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미술을 통한 우리역사 보기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 제목
-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 저자
- 최완수 저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1-10-24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통사
- [KDC ] 예술 > 조각 및 조형예술
제품특징
이미지 417장 수록
제품소개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는 불상의 기원과 그것이 중국과 한국으로 흘러들어온 과정을 추적하여 그에 반영된 우리 역사 전개과정을 밝히고 있는 제품입니다. 불교미술의 중심인 불상 이야기를 중심으로 탑파나 동종, 부도, 탑비 등 불교 미술 전반에 대해 광범위하게 언급하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이념적 배경이나 역사적인 사실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저자소개
최완수
1942년 충남 예산 출생.
1965. 2. 서울대학교 사학과 졸업.
1965. 4.∼1966. 3. 국립박물관 근무.
1966. 4.∼현재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1975. 3.∼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 국사학과, 서울대학교 미대 회화과 및 대학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
<주요 저서>
『佛像硏究』, 『謙齋鄭敾眞景山水畵』, 『그림과 글씨』, 『秋史集』, 『金秋史硏究艸』, 『명찰순례 1·2·3』, 『진경시대』(공저), 『조선왕조 충의열전』,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 등.
<주요 논문>
「珠考」, 「간다라 佛衣攷」, 「釋迦佛幀圖說」, 「謙齋鄭敾」, 「謙齋眞景山水畵考」, 「秋史實紀」, 「秋史書派考」, 「碑派書考」, 「韓國書藝史綱」 등.
1965. 2. 서울대학교 사학과 졸업.
1965. 4.∼1966. 3. 국립박물관 근무.
1966. 4.∼현재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1975. 3.∼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 국사학과, 서울대학교 미대 회화과 및 대학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
<주요 저서>
『佛像硏究』, 『謙齋鄭敾眞景山水畵』, 『그림과 글씨』, 『秋史集』, 『金秋史硏究艸』, 『명찰순례 1·2·3』, 『진경시대』(공저), 『조선왕조 충의열전』,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 등.
<주요 논문>
「珠考」, 「간다라 佛衣攷」, 「釋迦佛幀圖說」, 「謙齋鄭敾」, 「謙齋眞景山水畵考」, 「秋史實紀」, 「秋史書派考」, 「碑派書考」, 「韓國書藝史綱」 등.
수록내용
1부 불상의 기원, 인도
2부 비단길을 따라, 중국
3부 법수는 동쪽으로 흐르고, 한국
4부 미륵 보살의 출현, 삼국
5부 아미타 신앙의 도래, 통일신라
6부 초당 양식의 영향, 통일신라
2부 비단길을 따라, 중국
3부 법수는 동쪽으로 흐르고, 한국
4부 미륵 보살의 출현, 삼국
5부 아미타 신앙의 도래, 통일신라
6부 초당 양식의 영향, 통일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