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26] 「무정」을 읽는다 : 「무정」의 빛과 그림자

- 제목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26] 「무정」을 읽는다 : 「무정」의 빛과 그림자
- 저자
- 하타노 세츠코 외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2-2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이 책에 실린 『무정』론을 비롯한 여러편의 선행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초기 사상을 형성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끼쳤던 메이지 이래 일본의 다양한 사조 및 사상들과 만날 수 있다. 일찍이 일본에서 유학했던 이광수가 당시 일본에서 무엇을 읽고 공부했으며,그것으로 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논의들이라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더욱 인상적인 것은 『무정』으로부터 역으로 제국의 근대를 반추하여 들여다보고 있는 저자의 시선이다. 식민지시대 초기 근대라는 '빛'을 지향하며 민족 계몽에 앞장섰으나 역설적이게도 바로 그 '빛'에 눈멀어 민족의 반역자라는 오욕의 '그림자'를 남겼던 이광수. 저자는 이러한 이광수에게 메이지시대 이래 근대를 지향하며 앞만 보고 달려 오다 결국 파국을 맞았던 제국 일본의 모습을 본다. 그런 의미에서,『무정을 읽는다』는 『무정』이라는 창을 통해서 식민지 조선과 제국 일본이 공유했던 근대의 경험을 들여다보고 이를 꼼꼼하게 기록해 나간 방대한 분량의 보고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수록내용
발간사 _ 이제 일역 『무정』이 있고, 그 해설서도 있다
책머리에
제1장 이광수의 민족주의사상과 진화론
1. 시작하며
2. 이광수의 초기 민족의식과 동학
3. 제1차 유학시절
4. 오산학교 시절
5. 제2차 유학시절
6. 힘의 지배에서 사랑의 지배로
7. 마치며
제2장 이광수의 자아
1. 시작하며
2.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ㆍ「수병투약(隨病投藥)」
3. 「사랑인가(愛か)」
4. 「어린 희생」
5. 「옥중호걸(獄中豪傑)」
6. 「곰」
7. 마치며
제3장 「문학의 가치」에 대하여
1. 시작하며
2. 극한적 상황
3. '정(情)'의 분자
4. 「아한(我韓)의 현상」
5. '정(情)'의 교육
6. 끝내며
제4장 옥중호걸의 세계
1. 시작하며
2. 독서이력
3. 키노시타 나오에
4. 톨스토이
5. 바이런
6. 홍명희
7. 루쉰
8. 정리하며
제5장 『무정』을 읽는다(상)
1. 시작하며
2. 시간 구성
3. 형식의 자기 분석
4. 1일째 _ 두 만남
5. 2일째 _ 예수의 초상화
6. 이광수와 베르그송
7. 2일째 _ 청량리사건
8. 2일째 _ 전보
9. 4일째(1) _ 평양행
10. 4일째(2) _ 은사의 무덤 앞
11. 4일째(3) _ 밤기차
12. 형식의 '여행'
13. 마치며
제6장 『무정』을 읽는다(중)
1. 경성학교
2. 동맹퇴학사건
3. 작자의 분석
4. 학생이라는 집단 _ 조소사건
5. 변명하지 않은 이유
6. 이광수 내부의 두 가지 경향 _ 「김경」과 「공화국의 멸망」
7. 『무정』의 5일 간
제7장 『무정』을 읽는다(하)
1. 영채의 청량리사건
2. 영채가 속한 세계의 붕괴
3. 영채의 구제
4. '보여지는' 선형
5. '보는' 선형
6. 삼랑진을 향한 '중막(中幕)'
7. 삼랑진에서의 '대단원'
8. 마치며
제8장 『무정』의 이데올로기
1. 시작하며
2. '시대의 충실한 기록'
3. 빛과 어둠의 세계
4. 욕망의 이데올로기
5. 반(反)욕망의 이데올로기
6. 마치며
제9장 상하이 보고(報告)
1. 제1차 체류 _ 1913년 11월 말~1914년 1월 초
2. 제2차 체류 _ 1919년 2월~1921년 3월
3. 상하이 _ 1995년 1월
제10장 이광수와 메이지학원
역자 후기 _ 『무정』에서 제국의 근대를 보다
책머리에
제1장 이광수의 민족주의사상과 진화론
1. 시작하며
2. 이광수의 초기 민족의식과 동학
3. 제1차 유학시절
4. 오산학교 시절
5. 제2차 유학시절
6. 힘의 지배에서 사랑의 지배로
7. 마치며
제2장 이광수의 자아
1. 시작하며
2.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ㆍ「수병투약(隨病投藥)」
3. 「사랑인가(愛か)」
4. 「어린 희생」
5. 「옥중호걸(獄中豪傑)」
6. 「곰」
7. 마치며
제3장 「문학의 가치」에 대하여
1. 시작하며
2. 극한적 상황
3. '정(情)'의 분자
4. 「아한(我韓)의 현상」
5. '정(情)'의 교육
6. 끝내며
제4장 옥중호걸의 세계
1. 시작하며
2. 독서이력
3. 키노시타 나오에
4. 톨스토이
5. 바이런
6. 홍명희
7. 루쉰
8. 정리하며
제5장 『무정』을 읽는다(상)
1. 시작하며
2. 시간 구성
3. 형식의 자기 분석
4. 1일째 _ 두 만남
5. 2일째 _ 예수의 초상화
6. 이광수와 베르그송
7. 2일째 _ 청량리사건
8. 2일째 _ 전보
9. 4일째(1) _ 평양행
10. 4일째(2) _ 은사의 무덤 앞
11. 4일째(3) _ 밤기차
12. 형식의 '여행'
13. 마치며
제6장 『무정』을 읽는다(중)
1. 경성학교
2. 동맹퇴학사건
3. 작자의 분석
4. 학생이라는 집단 _ 조소사건
5. 변명하지 않은 이유
6. 이광수 내부의 두 가지 경향 _ 「김경」과 「공화국의 멸망」
7. 『무정』의 5일 간
제7장 『무정』을 읽는다(하)
1. 영채의 청량리사건
2. 영채가 속한 세계의 붕괴
3. 영채의 구제
4. '보여지는' 선형
5. '보는' 선형
6. 삼랑진을 향한 '중막(中幕)'
7. 삼랑진에서의 '대단원'
8. 마치며
제8장 『무정』의 이데올로기
1. 시작하며
2. '시대의 충실한 기록'
3. 빛과 어둠의 세계
4. 욕망의 이데올로기
5. 반(反)욕망의 이데올로기
6. 마치며
제9장 상하이 보고(報告)
1. 제1차 체류 _ 1913년 11월 말~1914년 1월 초
2. 제2차 체류 _ 1919년 2월~1921년 3월
3. 상하이 _ 1995년 1월
제10장 이광수와 메이지학원
역자 후기 _ 『무정』에서 제국의 근대를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