 저서로는 『일제하 노동운동사』(1992ㆍ창작과비평사), 『이재유연구』(1993ㆍ창작과비평사),『 지역연구의역사와이론』(1998ㆍ문화과학사),『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2003ㆍ백산서당),『 동아시아의민족 이산과 도시:20세기 전반기 만주의 조선인』(공저ㆍ2004ㆍ역사비평사),『 한국노동운동사 2 일제하의 노동운동:1920-1945』(2004ㆍ지식마당),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2004ㆍ문학과지성사),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2004ㆍ푸른역사), Pioneers of Korean Studies(편ㆍ2004ㆍAKS), 『이재유, 나의 시대 나의혁명』(2007ㆍ푸른역사),『 제국의시대와동아시아연대』(2011ㆍ창작과비평사),『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2012ㆍ푸른역사) 등이 있다.
김용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원장 겸 특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제정치학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장 자크 루소와 국제정치≫(2001), ≪세계외교사≫(2006), The Five Years’ Crisis 1866~1871: Korea in the Maelstrom of Western Imperialism(2002), Korea and Japan: The Clash of Worldviews, 1868~1876(2006) 등이 있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장 자크 루소와 국제정치≫(2001), ≪세계외교사≫(2006), The Five Years’ Crisis 1866~1871: Korea in the Maelstrom of Western Imperialism(2002), Korea and Japan: The Clash of Worldviews, 1868~1876(2006) 등이 있다.
수록내용
국민인민시민
민족민족주의
헌법
만국공법
국가와 주권
문명
문학
제국
노동
보수
경제ㆍ경제학
민족민족주의
헌법
만국공법
국가와 주권
문명
문학
제국
노동
보수
경제ㆍ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