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솔올마을의 변화로 살펴보는 농촌마을의 애환

연기 솔올마을:근현대촌락사의축도(縮圖)

제목
연기 솔올마을:근현대촌락사의축도(縮圖)
저자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저,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연기 소올마을은 조선후기 종족마을의 형성부터 행정도시 개발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보통 농촌마을이 겪어온 변화의 궤적을 함께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변화를 위해 농촌마을이 어떠한 모색을 하고 있는지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김필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전임강사, 지리학


곽호제: 청양대학 초빙교수, 국사학


유보경: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사회학


이연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김현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박종익: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문학

수록내용

연기 솔올마을의 역사와 문화

- 머리말
- 근현대 촌락사의 축도(縮圖)
- 지리적 환경과 경관 변화
- 종족마을로서의 인문지리적 환경
- 미호천과 동진들 그리고 교통로와 경관 변화
- 조선 후기의 동진들과 주변 교통로
- 일제 강점기 경부선의 개통과 경관 변화
- 상징적 경관과 마을 내 지명들
- 상징적 장소와 경관
- 마을 내 지명들
- 마을의 형성과 전개
- 종족마을의 형성
- 마을 연혁
- 종족마을의 형성
- 결성 장씨의 위상
- 문중 서당의 설립과 운영
- 근현대기의 문중 활동
- 일제 강점기 마을의 변화와 주민들의 동향
- 일제 강점기 마을의 변화
- 아미산 ─ 송산의 횃불시위
- 일제 강점기의 송룡리 사람들
- 문중 서당에서 공립보통학교로
- 해방 이후 마을의 변화
- 농지개혁과 마을의 변화
- 한국전쟁과 마을의 변화
- 마을의 유물과 유적
- 마애불
- 고인돌
- 언양 김씨 정려
- 육영재
- 결성 장씨 고문서
- 미작농업 마을 솔올
- 곡창지대의 면모를 갖추기까지
- 농업생산과 노동
- 벼농사
- 시설 재배
- 1970년대의 참외 재배
- 수박 재배 현황
- 과수 재배
- 축산
- 영세상인과 임금노동자
- 마을의 경제적 전망
- 사회생활과 문화
- 마을 현황
- 행정구역과 조직
- 마을 명칭과 유래
- 인구와 가족 구성
- 인구 구성
- 성씨별 통계
- 마을 조직과 운영
- 연반계와 동계
- 반상회
- 작목반
- 부녀회
- 청년회
- 노인회
- 청송계
- 기타
- 교육과 종교
- 교육
- 종교
- 마을의 숙원사업
- 근대적 변화와 일상생활
- 교통체계의 변화와 근대 문물의 유입
- 관찰사가 내왕했던 길가 마을에서 철로변 마을로
- 경부선 철도를 통해 들어온 식민지 풍광
- 도로운송체계로의 전환과 시장권
- 근대 문명의 환희와 의식주의 변화
- 문명의 이기와의 만남
- 마법의 옷감 나일론의 보급
- 부잣집과 가난한 집의 먹을거리 차이
- 문화부락에서 모범주택단지로
- 민간요법과 여가생활
- 무면허 의사의 눈부신 활약
- 높은 교육열과 사교생활
- 마을 사람들의 삶과 애환
- ‘청진으로 날아온 징용장’ 양진업 씨
- ‘동면 미인과 연기군 대지주’ 이석희 씨
- ‘송룡리 할머니의 평범한 삶’ 박헌금 씨
- 솔올마을의 민속
- 민간신앙
- 공동체신앙
- 가택신앙
- 통과의례
- 출산속
- 혼례
- 상례
- 제례
- 세시풍속
- 구비전승
- 설화
- 민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