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 이익이 가려 뽑은 퇴계학의 정수
이자수어(李子粹語)

- 제목
- 이자수어(李子粹語)
- 저자
- 이황 지음,이익 편저,안정복 편저,이광호 번역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12-10-05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특징
조선 후기의 유학자 이익(李瀷)이 이황(李滉)과 그의 문인들의 글 중에서 인격수양에 긴요한 글을 뽑아서 유문별(類門別)로 엮음
방대한 자료에서 선별, 분류하였기 때문에 역주자는 이의 이해를 위해 편저자들이 어디서 글을 가져왔는지의 출전을 전부 기록
방대한 자료에서 선별, 분류하였기 때문에 역주자는 이의 이해를 위해 편저자들이 어디서 글을 가져왔는지의 출전을 전부 기록
제품소개
『이자수어』는 성호 이익이 가려 뽑은 퇴계학의 정수로, 유학의 진리관과 학문관에 기초하여 진리를 인식하고 실천하는 데 한평생을 바친 퇴계 이황의 학문과 삶을 이해하기 위한 퇴계학 입문서입니다. 퇴계 선생의 문집과 제자들의 다양한 기록에서 발췌하여 편집하였으며 방대한 자료를 선별, 분류하여 의미를 압축하였으며, 이황의 유학적인 학문 성향을 강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저자소개
안정복
이광호
이익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이다. 충북 제천 사람으로 성호에게 사사하면서 그의 학풍을 계승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순암집』, 『상헌수필』, 『홍범연의』, 『가례집해』 등이 있다.
이광호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민족문화추진회와 태동고전연구소에서 다년간 한학을 수학하였다. 태동고전연구소의 연구교수와 한림대학교에서 철학과 부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논문인 「이퇴계 학문론의 체용적 구조에 관한 연구」 외에 퇴계 이황,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과 관련된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대표 번역서로는 『근사록집해』1·2(아카넷), 『성학십도』(홍익출판사) 등이 있다.
박사논문인 「이퇴계 학문론의 체용적 구조에 관한 연구」 외에 퇴계 이황,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과 관련된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대표 번역서로는 『근사록집해』1·2(아카넷), 『성학십도』(홍익출판사) 등이 있다.
이익
18세기 실학의 대표 인물로 자는 자신自新, 호는 성호星湖이다. 항상 퇴계 이황을 존경하였으며 그에 대한 존경심에서 『사칠신편』을 저술하고 『이선생예설』과 『이자수어』를 편집하여 저술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성호사설』, 『성호집』 등이 있다.
수록내용
번역문
텍스트원문
텍스트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