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현대문학] 한국문학과 사회상

제목
[현대문학] 한국문학과 사회상
저자
강명관 외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4-05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모두 16편의 글이 모아졌다. 시기별로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었다.제1부는 신라시대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는 중세시기의 작품을 다룬 것이다. 김혈조는 최치원의 “격황소서”를 통해 육두품 지식인의 글쓰기를 점검했고, 김종구는 15세기 문인인 남효온의 문학세계를 다루었고, 정출헌과 조현설은 각각 16세기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과 일기문학의 담론을 검토하였다.제2부는 조선 후기의 작품들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김현양은 “최척전”에서 ‘희망’과 ‘연대’의 서사를 발견하였고, 정환국은 18세기 인물기사(人物記事) 속에서의 사회적 담론을, 강명관은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식욕’의 실체를 규명하였다. 한편 신동흔은 19세기 홍경래 설화 속에서 민중의 역사의식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제3부는 근대 전환기에 고전문학이 어떻게 근대의 충격에 대응해 갔는가를 다루고 있다. 김종철은 판소리의 변화를, 진재교는 한시를, 권순긍은 고전소설의 변모를 각각 문제 삼고 있으며, 이형대는 1920~30년대 시조가 어떻게 정전화 됐는가를 다루었다. 말하자면 근대의 충격 속에서 고전문학의 장르인 판소리와 한시와 고전소설과 시조가 어떻게 근대와 대응했는가를 살펴본 셈이다.제4부는 현대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유병관은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를 통해 개인의 ‘열망과 불안’을, 남정희는 월북시인 김상훈 시의 미적 성취를 규명하였다. 한편 김성수는 북한 학계에서 이루어진 ‘리얼리즘 논쟁(1957~63)’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김상열은 극작가 차범석을, 임규찬은 소설가 황석영을 각각 당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다루고 의미화하였다.이 책에 실린 글들이 한국문학과 사회상을 온전히 다루지는 못했지만 그 문제의식의 자장은 모든 시대를 충분히 포괄할 수 있으리라 본다.

수록내용

책을 내면서

1부 중세 지식인의 자기 정립과 글쓰기

최치원의 「격황소서(檄黃巢書)」에 대한 일고(一考) _ 지식인의 글쓰기와 관련하여 _ 김혈조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인간자세와 그의 한시(漢詩) _ 김종구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과 문학생성의 공간 _ 정출헌

16세기 일기문학에 나타난 사대부들의 신이담론과 소설사의 관계 _ 조현설

2부 조선 후기 문학사의 사회적 편폭

「최척전」, ‘희망’과 ‘연대(連帶)’의 서사 _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층위에 대한 주제적 해석 _ 김현양

조선 후기 인물기사(人物記事)의 전개와 그 성격 _ 정환국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식욕과 판타지 _ 강명관

구전설화에 깃든 민중의 역사 참여 의식 _ 장수 전설을 중심으로 _ 신동흔

3부 근대 전환기 고전문학의 대응과 향방

19~20세기 전반기 공동체의 변화와 판소리 _ 김종철

근대전환기와 한시의 대응 _ 근대 인쇄 매체와 한시와의 상관성 _ 진재교

근대의 충격과 고소설의 변모 _ 개ㆍ신작 고소설에 투영된 ‘남녀 관계’의 소설사적 고찰 _ 권순긍

1920~30년대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_ 이형대

4부 현대문학의 현실주의적 전개

근대 앞에 선 개인의 열망과 불안, 공포 _ ‘나의 침실로’론 _ 유병관

김상훈 시의 미적 성취와 그 가치 _ 남정희

북한학계 리얼리즘 논쟁(1957~63)의 비판적 검토 _ 김성수

운명론적 세계관과 그 극복의 문제 _ 차범석 초기 희곡을 중심으로 _ 김상열

한반도의 운명과 함께 한 서사의 역사 _ 황석영론 _ 임규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