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교류의 현황과 과제를 정리 분석하다
DMZ Ⅲ -접경지역의 화해ㆍ협력-

- 제목
- DMZ Ⅲ -접경지역의 화해ㆍ협력-
- 저자
- 정규서 저,최성철 저,김재한 저,강택구 저
- 발행처
- 도서출판소화
- 발행년도
- 2014-07-0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정치학
제품소개
도서출판 소화에서 출판한 『DMZ Ⅲ -접경지역의 화해ㆍ협력-』에서는, 남북한간 직접교류ㆍ협력의 질과 양을 제고시키기 위해서 남북한 접경교류의 현황과 과제를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저자소개
강택구
김재한
정규서
한림대 한림과학원 연구원
김재한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미국 로체스터대 정치학박사,
현 한림대 정외과 교수
현 한림대 정외과 교수
정규서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수록내용
접경교류의 개념과 의미, 북한의 접경지역 현황, 판문점을 통한 남북한 교류, 동서부 접경지역의 교류 현황과 과제를 정리 분석 한 연구서 수록
- 서문
- I. 접경교류의 개념과 의미
- 1. 연구의 의의와 범위
- 2. 접경지역의 개념과 현황
- II. 북한의 접경지역 현황
- 1. 황해남도
- 2. 개성직할시
- 3. 강원도
- III. 판문점을 통한 남북한 교류
- 1. 휴전회담(1951 ~ 1953)
- 2. 남북교류 단절기(1953 ~ 1969)
- 3. 판문점 대화시대의 개막(1970 ~ 1979)
- 4. 판문점 대화의 다양화(1980 ~ 1988)
- 5. 판문점 대화와 민간교류의 활성화(1989 ~ 1944)
- 6. '대화의 장'으로서의 판문점 역할 축소(1995 이후)
- IV. 서부 접경지역의 교류 현황과 과제
- 1. 남북교류와 서부 접경지역의 중요성
- 2. 서부 접경지역을 통한 남북교류 현황
- 3. 서부 접경지역 교류의 장애요인 및 문제점 분석
- 4. 서부 접경지역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
- V. 동부 접경지역 교류의 현황과 과제
- 1. 남북교류와 동부 접경지역의 중요성
- 2. 국토중앙 접경지역
- 3. 백두대간 접경지역
- 4. 북한강 및 남강 유역
- 5. 동해
- VI. 긴장완화와 화해협력을 위한 접경교류 활용방안
- 1. 접경 현지의 추진 성과 및 반성
- 2. 남북한간 상호성과 제도화
- 3. 남북한 접경지역의 새로운 개념 모색
- 참고문헌
- 서문
- I. 접경교류의 개념과 의미
- 1. 연구의 의의와 범위
- 2. 접경지역의 개념과 현황
- II. 북한의 접경지역 현황
- 1. 황해남도
- 2. 개성직할시
- 3. 강원도
- III. 판문점을 통한 남북한 교류
- 1. 휴전회담(1951 ~ 1953)
- 2. 남북교류 단절기(1953 ~ 1969)
- 3. 판문점 대화시대의 개막(1970 ~ 1979)
- 4. 판문점 대화의 다양화(1980 ~ 1988)
- 5. 판문점 대화와 민간교류의 활성화(1989 ~ 1944)
- 6. '대화의 장'으로서의 판문점 역할 축소(1995 이후)
- IV. 서부 접경지역의 교류 현황과 과제
- 1. 남북교류와 서부 접경지역의 중요성
- 2. 서부 접경지역을 통한 남북교류 현황
- 3. 서부 접경지역 교류의 장애요인 및 문제점 분석
- 4. 서부 접경지역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
- V. 동부 접경지역 교류의 현황과 과제
- 1. 남북교류와 동부 접경지역의 중요성
- 2. 국토중앙 접경지역
- 3. 백두대간 접경지역
- 4. 북한강 및 남강 유역
- 5. 동해
- VI. 긴장완화와 화해협력을 위한 접경교류 활용방안
- 1. 접경 현지의 추진 성과 및 반성
- 2. 남북한간 상호성과 제도화
- 3. 남북한 접경지역의 새로운 개념 모색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