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의 역사와 문화로 만나는 선비의 모습
금산 불이마을:백세청풍,선비의고장

- 제목
- 금산 불이마을:백세청풍,선비의고장
- 저자
-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저,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에서 현대화가 되면서 해체되는 마을에 문제의식 가지고 2004년 ‘마을연구단’을 조직하여 충남지역 마을 9곳을 지정하여 매년 3곳씩 심층 조사하여 그 결과를 연구 논문과 ‘마을지’로 꾸미기로 하였다. 『금산 불이마을』은 7번째 마을지이다.
불이마을은 금산군 부리면의 동남단 가장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불이리는 크게 불이와 배정이 두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불이마을은 야은 길재의 후손인 해평길씨가 세거해 온 종족마을이고, 배정이마을은 밀양박씨의 후손이 모여 종족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두 마을 사람들은 모두 조상에 대한 강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조상의 유훈을 중시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유림활동에도 적극적이다. 가히 선비의 고장이라 이름할 만하다.
불이마을 사람들은 몸소 생업에 종사하면서, 풍부한 민속 문화의 전통도 계승해왔다. 주민들의 생활 속에 반속과 민속이 함께해왔던 것이다. 그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탑제라 할 수 있다. 특히 불이마을의 탑제는 마을 사람 모두가 제의 주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제주가 제의를 진행하는 동안 주민들은 개개인의 촛불기원의식을 동시에 행한다. 배정이 마을의 위령제는 동학운동 희생자들의 원혼을 달래기 위한 것으로, 마을 주민들의 따뜻한 마음씨를 읽을 수 있다.
불이마을은 금산군 부리면의 동남단 가장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불이리는 크게 불이와 배정이 두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불이마을은 야은 길재의 후손인 해평길씨가 세거해 온 종족마을이고, 배정이마을은 밀양박씨의 후손이 모여 종족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두 마을 사람들은 모두 조상에 대한 강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조상의 유훈을 중시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유림활동에도 적극적이다. 가히 선비의 고장이라 이름할 만하다.
불이마을 사람들은 몸소 생업에 종사하면서, 풍부한 민속 문화의 전통도 계승해왔다. 주민들의 생활 속에 반속과 민속이 함께해왔던 것이다. 그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탑제라 할 수 있다. 특히 불이마을의 탑제는 마을 사람 모두가 제의 주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제주가 제의를 진행하는 동안 주민들은 개개인의 촛불기원의식을 동시에 행한다. 배정이 마을의 위령제는 동학운동 희생자들의 원혼을 달래기 위한 것으로, 마을 주민들의 따뜻한 마음씨를 읽을 수 있다.
저자소개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김필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전임강사, 지리학
곽호제: 청양대학 초빙교수, 국사학
유보경: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사회학
이연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김현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박종익: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문학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전임강사, 지리학
곽호제: 청양대학 초빙교수, 국사학
유보경: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사회학
이연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김현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박종익: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문학
수록내용
금산 불이마을의 역사와 문화
- 머리말
- 총론 : 백세청풍(百世淸風), 선비의 고장
- 마을의 형성 배경
- 근대기의 불이마을
- 문중조직과 사회조직
- 경제 활동
- 마을의 민속
- 반속(班俗)과 민속(民俗)이 함께 하는 선비의 고장
- 자연환경과 인문경관
- 지리적 위치
- 마을의 인문경관
- 불사이군의 충절 마을 ‘불이(不二)’
- 경관을 통한 성씨집단 간의 경쟁
- 민속경관과 풍수
- 마을의 지명
- 마을의 역사
- 마을연혁
- 종족마을의 형성
- 해평길씨 종족마을 불이리
- 밀양박씨 종족마을 배정이
- 조선시대 불이리의 모습
- 해평길씨의 위상과 문중활동
- 인삼 재배
- 동학농민전쟁과 배정이
- 일제강점기 마을의 변화와 교육
- 마을의 변화와 주민들의 경험
- 교육
- 해방 후 마을의 변화
- 부리면의 사회주의 운동
- 한국전쟁 경험
- 불이리의 가문숭상ㆍ개인선양의 풍조
- 해평길씨의 가문숭상
- 배정이 밀양박씨의 위선사업
- 개인선양 풍조
- 경제 활동
- 지역 특성과 가구별 경제 활동
- 인삼의 경제
- 경작의 확대
- 경작과정
- 판로와 전망
- 삼장(蔘場)의 임금노동
- 농업과 축산
- 벼농사
- 밭농사
- 시설농가 : 깻잎과 기타 작물
- 축산
- 경제적 전망
- 사회생활과 문화
- 인구와 가족구성
- 인구구성과 변화
- 가족규모와 구성
- 친족관계와 문중 조직
- 친족관계
- 해평길씨와 청풍사
- 밀양박씨의 덕산사
- 마을의 공적 조직
- 마을회와 마을임원
- 이장
- 노인회
- 부녀회
- 공동의 목적을 도모하는 계
- 불이리의 송계
- 한학의 전통을 이어온 사은계
- 사라져 가는 노동조직
- 상여계
- 친목계
- 작목반
- 불이리의 교육
- 초등교육
- 부리중학교
- 주민들의 종교생활
- 새로운 전통의 지평을 열며
- 근현대기 일상생활의 변화
- 일상생활에서의 전통과 근대
- 청풍사와 ‘양반의식’
- 근대문명의 환희
- 송계와 초군이야기
- 음식 문화와 여가생활
- 불이리의 먹거리는?
