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풍수설과 우리 생활의 관계를 알아보다

풍수지리

제목
풍수지리
저자
김광언 저,김광언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제품소개

집터나 마을터에 관련된 풍수의 유형과 지역적인 차이 그리고 우리가 풍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해왔는지를 컬러 사진과 함께 엮었다.

저자소개

김광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와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를 거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문화인류학 전공)를 졸업했다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농기구』, 『한국의 옛집』, 『한국의 민속놀이』,『한국농기구 고』(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한국의 주거 민속지』, 『풍수지리』, 『의 민속지』, 『한국의 부엌』, 『우리 문화가 온 길』, 『한국의 집지킴이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디딜방아연구』, 『우리생활 백년 ‘집’』 등이 있다.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와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를 거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문화인류학 전공)를 졸업했다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농기구』, 『한국의 옛집』, 『한국의 민속놀이』,『한국농기구 고』(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한국의 주거 민속지』, 『풍수지리』, 『의 민속지』, 『한국의 부엌』, 『우리 문화가 온 길』, 『한국의 집지킴이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디딜방아연구』, 『우리생활 백년 ‘집’』 등이 있다.

수록내용

집터나 마을터에 관련된 풍수의 유형,

- 앞글
- 풍수(風水)란 무엇인가
- 풍수설의 흐름
- 집터와 마을터 풍수
- 전국의 형국(形局)
- 형국에 따른 비율
- 지역적 차이
- 형국의 뜻과 사람의 생각
- 동물형
- 소
- 말
- 닭형
- 토끼형
- 범형
- 꿩형
- 제비형
- 기러기형
- 학형
- 용형
- 지네형
- 봉형
- 개형
- 거북형
- 돼지형
- 게형
- 뱀형
- 솔개형
- 물질형
- 반달형
- 배형
- 등잔형
- 금소반형
- 구유형
- 띠형
- 가마솥형
- 조리형
- 금가락지형
- 붓형
- 비단형
- 식물형
- 매화형
- 연꽃형
- 버들형
- 인물형
- 신선형
- 옥녀형
- 장군형
- 문자형(文字形)
- 야자형(也字形)
- 용자형(用字形)
- 일자형(日字形)
- 물자형(勿字形)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