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경제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Ⅶ - 經濟思想編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Ⅶ - 經濟思想編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7권에서는 경제사상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한국경제사와 유학사상, 삼국 및 통일신라의 경제정책과 경제사상,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조선 건국주체의 경제사상, 조선 중기 양반의 경제관과 경제생활, 정조의 경제론, 조선 후기 실학의 농업사상, 유교경제사상과 아시아적 가치 등 수록

- 간행사
- 일러두기
- 총론: 한국경제사와 유학사상 / 이헌창
- 1. 경제사상편의 기획의도
- 2. 본서의 구성과 내용
- 3. 연구 논점의 정리
- 1) 시대구분
- 2) 유학경제사상의 기본 구조
- 3) 유학경제사상의 특성과 분화
- 4) 한국 유학경제사상의 발전
- 5) 유학경제사상과 정책·윤리·관행
- 6) 경제환경과 경제사상
- 7) 유학경제사상과 이문화의 접촉
-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의 경제정책과 경제사상 / 전덕재
- 제1절 머리말
- 제2절 유교적 천인감응설과 안민정책
- 제3절 중농사상과 상업정책
- 1. 중농사상과 권농정책
- 2. 상업정책
- 3. 불교의 상업관
- 제4절 왕토사상과 고대국가의 토지지배정책
- 제5절 맺음말
- 제2장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 김난옥
- 제1절 연구방향
- 제2절 권농책과 중농이념
- 1. 권농정책의 전개
- 2. 중농이념과 부국안민사상
- 3. 왕토사상과 조세관
- 제3절 상업관과 말업론
- 1. 상업·무역관
- 2. 신분관과 말업론
- 제4절 화폐·이자관
- 1. 주전정책과 화폐관
- 2. 의천의 주전론과 화폐관
- 3. 이자관과 민생론
- 제5절 소비의식과 경제관념
- 1. 사치·부에 대한 관념
- 2. 불교적 경제의식
- 제3장 조선 건국주체의 경제사상 / 박홍규
- 제1절 건국기 경제사상
- 1. 기존 연구의 검토
- 2. 고려말기 상황과 신세력의 등장
- 3. 공적 세상의 구현
- 제2절 전제개혁론과 과전법
- 1. 전제개혁 논쟁
- 2. 정도전의 사전개혁 구상
- 3. 정도전과 조준 사상의 비교
- 제3절 재정제도정비론
- 1. 『조선경국전』 부전의 경제사상
- 2. 세입
- 3. 세출
- 제4절 직업·산업론
- 1. 사민관
- 2. 중농억상관
- 제4장 조선 중기 사림파 성리학자의 경제사상 / 김태영
- 제1절 조선조 사림의 성장과 사림정치의 전개
- 제2절 16세기 조선 사림의 경제사상
- 제3절 16세기 사림의 경제개혁론
- 1. 기묘사림의 경제개혁론
- 2. 사림정치기의 경제개혁론
- 제4절 사림파 경제사상의 현실과 이상
- 제5장 조선 중기 양반의 경제관과 경제생활 / 이욱
- 제1절 고문서와 일기를 통해 본 양반의 경제생활
- 제2절 이상적인 경제관과 경제생활
- 1. 16세기의 이상적인 경제관과 경제생활
- 2. 17세기의 이상적인 경제관과 경제생활
- 제3절 현실에서의 경제관과 경제생활
- 1. 상속제도와 경제관
- 2. 노비관과 노비경영
- 3. 인적 연망에 의한 경제생활과 그 관념
- 4. 토지소유의 확대와 농장 경영
- 5. 비농업 부분의 경제활동
- 제4절 맺음말
- 제6장 조선시대 공물제도와 경제정책이념 / 이헌창
- 제1절 연구사의 정리와 쟁점
- 1. 연구사의 정리
- 2. 연구사의 쟁점
- 제2절 조선건국기 경제정책이념의 정립과 공물제도의 수립
- 1. 유교통치이념으로서의 왕도정치와 안민부국론
- 2. 고려시대 경제정책 및 이념의 발전적 계승
- 3. 공물제도의 특성과 상고주의 이념
- 제3절 조선 전기 왕도적 안민이념의 심화와 공물제도 개선론
- 1. 세종의 왕도정치와 공법
- 2. 성리학적 왕도정치론의 심화와 공안개정론
- 제4절 17세기 대동법 시행의 사상적 배경: 안민부국론
- 1. 대동법의 장점
- 2. 대동법의 두 사상적 원류
- 3. 광해조의 대동법 논의와 경기도 대동법의 시행
- 4. 인조대 대동법 논의의 진전
- 5. 효종대 대동법 논의의 사상적 배경
- 제5절 대동법 시행 이후 공물제도
- 제6절 주요 논점의 정리
- 제7장 조선 후기의 유교적 경제규범과 수세관행: 지방사회에서의 부패와 중재 그리고 유교이념 / 이훈상
- 제1절 문제제기: 왜 유교적 경제규범과 수세관행인가?
- 제2절 부패 담론과 유교이념
- 제3절 중앙정부의 수세정책의 기조와 지방사회의 수세관행
- 제4절 수세관행에 있어서 향리들에 대한 기대와 이들의 입장
- 제5절 맺음말
- 제8장 정조의 경제론 / 한상권
- 제1절 머리말
- 제2절 농업론
- 1. 토지제도개혁론
- 2. 양전론
- 3. 권농정책
- 제3절 상업론
- 1. 화권재상론
- 2. 통공론
- 3. 시장중시론
- 제4절 맺음말
- 제9장 조선 후기 시전정책의 경제사상적 배경 / 정승모
- 제1절 머리말
- 제2절 도성 시전의 성립과 발전
- 1. 시전설립의 이념과 방향
- 2. 조선 후기 시전 상황
- 제3절 난전의 확대와 갈등의 확산
- 1. 난전, 난전금법의 용례와 개념
- 2. 난전법 및 난전권 설법의 배경과 전개
- 제4절 18세기 이후 시전 특권의 폐막과 대처방식
- 1. 폐막의 원인
- 2. 갈등의 조정과 원칙의 고수
- 3. 통공을 통한 변화의 수용과 한계
- 4. 갈등의 미봉과 지속
- 제5절 시전정책안을 통해 본 조선 후기 관료 및 지식층의 경제관
- 1. 영조조 시전정책과 홍봉한의 역할
- 2. 난전 문제에 관한 김재로와 조현명의 시각 차이
- 3. 통공의 효과에 대한 채제공과 박종악의 상반된 해석
- 4. 『우서』에 나타난 유수원의 경제관
- 제6절 맺음말
- 제10장 조선 후기 실학의 농업사상 / 염정섭
- 제1절 서론
- 제2절 농정개혁론의 양상
- 1. 양전시행론
- 2. 수리시설 변통론
- 3. 농기구와 농법변통론
- 4. 둔전(시범농장)경영론
- 제3절 전제개혁론의 추이
- 1. 유형원의 공전제론
- 2. 이익과 박지원의 한전론
- 3. 정약용의 여전론과 정전론
- 제4절 맺음말
- 제11장 조선 후기 실학의 상공업사상 / 백승철
- 제1절 연구사 정리
- 제2절 실학적 상공업론의 사상적 기반
- 1. 성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