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로 되짚어보는 우리 문화
옛 책

- 제목
- 옛 책
- 저자
- 안춘근 저,김종섭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화 > 민속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우리 옛 책이 다른 나라에 비해 어떻게 다르고 어떠한 옛 책이 전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참모습을 문화적으로 되새겨 보는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옛 책이 어떤 기관이나 단체에서 출판되었는지, 또 그 여러 출판 기관에서 나온 책들은 서로 어떻게 다른지, 또 어떤 종류가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본다.
저자소개
김종섭
안춘근
대원사 사진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안춘근
성균관대 정치학과를 졸업하였고 미국 샌디에이고 바이블 대학에서 명예 인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객원교수와 한국출판학회 명예회장올 역임했다. 고서를 수집하여 1979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장서 1만 권을 이양하였다. 저서 로 「출판개론」 「출판사회학」 「한국서지학」 「한국출판문화론」 등 여러 권이 있고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수록내용
고서란 무엇인지, 어떤 기관이나 단체에서 출판되었는지 등 수록
- 머리말
- 한국의 고서(古書)
- 책의 의미
- 책의 내용 요건
- 책의 형식 요건
- 고서란 무엇인가
- 고서에 대한 바른 인식
- 고서는 새로운 책이다
- 고서는 신간서의 뿌리다
- 고서의 분류
- 분류 기준
- 고서의 종별
- 한국의 전적(典籍)
- 유교 관계
- 역사 관계
- 교육 관계
- 사회 과학
- 법정(法政) 관계
- 경제 관계
- 기타
- 옛 책의 특색
- 형태
- 내용
- 고서의 판원(板元)
- 판원
- 판원과 판각
- 판원의 분류
- 고서의 분류
- 필사본(筆寫本)
- 사본의 역사
- 사본의 종류
- 고증 요령
- 목판본(木版本)
- 목판의 의미
- 판본의 특질
- 판본의 고증
- 활자본(活字本)
- 활자의 의미
- 활자의 발생
- 활자의 특질
- 활자의 고증
- 언해본(諺解本)
- 훈민정음의 의미
- 한글의 특성
- 중요 저작
- 판화본(版畵本)
- 판화본의 의미
- 판화의 역사
- 우수한 판화 작품
- 수진본(袖珍本)
- 수진본의 정의
- 수진본의 효용
- 수진본과 출판 기술
- 문집류(文集類)
- 족보(族譜)
- 족보의 유형
- 족보와 세도
- 족보의 가치
- 족보의 수집
- 참고 문헌
- 머리말
- 한국의 고서(古書)
- 책의 의미
- 책의 내용 요건
- 책의 형식 요건
- 고서란 무엇인가
- 고서에 대한 바른 인식
- 고서는 새로운 책이다
- 고서는 신간서의 뿌리다
- 고서의 분류
- 분류 기준
- 고서의 종별
- 한국의 전적(典籍)
- 유교 관계
- 역사 관계
- 교육 관계
- 사회 과학
- 법정(法政) 관계
- 경제 관계
- 기타
- 옛 책의 특색
- 형태
- 내용
- 고서의 판원(板元)
- 판원
- 판원과 판각
- 판원의 분류
- 고서의 분류
- 필사본(筆寫本)
- 사본의 역사
- 사본의 종류
- 고증 요령
- 목판본(木版本)
- 목판의 의미
- 판본의 특질
- 판본의 고증
- 활자본(活字本)
- 활자의 의미
- 활자의 발생
- 활자의 특질
- 활자의 고증
- 언해본(諺解本)
- 훈민정음의 의미
- 한글의 특성
- 중요 저작
- 판화본(版畵本)
- 판화본의 의미
- 판화의 역사
- 우수한 판화 작품
- 수진본(袖珍本)
- 수진본의 정의
- 수진본의 효용
- 수진본과 출판 기술
- 문집류(文集類)
- 족보(族譜)
- 족보의 유형
- 족보와 세도
- 족보의 가치
- 족보의 수집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