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홍성 독배마을의 역사와 경제

홍성 독배마을:토굴새우젓으로이름난옛포구마을

제목
홍성 독배마을:토굴새우젓으로이름난옛포구마을
저자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저,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홍성 독배마을의 역사, 사회생활과 경제생활, 일상생활, 포구취락과 포구상업의 잔영, 그리고 민속과 구전자료 등이 담겨 있다.

저자소개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김필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전임강사, 지리학


곽호제: 청양대학 초빙교수, 국사학


유보경: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사회학


이연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김현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박종익: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문학

수록내용

홍성 독배마을의 역사와 문화

- 머리말
- 총론 : 토굴 새우젓으로 이름난 옛 포구마을
- 옹암포의 형성과 발전
- 옹암포의 쇠퇴와 마을의 변화
- 토굴 새우젓 마을로 거듭나기
- 마을 주민과 사회조직
- 옹암리의 경관과 문화
- 토굴 새우젓 마을의 전망
- 자연환경과 인문경관
- 지리적 위치
- 마을의 인문경관
- 포구촌락
- 가촌(街村) 형태의 취락구조
- 토굴 새우젓의 특화 장시
- 마을의 지명
- 마을의 역사적 전개
- 마을 연혁
- 옹암포구의 정치ㆍ사회ㆍ경제적 기반
- 조선 후기 장시권과 포구상업의 발달
- 일제강점기 광천의 정치ㆍ사회ㆍ경제적 기반
- 옹암포구의 형성과 성쇠
- 옹암포의 형성
- 옹암포의 제1전성기 : 일제강점기
- 옹암포의 제2전성기 : 1950년대~1960년대
- 옹암포의 쇠퇴기
- 독배마을의 변신 : 토굴 새우젓 마을로 특화
- 마을 사람들의 삶과 기억
- 일제강점기
- 1950~60년대
- 새마을운동기
- 옹암포와 보부상
- 보부상과 그 조직
- 보부상의 활동영역 : 옹암포를 중심으로
- 토굴 새우젓이 익는 옹암리의 경제
- ‘옹암포’의 경제활동
- 가구별 경제 활동
- ‘새우젓’ 경제
- 경제적 기반들 : 토굴과 축제, 그리고 교통망
- 영세한농업
- 옹암리의 미래
- 사회생활과 문화
- 인구와 가족구성
- 인구구성과 변화
- 가족규모와 구성형태
- 성씨집단과 친족관계
- 성씨의 구성
- 마을의 공식조직과 마을 운영
- 마을회와 이장
- 이장
- 마을임원들
- 개발위원회
- 노인회
- 부녀회
- 청년회
- 마을의 비공식조직
- 광천토굴마을 상인조합
- 상포계
- 사우회
- 새마을운동과 협력의 관행
- 새마을운동
- 품앗이와 놉
- 출향인들의 협력
- 상수도를 근간으로 하는 마을 간 협력
- 교육과 종교
- 교육
- 주민들의 종교활동
- 마을의 전망
- 포구취락과 포구상업의 잔영(殘影)
- 포구취락의 형성과 특징
- 옹암 포구의 취락 형성
- 포구취락의 특징과 간척
- 근대식 가옥의 특징과 건축물
- 옹암포의 상가와 보부상
- 옹암포의 상가와 공장들
- 옹암포의 보부상과 ‘도붓장사’
- 민속과 구전자료
- 민간신앙
- 세시풍속
- 구전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