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정치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Ⅵ - 政治思想編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Ⅵ - 政治思想編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6권에서는 정치사상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유학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의 전개, 삼국 및 남ㆍ북국시대 유가정치사상, 고려시대 유가의 정치사상, 조선 전기 관학파의 정치사상, 붕당정치와 군주의 정치사상, 탕평기 군주의 정치사상, 유가정치사상의 현대적 의의 등 수록

- 간행사
- 일러두기
- 서장 : 유학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의 전개 / 이병휴
- 제1절 정치사상과 정치이념
- 1. 본서의 성격
- 2. 정치사상과 정치이념
- 제2절 정치사상사의 시기 구분
- 제3절 선진유가사상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서의 전개
- 1. 유학 수용 이전의 정치사상
- 2. 삼국 및 남북국시대의 유학과 정치사상
- 3. 고려의 유학과 정치사상
- 제4절 성리학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서의 기능
- 1. 훈구파·사림파 갈등기의 정치와 성리학의 기능
- 2. 붕당정치기 성리학의 정치적 기능
- 제5절 조선 후기의 사회변동과 성리학의 정치사상으로의 변용
- 1. 실학의 성격과 정치사상으로서의 기능
- 2. 한말 유학의 성격과 정치사상으로서의 기능
- 3. 유학사상의 현대적 의미
- 제1장 삼국 및 남·북국시대 유가정치사상 / 노중국
- 제1절 유학의 전래와 수용
- 1. 기존 연구의 검토
- 2. 한문자의 수용·확산과 유학의 전래
- 3. 삼국의 유학 수용
- 제2절 삼국의 국가운영과 유가정치사상
- 1. 유학교육기관의 설치와 인재양성
- 2. 율령의 반포와 유가정치사상
- 3. 유교적 제의체계의 정비
- 제3절 남·북국 시기 국가운영과 유가정치사상
- 1. 통일신라의 국학정비와 인재선발기준의 변화
- 2. 발해의 역사계승의식과 유가정치사상
- 제4절 한국고대사회의 정치사상과 삼교 융합
- 제2장 고려시대 유가의 정치사상 / 남인국
- 제1절 유가정치사상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 제2절 고려 전기 유가의 정치사상
- 1. 취민유도(取民有度)와 인정을 통한 태조의 유교정치의 지향
- 2. 과거제 도입과 학교 교육을 통한 유가정치사상의 확립
- 3. 유가정치사상의 확산 - 성종, 최승로, 김심언 등을 중심으로
- 4. 사학 교육 활동을 통해 본 최충의 정치사상
- 제3절 고려 중기 유가의 정치사상
- 1. 북송성리학의 수용과 유가정치사상의 변화
- 2. 예종·인종 대 경연과 교육제도 정비를 통한 유가정치사상의 심화
- 3. 서경천도운동과 삼국사기를 통해 본 김부식의 정치사상
- 4. 관직진출을 희구하였던 이규보의 정치사상
- 제4절 고려 후기 유가의 정치사상
- 1. 성리학의 수용과 군자정치론
- 2. 현실 정치의 실용성을 강조한 이제현의 정치사상
- 3. 고려체제 유지를 지향한 이색의 정치사상
- 제3장 조선 전기 관학파의 정치사상 / 차장섭
- 제1절 관학파의 개념과 연구동향
- 1. 관학파의 개념과 특성
- 2. 관학파의 연구동향
- 제2절 관학파의 주요 인물과 정치사상
- 1. 정도전
- 2. 권근
- 3. 조준
- 4. 하륜
- 5. 변계량
- 6. 양성지
- 제3절 관학파의 정치사상
- 1. 정치이념
- 2. 통치주체
- 3. 정치운영론
- 4. 대민의식
- 5. 대외의식
- 제4장 조선 전기 사림파의 정치사상 / 최이돈
- 제1절 서론
- 제2절 사림정치론의 형성배경
- 1. 권력구조의 변화
- 2. 정치운영방식의 변화
- 제3절 사림정치권력론
- 1. 군신공치론
- 2. 성학군주론
- 제4절 사림정치운영론
- 1. 공론정치론
- 2. 붕당정치론
- 제5절 사림정치개혁론
- 제6절 결론
- 제5장 조선 중기 사림파의 정치사상 / 설석규
- 제1절 연구방향
- 제2절 조선 중기 정치·사회 동향
- 제3절 사림의 도학적 세계관 형성
- 제4절 사림의 세계관과 정치사상
- 1. 남명 조식의 리기분대론
- 2. 퇴계 이황의 리기수승론
- 3. 율곡 이이의 리기묘합론
- 4. 우계 성혼의 리기일발론
- 제5절 사림의 정치사상과 붕당론
- 1. 남명학파의 군자소인론
- 2. 퇴계학파의 조제탕평론
- 3. 율곡학파의 보합론
- 4. 우계학파의 보합론
- 제6장 조선 중기 북인의 정치사상 / 신병주
- 제1절 머리말
- 제2절 조선 중기 북인의 연원과 범주
- 제3절 선조 후반에서 광해군 시대 북인의 부상
- 1. 의병활동과 북인의 부상
- 2. 선조 후반 소북 정권의 수립
- 3. 광해군의 즉위와 대북 정권의 수립
- 제4절 대북의 정치사상과 현실대응 - 정인홍을 중심으로
- 1. 기축옥사와 정인홍의 대응
- 2. 정인홍의 학풍과 사상
- 3. 정인홍의 정치사상
- 제5절 소북의 사상과 현실대응
- 1. 소북의 처세와 정치 참여
- 2. 국방사상과 군제개혁론
- 3. 은광개발과 주전론
- 제6절 정치사상의 특징과 한계
- 제7절 맺음말
- 제7장 조선 후기 남인의 정치사상 / 우인수
- 제1절 남인의 형성과 활동
- 1. 남인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성과의 검토
- 2. 남인의 형성과 분화
- 3. 남인의 정치적 부침과 활동
- 제2절 남인 정치사상의 구조와 성격
- 1. 군주론
- 2. 붕당론
- 3. 경세론
- 4. 대외관
- 제3절 남인 정치사상의 역사적 의의
- 제8장 조선 후기 노론의 정치사상과 경세론 / 조준호
- 제1절 기존 연구의 검토
- 제2절 서인의 분기와 노론의 형성
- 1. 숙종대의 정국과 노·소론의 분립
- 2. 노론의 인적 구성과 성분
- 제3절 17세기 후반 노론 정치사상의 확립
- 1. 도통 인식과 대명의리론의 정립
- 2. 군자소인론과 세도재상론
- 3. 절용론(節用論)과 부세제도 이정책(釐正策)
- 제4절 18세기 호·락의 분리와 정치사상의 변용
- 1. 호락논쟁과 학맥의 추이
- 2. 호론계열의 정치사상과 경세론
- 3. 낙론계열의 정치사상과 경세론
- 제5절 노론 정치사상의 계승과 의미
- 제9장 붕당정치와 군주의 정치사상 / 정호훈
- 제1절 붕당정치기 군주 정치사상과 연구 동향
- 1. 문제의 제기: 군주 정치사상과 군주성학론
- 2. 기존 연구의 검토와 연구 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