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실천적 지식인의 표상 윤선도의 문집

고산유고(孤山遺稿)

제목
고산유고(孤山遺稿)
저자
윤선도 저,이형대 역주,이상원 역주,이성호 역주,박종우 역주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3-2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고전문학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집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특징

번역문, 원문이미지 구성
고산 연보 수록

제품소개

『고산유고(孤山遺稿)』는 고산 윤선도의 문집인 『고산유고』 중 시(詩)ㆍ부(賦)ㆍ가사(歌辭) 부문을 번역한 제품입니다. 『고산유고(孤山遺稿)』는 17세기 대북파의 권력 전횡에 맞서 그 폐해를 신랄하게 비판했던 실천적 지식인의 표상으로서, 중세기 시조 미학을 그 정점으로 끌어올린 탁월한 예술인의 전범으로서 후인들의 기억 속에 깊이 각인된 고산 윤선도의 작품을 통해 그가 남긴 사유의 궤적과 예술세계를 분석하였습니다. 영인본을 수록하였으며 그에 대한 분석이 담긴 해제 또한 싣고 있습니다.

저자소개

박종우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으로 재직중이며, 「고산 윤선도 한시의 일고찰」, 「16세기 호남사림 시세계의한 양상」등 다수가 있다.

윤선도
정치의 격랑 속에서 이십 년 가까이 귀양살이를 했다. 그러나 가산이 넉넉하여 보길도에서 화려한 은거생활을 할 수 있었다. 윤선도의 시조들은 벼슬살이를 그만두고 자연을 벗 삼아 살아가는 선비의 생활과 서정을 이상화해서 절제된 표현으로 포착했다.

[어부사시사], [다섯 벗의 노래(五友歌)] 같은 작품들은 선비 시조의 최고이며 산수 미학의 절정이라는 평을 받는다.

이상원
1964년 경북 의성 출생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을 졸업하였다. 현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중이며, 저서로는 『17세기 시조사의 구도』,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공저) 등이 있다.

수록내용

시(詩)
부(賦)
가사(歌辭)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