- 놀이문화와 여가생활
- 시련 속에서 피어난 에피소드
- “하룻 베로 빤쓰 입히면 살아온다?”
- 아 아! 민족의 비극 한국전쟁
- 불이리의 삼장과 강원도로 떠난 인삼 행상
- 민속과 구전자료
- 민간신앙
- 불이 탑제와 길산제
- 배정이 탑제
- 기우제
- 뱅이
- 세시풍속
- 상례
- 구전자료
- 머리말
- 총론 : 백세청풍(百世淸風), 선비의 고장
- 마을의 형성 배경
- 근대기의 불이마을
- 문중조직과 사회조직
- 경제 활동
- 마을의 민속
- 반속(班俗)과 민속(民俗)이 함께 하는 선비의 고장
- 자연환경과 인문경관
- 지리적 위치
- 마을의 인문경관
- 불사이군의 충절 마을 ‘불이(不二)’
- 경관을 통한 성씨집단 간의 경쟁
- 민속경관과 풍수
- 마을의 지명
- 마을의 역사
- 마을연혁
- 종족마을의 형성
- 해평길씨 종족마을 불이리
- 밀양박씨 종족마을 배정이
- 조선시대 불이리의 모습
- 해평길씨의 위상과 문중활동
- 인삼 재배
- 동학농민전쟁과 배정이
- 일제강점기 마을의 변화와 교육
- 마을의 변화와 주민들의 경험
- 교육
- 해방 후 마을의 변화
- 부리면의 사회주의 운동
- 한국전쟁 경험
- 불이리의 가문숭상ㆍ개인선양의 풍조
- 해평길씨의 가문숭상
- 배정이 밀양박씨의 위선사업
- 개인선양 풍조
- 경제 활동
- 지역 특성과 가구별 경제 활동
- 인삼의 경제
- 경작의 확대
- 경작과정
- 판로와 전망
- 삼장(蔘場)의 임금노동
- 농업과 축산
- 벼농사
- 밭농사
- 시설농가 : 깻잎과 기타 작물
- 축산
- 경제적 전망
- 사회생활과 문화
- 인구와 가족구성
- 인구구성과 변화
- 가족규모와 구성
- 친족관계와 문중 조직
- 친족관계
- 해평길씨와 청풍사
- 밀양박씨의 덕산사
- 마을의 공적 조직
- 마을회와 마을임원
- 이장
- 노인회
- 부녀회
- 공동의 목적을 도모하는 계
- 불이리의 송계
- 한학의 전통을 이어온 사은계
- 사라져 가는 노동조직
- 상여계
- 친목계
- 작목반
- 불이리의 교육
- 초등교육
- 부리중학교
- 주민들의 종교생활
- 새로운 전통의 지평을 열며
- 근현대기 일상생활의 변화
- 일상생활에서의 전통과 근대
- 청풍사와 ‘양반의식’
- 근대문명의 환희
- 송계와 초군이야기
- 음식 문화와 여가생활
- 불이리의 먹거리는?
- 놀이문화와 여가생활
- 시련 속에서 피어난 에피소드
- “하룻 베로 빤쓰 입히면 살아온다?”
- 아 아! 민족의 비극 한국전쟁
- 불이리의 삼장과 강원도로 떠난 인삼 행상
- 민속과 구전자료
- 민간신앙
- 불이 탑제와 길산제
- 배정이 탑제
- 기우제
- 뱅이
- 세시풍속
- 상례
- 구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