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총서 10] 조선 유학의 자연철학

- 제목
- [한국철학총서 10] 조선 유학의 자연철학
- 저자
- 한국사상사연구회 저,한국사상사연구회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06-11-0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오늘날 유교는 세계 지성인들의 한 가지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그들은 처음에는 동아시아 내 이른바 ''네 마리 용''의 놀라운 경제 발전에 유교가 어떤 윤리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으리라는 가설을 논증해 보려 하더니, 이제는 유교 사상과 민주주의의 양립, 즉 ''유교 민주주의''의 가능성 여부를 따지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유교의 공동체주의를 서양의 개인주의의 대안으로 상정해 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과 논의들은 그동안 유교를 공부해 온 우리 연구자들의 입장에서 대단히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유교가 박물관 진열장 속의 골동품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무언가를 말해 줄 수 있는, 살아 있는 철학이 될 수 있음을 세계인들이 인정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우리들에게 유교 철학의 현대화에 관심을 갖도록 자극해 준다는 의의를 갖고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처음에는 동아시아 내 이른바 ''네 마리 용''의 놀라운 경제 발전에 유교가 어떤 윤리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으리라는 가설을 논증해 보려 하더니, 이제는 유교 사상과 민주주의의 양립, 즉 ''유교 민주주의''의 가능성 여부를 따지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유교의 공동체주의를 서양의 개인주의의 대안으로 상정해 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과 논의들은 그동안 유교를 공부해 온 우리 연구자들의 입장에서 대단히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유교가 박물관 진열장 속의 골동품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무언가를 말해 줄 수 있는, 살아 있는 철학이 될 수 있음을 세계인들이 인정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우리들에게 유교 철학의 현대화에 관심을 갖도록 자극해 준다는 의의를 갖고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수록내용
책 머리에
유학의 자연철학 윤사순
1. 유학에서 보는 자연철학의 문제
2. 유학적 자연철학의 발단
3. 원초 유학의 자연철학
4. 성리학의 자연철학
5. 실학의 자연철학
6. 유학적 자연철학의 변천
7. 전망적 여론餘論
조선 유학자들의 격물치지론 김낙진
자연 인식 방법과 관련하여
1. 들어가는 말
2. 주희의 격물치지론
3. 정도전의 벽불론과 궁리론
4. 장현광의 격물치지론과 추리
5. 정약용 자연 인식 이론의 실학적 성격
6. 이항로의 격물치지론과 서양 과학 기술 비판
7. 최한기의 서양 과학 수용과 추측론
8. 맺음말
조선 유학의 하늘 개념에 담긴 관념성과 인격성 유초하
1. ''하늘'' 개념을 살피는 이유
2. 연구 방법의 한계와 의의
3. 유학적 ''하늘'' 개념의 원천적 다의성
4. 초기 성리학의 혼융적 하늘 개념
5. 중기 성리학의 객관적 관념론
6. 성리학적 하늘 개념의 갈래들과 시대별 차이
7. 실학에 나타난 하늘 개념의 갈래들
8. 실학적 하늘 개념의 분열
9. 조선 유학에 나타난 하늘 개념 변천의 의의
조선 유학의 리 개념에 관한 연구 김형찬
자연철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리 개념의 함의와 변천
3. 조선 유학의 리
4. 맺음말 - 자연의 리와 인간의 리
조선 유학에서의 기의 개념 김용헌
1. 머리말
2. 조선 초기의 기 개념
3. 조선 중기의 기 개념
4. 조선 후기의 기 개념
5. 맺음말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음양오행론 김문용
1. 머리말
2. 조선 전기 성리학자들의 음양오행론
3. 조선 중ㆍ후기 성리학자들의 음양오행론
4.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음양오행론
5. 맺음말
조선 유학에서의 귀신 개념 김 현
1. 머리말
2. 조선 초기 남효온의 귀신론
3. 조선 중기 성리학자들의 귀신론
4. 조선 후기 낙학파의 귀신론
5.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귀신론
6. 맺음말
편저자 및 필자 소개
유학의 자연철학 윤사순
1. 유학에서 보는 자연철학의 문제
2. 유학적 자연철학의 발단
3. 원초 유학의 자연철학
4. 성리학의 자연철학
5. 실학의 자연철학
6. 유학적 자연철학의 변천
7. 전망적 여론餘論
조선 유학자들의 격물치지론 김낙진
자연 인식 방법과 관련하여
1. 들어가는 말
2. 주희의 격물치지론
3. 정도전의 벽불론과 궁리론
4. 장현광의 격물치지론과 추리
5. 정약용 자연 인식 이론의 실학적 성격
6. 이항로의 격물치지론과 서양 과학 기술 비판
7. 최한기의 서양 과학 수용과 추측론
8. 맺음말
조선 유학의 하늘 개념에 담긴 관념성과 인격성 유초하
1. ''하늘'' 개념을 살피는 이유
2. 연구 방법의 한계와 의의
3. 유학적 ''하늘'' 개념의 원천적 다의성
4. 초기 성리학의 혼융적 하늘 개념
5. 중기 성리학의 객관적 관념론
6. 성리학적 하늘 개념의 갈래들과 시대별 차이
7. 실학에 나타난 하늘 개념의 갈래들
8. 실학적 하늘 개념의 분열
9. 조선 유학에 나타난 하늘 개념 변천의 의의
조선 유학의 리 개념에 관한 연구 김형찬
자연철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리 개념의 함의와 변천
3. 조선 유학의 리
4. 맺음말 - 자연의 리와 인간의 리
조선 유학에서의 기의 개념 김용헌
1. 머리말
2. 조선 초기의 기 개념
3. 조선 중기의 기 개념
4. 조선 후기의 기 개념
5. 맺음말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음양오행론 김문용
1. 머리말
2. 조선 전기 성리학자들의 음양오행론
3. 조선 중ㆍ후기 성리학자들의 음양오행론
4.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음양오행론
5. 맺음말
조선 유학에서의 귀신 개념 김 현
1. 머리말
2. 조선 초기 남효온의 귀신론
3. 조선 중기 성리학자들의 귀신론
4. 조선 후기 낙학파의 귀신론
5.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귀신론
6. 맺음말
편저자 및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