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와 제사 : 지내는 예법과 얽힌 이야기

- 제목
- 차례와 제사 : 지내는 예법과 얽힌 이야기
- 저자
- 이영춘 저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9-12-2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이 책은 늘 우리 가까이에 있는 제사 예법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술되었다. 유교적 예법을 기초로 하고 우리의 전통 예속을 참작하여 정리 하였으며, 현대의 젊은이들이 우리의 전통 제례를 쉽게 이해하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평이한 문장으로 서술하였다. 아울러 예법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무미건조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흥미에도 유의하였다. - '머리말'에서 일부 인용 -
수록내용
● 머리말
● 제1부 제사 이야기
1. 김수로왕 사당의 제사 이야기
2. 문종 대왕이 객귀들을 제사한 제문
3. 현덕 왕후(顯德王后)의 제사
4. 남한산성의 제사 이야기
5. 제사의 왕국
6. 음사(淫祀) 이야기
7. 제사지내고 복받은 이야기
8. 별나게 정성을 들인 제사 이야기
9. 정성되지 않은 제사로 부정탄 이야기
10. “씨는 못 속인다?”는 이야기
11. 제사에 개고기 올린 이야기
● 제2부 제사의 원리와 정신
12. 현대 사회에서 제사의 의미
13. 귀신은 있는가?
14. 제사의 역사와 전통
15. 사당(祠堂)의 유래와 제도
16. 신주, 위패, 지방의 차이
17. 제사를 올리는 정신 자세:신을 받드는 도리
18. 목욕 재계
19. 제사의 수칙 10조
20. 가정의 제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21. 제사를 지내는 날짜와 시각
22. 강신과 참신의 순서
23. 제사는 몇 대 조상까지 지내는가?
24. 제사의 담당자는 누구인가? -봉자 자손의 권한과 책임-
25. 가문과 제사의 계승법 : 종법
26. 우리 나라 종법의 전통
27. 제사의 상속과 입후 제도
28. 여성의 제사 참례
29. 제사의 경비는 누가 부담하는가?
30.「가정의례준칙」의 문제점
31.『주자가례(朱子家禮)』는 어떤 책인가?
32. 요긴한 우리 나라의 예서(禮書)들
● 제3부 제사의 준비와 진행
33. 제구(祭具)와 제기(祭器)의 마련
34. 제사 음식(제수)의 준비와 제상 차리는 법
35. 제복의 마련과 입는 법
36. 신주의 봉안과 지방 쓰는 법
37. 축문 쓰는 법
38. 기제사의 유래와 의미
39. 기제사의 준비
40. 기제사의 봉행
41. 시제의 의미
42. 시제의 준비와 택일
43. 시제의 봉행
44. 명절 차례(茶禮)의 유래와 의미
45. 차례의 준비
46. 차례의 봉행
47. 묘제(墓祭)의 유래와 의미
48. 묘제의 준비
49. 묘제의 봉행
● 제1부 제사 이야기
1. 김수로왕 사당의 제사 이야기
2. 문종 대왕이 객귀들을 제사한 제문
3. 현덕 왕후(顯德王后)의 제사
4. 남한산성의 제사 이야기
5. 제사의 왕국
6. 음사(淫祀) 이야기
7. 제사지내고 복받은 이야기
8. 별나게 정성을 들인 제사 이야기
9. 정성되지 않은 제사로 부정탄 이야기
10. “씨는 못 속인다?”는 이야기
11. 제사에 개고기 올린 이야기
● 제2부 제사의 원리와 정신
12. 현대 사회에서 제사의 의미
13. 귀신은 있는가?
14. 제사의 역사와 전통
15. 사당(祠堂)의 유래와 제도
16. 신주, 위패, 지방의 차이
17. 제사를 올리는 정신 자세:신을 받드는 도리
18. 목욕 재계
19. 제사의 수칙 10조
20. 가정의 제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21. 제사를 지내는 날짜와 시각
22. 강신과 참신의 순서
23. 제사는 몇 대 조상까지 지내는가?
24. 제사의 담당자는 누구인가? -봉자 자손의 권한과 책임-
25. 가문과 제사의 계승법 : 종법
26. 우리 나라 종법의 전통
27. 제사의 상속과 입후 제도
28. 여성의 제사 참례
29. 제사의 경비는 누가 부담하는가?
30.「가정의례준칙」의 문제점
31.『주자가례(朱子家禮)』는 어떤 책인가?
32. 요긴한 우리 나라의 예서(禮書)들
● 제3부 제사의 준비와 진행
33. 제구(祭具)와 제기(祭器)의 마련
34. 제사 음식(제수)의 준비와 제상 차리는 법
35. 제복의 마련과 입는 법
36. 신주의 봉안과 지방 쓰는 법
37. 축문 쓰는 법
38. 기제사의 유래와 의미
39. 기제사의 준비
40. 기제사의 봉행
41. 시제의 의미
42. 시제의 준비와 택일
43. 시제의 봉행
44. 명절 차례(茶禮)의 유래와 의미
45. 차례의 준비
46. 차례의 봉행
47. 묘제(墓祭)의 유래와 의미
48. 묘제의 준비
49. 묘제의 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