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사회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Ⅸ - 社會思想編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Ⅸ - 社會思想編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9권에서는 사회사상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한국 유학사회사상의 역사적 전개, 한국 고대 유가의 사회사상, 고려시대 유학의 사회사상, 조선시대 성리학의 가족관과 종법사상, 조선시대 성리학적 향촌자치제의 전개와 추이, 실학파의 사회사상, 현대 한국사회와 유가사회사상 등 수록

- 간행사
- 일러두기
- 서장: 한국 유학사회사상의 역사적 전개 ∥ 정만조
- 제1절 ‘사회사상’편의 설정과 서술
- 제2절 유학의 전래와 사회사상의 형성
- 1. 유학의 전래와 삼국의 수용
- 2. 고려시대 유학의 사회사상
- 제3절 신유학에 토대한 유학사회사상의 전개
- 1. 조선시대 유학사회사상의 제 양상
- 2. 조선 후기 유학사회사상의 신국면
- 제4절 한국 유학사회사상의 현대적 의의
- 제1장 한국 고대 유가의 사회사상 ∥ 김수태
- 제1절 연구동향과 문제점
- 제2절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와 유교
- 제3절 왕토?왕민사상의 형성
- 제4절 공동체관념과 유교의 결합
- 제5절 개인적 자각과 도덕의 중시
- 제6절 예의 강조와 분수론
- 제7절 유교와 역사의 대화
- 제2장 고려시대 유학의 사회사상 ∥ 박진훈
- 제1절 고려시대 유학의 역할
- 제2절 가족윤리와 사회윤리
- 1. 가족윤리?사회윤리의 기본, 효사상
- 2. 효사상 보급을 위한 국가정책
- 제3절 여성관과 부부윤리
- 제4절 사회신분사상
- 1. 고려 전기의 사회신분사상
- 2. 고려 후기의 사회신분사상
- 제5절 고려시대 사회사상의 역할과 의미
- 제3장 조선시대 유가의 가?민?국 인식 ∥ 한기범
- 제1절 가?민?국 연구와 사회사상
- 1. 가민국 연구의 필요성
- 2. 가?민?국에 대한 기본 인식
- 제2절 연구사로 본 유가의 가민국 인식
- 1. 가?민?국의 연구동향
- 2. 가민국 인식의 경향과 추이
- 제3절 강상론적 갈등과 가민국 인식
- 1. 충효의 갈등
- 2. 출사의리의 갈등
- 3. 사士의 죽을 의리
- 4. 국상?사상이 겹쳤을 때의 의례
- 제4절 종법론적 갈등과 가민국 인식
- 1. 조선 초기의 종법론적 갈등
- 2. 공의전복제론과 인조 대의 전례논쟁
- 3. 현종 대의 예송논쟁과 가?국의 논리
- 제5절 가민국사상의 성격과 의미
- 1. 가민국사상의 성격
- 2. 가민국사상의 현대적 의미
- 제4장 조선시대 성리학의 가족관과 종법사상 ∥ 김미영
- 제1절 종법사상의 기원과 전개
- 제2절 종법적 가족제도의 전개와 발달
- 1. 상속과 계승: 균분에서 적장자우대로
- 2. 양자제도: 양계혈통에서 부계혈통으로
- 3. 혼인제도: 남귀여가혼에서 친영제로
- 제3절 종법적 가족문화의 보급과 정착
- 1. 삼강행실도: 위계적 가족윤리
- 2. 주자가례: 서열적 혈통질서
- 제4절 종법사상에 입각한 성리학의 가족관
- 제5장 조선 전기 성리학의 사회사상 ∥ 장숙필
- 제1절 성리학과 사회사상
- 제2절 조선조 성리학의 사회인식
- 1. 이상사회론
- 2. 예와 도덕
- 3. 인륜도덕의 존재론적 근거
- 제3절 조선 초기 성리학자들의 사회사상 283
- 1. 성리학의 수용
- 2. 민본과 왕도의 구현
- 제4절 전기사림파의 사회사상 290
- 1. 사림과 도학정신의 확립
- 2. 조광조와 지치의 표방
- 3. 이언적과 제왕지학의 확립
- 제5절 후기사림파의 사회사상
- 1. 사림의 사회적 역할
- 2. 이황의사회인식과도덕사회의이상
- 3. 이이의 경장론과 도학적 경세론의 확립
- 제6절 예학시대의 사회사상
- 1. 예학 흥기의 학문적?사회적 배경
- 2. 예서禮書의 편찬과 그 사회적 함의
- 제7절 조선성리학의 사회사상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의
- 제6장 조선시대 성리학적 향촌자치제의 전개와 추이 ∥ 정진영
- 제1절 성리학과 향촌자치
- 제2절 조선 전기 향촌자치제의 수용 과정
- 1. 유향소와 그 치폐 과정
- 2. 향약의 수용 과정: 새로운 향촌자치론의 수용
- 제3절 16~17세기 향촌자치제와 그 내용
- 1. 향안과 향규의 정비와 기능
- 2. 조선적 향약과 동계?동약
- 3. 자치조직의 운영
- 제4절 조선 후기 향촌자치구조의 변화와 그 내용
- 1. 면리제의 정착과 사족의 향론 분열
- 2. 유향소의 성격변화와 수령향약
- 3. 동계?동약의 실시와 그 한계
- 제5절 새로운 자치제의 모색
- 제7장 조선 후기 근기남인 실학파의 예론 ∥ 최진덕
- 제1절 주자학과 실학의 접점으로서의 예학
- 제2절 리학 혹은 심학을 위한 예학
- 제3절 예학시대와 주자학의 탈주자학화
- 제4절 주자학의 인간주의와 허목의 적극적인 예학
- 제5절 윤휴의 효 중시와 그의 예학
- 제6절 이익의 탈주자학적 경학과 예학
- 제7절 순자적 사유, 그리고 예학과 법학의 교차
- 제8장 실학파의 사회사상 ∥ 이근호
- 제1절 실학파 사회사상 연구의 동향과 한계
- 제2절 이상사회론
- 1. 현실인식과 변통론
- 2. 이상사회의 전형
- 제3절 예치 및 사회질서에 대한 인식
- 1. 예치질서의 확립
- 2. 군?민 인식의 변화
- 제4절 사회 운영의 대안 모색
- 1. 직분을 고려한 신분제개혁론
- 2. 향촌사회 운영
- 제5절 연구의 진전을 위한 제언
- 제9장 조선 후기 유학의 대동사회론과 변혁사상 ∥ 고성훈
- 제1절 연구동향과 문제점
- 제2절 유학의 변혁사상 추이
- 1. 혁명론과 변법론
- 2. 이상사회론과 대동사상
- 제3절 조선 후기 변혁운동 목표로서의 대동사회 건설
- 1. 대동의 용례
- 2. 대동사회 구상의 사례 ― 정여립의 대동계
- 제4절 조선 후기 변혁운동 주체의 사상 기반과 활동
- 1. 변란의 주체
- 2. 변란 주체의 활동 사례와 변혁논리
- 3. 광양란, 이필제란과 변혁의 논리
- 4. 동학농민전쟁과 민본?변혁의 논리
- 제5절 대동사회론의 새로운 모색
- 제10장 조선 양명학파의 사회사상 ∥ 최재목
- 제1절 양명학과 사회사상
- 제2절 조선 양명학파의 사회사상
- 1. 계곡 장유의 시세?실심에 근본한 사회사상
- 2. 지천 최명길의 변통?실제적 사회사상
- 3. 하곡 정제두의 실심?실학의 사회사상
- 제3절 조선 양명학파 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