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주사의 석탑과 불상
운주사

- 제목
- 운주사
- 저자
- 이태호 저,천득염 저,황호균 저,유남해 사진,황호균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종교 > 불교
제품소개
운주사의 천불천탑(千佛千塔)은 한 계곡에 수많은 석불, 석탑이 무리지어 있다는 점과 그 토속적인 조형성으로 인하여 신비스러운 곳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전남대 박물관에서 4차례에 걸쳐 실시한 발굴 조사를 토대로 각 석탑, 석불의 옛 모습과 현재 모습을 실어 운주사의 유적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이 책은 전남대 박물관에서 4차례에 걸쳐 실시한 발굴 조사를 토대로 각 석탑, 석불의 옛 모습과 현재 모습을 실어 운주사의 유적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저자소개
유남해
이태호
천득염
『진경산수화』,『 한국전통회화』,『 조선시대고문서』, 『무등산』, 『전통 문양』, 『부석사』, 『운주사』등 많은 사진집을 제작하였고 한국관광사진콘테스트에서 준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문화편찬팀에 근무하면서 포토에세이 등을 통해 활약하고 있다.
이태호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였고 같은 학교 대학원 미학ㆍ미술사학과를 졸엽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고대 산수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겸재 정선의 가계와 생애’ ‘김홍도의 진경산수’ ‘다산 정약용의 예술 세계’ ‘조선시대의 초상화’ ‘1940년대 친일 미술’ 등이 있으며 「고구려 고분 벽화」 「조선 후기 회화사 연구」 「그림으로 본 옛 서울」 등의 저서와 평론집 「우리 시대, 우리 미술」이 있다.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대학교 미술학과에서 박사 후 과정을 지냈다. 저서로는『전남의 전통 건축』, 『운주사』, 『향토사의 이론과 실제』 등이 있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건축사와 건축론을 강의하고 있다.
수록내용
운주사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사진과 함께 설명
- 좌절된 불사의 현장
- 도선(道詵)의 창건 설화가 신비감을 부추긴 불적
- 운주사, 그 영원한 화두
- 기록과 전설에 스민 발자취
- 못생긴 돌부처와 돌탑들이 꽉 들어찬 운주사 계곡
- ‘운주사’, 미완의 불사
- 운주사의 석탑
- 석탑의 현황과 명명(命名)
- 석탑의 형식 분류
- 방형 석탑(方形石塔)
- 원형 석탑(圓形石塔)
- 모전(模塼) 계열 석탑
- 석주형(石柱形) 폐탑(廢塔)
- 석탑의 구성 요소
- 기단부(基壇部)
- 탑신(塔身)
- 옥개석(屋蓋石)
- 상륜부(相輪部)
- 사리공(舍利孔)
- 석탑의 양식적 특성
- 석탑의 건립 배경
- 고려 초의 시대상과 건탑 양상
- 풍수지리설의 유행과 건탑
- 석탑의 건립 기간
- 불상
- 불상의 현황과 명명(命名)
- 독립형 석불
- 미완성 석불 좌상ㆍ입상(와불)과 석불 입상(시위불)
- 석조 불감 안의 남ㆍ북쪽 석불 좌상
- 석조 불감(佛龕)
- 남쪽 석불 좌상
- 북쪽 석불 좌상
- 광배를 갖춘 석불 좌상
- 마애 여래 좌상
- 암벽군형 석불
- 석조 불상군
- 석조 불상군 “가”
- 석조 불상군 “나”
- 석조 불상군 “다”
- 석조 불상군 “라”
- 석조 불상군 “마”
- 석조 불상군 “바”
- 산재 석불 및 파손 석불
- 금동 여래ㆍ보살 입상과 소조 불두편
- 금동 여래 입상
- 금동 보살 입상
- 소조 불두(佛頭) 조각
- 불상의 양식적 특징
- 자세
- 상호(相好)
- 수인(手印)
- 법의(法衣)
- 광배와 대좌
- 불상의 건립 배경
- 칠성바위와 돌을 깨고 나른 흔적들
- 칠성석
- 불상 채석장
- 암반 마멸 흔적
- 조성 시기의 문제와 최근의 발굴 성과
- 최선의 조형물로 조화를 이룬 도량
- 좌절된 불사의 현장
- 도선(道詵)의 창건 설화가 신비감을 부추긴 불적
- 운주사, 그 영원한 화두
- 기록과 전설에 스민 발자취
- 못생긴 돌부처와 돌탑들이 꽉 들어찬 운주사 계곡
- ‘운주사’, 미완의 불사
- 운주사의 석탑
- 석탑의 현황과 명명(命名)
- 석탑의 형식 분류
- 방형 석탑(方形石塔)
- 원형 석탑(圓形石塔)
- 모전(模塼) 계열 석탑
- 석주형(石柱形) 폐탑(廢塔)
- 석탑의 구성 요소
- 기단부(基壇部)
- 탑신(塔身)
- 옥개석(屋蓋石)
- 상륜부(相輪部)
- 사리공(舍利孔)
- 석탑의 양식적 특성
- 석탑의 건립 배경
- 고려 초의 시대상과 건탑 양상
- 풍수지리설의 유행과 건탑
- 석탑의 건립 기간
- 불상
- 불상의 현황과 명명(命名)
- 독립형 석불
- 미완성 석불 좌상ㆍ입상(와불)과 석불 입상(시위불)
- 석조 불감 안의 남ㆍ북쪽 석불 좌상
- 석조 불감(佛龕)
- 남쪽 석불 좌상
- 북쪽 석불 좌상
- 광배를 갖춘 석불 좌상
- 마애 여래 좌상
- 암벽군형 석불
- 석조 불상군
- 석조 불상군 “가”
- 석조 불상군 “나”
- 석조 불상군 “다”
- 석조 불상군 “라”
- 석조 불상군 “마”
- 석조 불상군 “바”
- 산재 석불 및 파손 석불
- 금동 여래ㆍ보살 입상과 소조 불두편
- 금동 여래 입상
- 금동 보살 입상
- 소조 불두(佛頭) 조각
- 불상의 양식적 특징
- 자세
- 상호(相好)
- 수인(手印)
- 법의(法衣)
- 광배와 대좌
- 불상의 건립 배경
- 칠성바위와 돌을 깨고 나른 흔적들
- 칠성석
- 불상 채석장
- 암반 마멸 흔적
- 조성 시기의 문제와 최근의 발굴 성과
- 최선의 조형물로 조화를 이룬 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