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호서 선비의 숨결을 살아있는 민속마을

아산 외암마을

제목
아산 외암마을
저자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저,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아산 외암마을은 한 마을에 전통적인 수법의 상류·중류·서민가옥이 함께 남아있어 마을의 형성이나 전통가옥의 연구에 매우 가치가 있다.

저자소개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김필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전임강사, 지리학


곽호제: 청양대학 초빙교수, 국사학


유보경: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사회학


이연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김현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박종익: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문학

수록내용

아산 외암마을의 역사와 문화

- 머리말
- 총론: 호서선비의 숨결이 살아 있는 민속마을
- 지리적 환경과 문화 경관
- 마을의 입지와 자연환경
- 마을의 경관변화와 상징 경관들
- 종족마을의 형성과 경관 변화
- 마을의 풍수적 국면과 상징 경관
- 마을 안팎의 지명들
- 자연마을 지명
- 자연 경관과 관련된 지명
- 문화 경관과 관련된 지명
- 예안 이씨 종족집단과 관련된 지명
- 마을의 역사적 전개
- 종족마을의 형성
- 마을 연혁
- 예안 이씨 종족마을의 형성
- 청도 김씨의 입향ㆍ정착
- 조선시대 외암리와 예안 이씨 문중의 모습
- 인물성동론의 산실, 외암리
- 예안 이씨 문중의 위상
- 추사 김정희의 처가
- 일제 강점기의 마을 운영과 주민들의 경험
- 마을 운영체제
- 주민들의 경험
- 교육
- 종족마을에서 민속마을로
- 한국전쟁기 신분 갈등 표출
- 외암리의 개발과 변화
- 민속마을로 변화
- 민속마을의 경제활동
- 민속마을로 가는 여정
- 마을의 생산과 노동
- 경지 규모와 특성
- 미작농가
- 겸업농가
- 민속마을 정책과 경제활동
- 문화재 보존사업
- 관광마을과 관광수익
- 테마마을 운영과 경제적 변화
- 경제적 전망
- 사회생활과 문화
- 인구와 가족 구성
- 인구 구성과 변화
- 가족 구성과 형태
- 친족생활
- 예안 이씨의 문중 조직
- 조상숭배 의례의 어제와 오늘
- 시묘살이와 현대판 정려
- 청도 김씨의 문중 조직과 시제
- 마을의 조직
- 마을총회
- 반조직
- 사단법인 민속마을 보존위원회
- 노인회
- 청년회
- 부녀회
- 종교
- 민속마을 지정과 주민들의 대응
- 민속마을 지정
- 주민들의 대응
- 외암 민속마을 연중 행사
- 앞으로의 전망
- 근대 이후 일상생활의 변화
- 교통로와 시장권
- 청당이 고개를 넘어서 온양까지
- 근대문물의 유입과 의식주의 변화
- 근대 문물의 경험과 환희
- 양반과 평민들의 먹거리 차이
- 외암리 패션 변천사
- 민간요법과 여가생활
- 마을의 의료체계
- 놀며, 쉬며 노래 부르고
- 마을공동체의 민속
- 세시풍속
- 상ㆍ제례
- 상례(喪禮)
- 제례(祭禮)
- 장승제와 목신제
- 제장과 명칭
- 제의 준비
- 장승제ㆍ목신제의 진행
- 결산 및 특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