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철학사상(하)

한국유학사상대계 Ⅲ - 哲學思想編(下)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Ⅲ - 哲學思想編(下)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3권에서는 철학사상(하)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17~18세기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성호학파의 성리학과 탈성리학의 갈등, 한국양명학의 성립과 전개, 정약용의 경전 해석과 철학사상, 북학론의 사상적 특징, 근대 시기 영남유학의 운동과 사상, 한국 유가철학의 특성 등과 함께 도판 수록

- 간행사
- 일러두기
- 제11장 17~8세기 기초학파의 철학사상 / 황의동
- 제1절 기호학파의 학문적 성격과 연원
- 1. 기호학파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 동향
- 2. 기호학파의 연원
- 제2절 기호학파의 성립과 17세기 다기화의 배경
- 1. 기호학파의 성립과 이황, 이이
- 2. 17세기의 위기와 기호유학 다기화의 배경
- 제3절 기호학파의 성리학적 흐름
- 1. 율곡학파
- 2. 우계학파
- 3. 절충학파
- 제4절 기호학파의 학문적 특성
- 1. 개방적 학풍
- 2. 다양한 학풍
- 3. 실학적 학풍
- 제5절 한국 유학사에서의 위상과 영향
- 제12장 성호학파의 성리학과 탈성리학의 갈등 / 안영상
- 제1절 성호학파의 연구의 성과와 전망
- 1. 『성호선생문집』과 『성호선생전집』의 간행 과정
- 2. 근대적 연구의 출발
- 3. 연구의 전개 과정
- 4. 연구의 심화 과정과 전망
- 제2절 경에 대한 근수규구와 심해자득
- 1. 경의 해석에 대한 성호 이익의 이중적 입장
- 2. 경의 해석에 대한 근수규구와 심해자득의 갈등
- 제3절 공희노기발설과 공희노리발설의 대립
- 1. 『사칠신편』의 내용
- 2. 「증발」설의 성립
- 3. 「증발」설의 부정과 '삼단설'의 성립
- 4. 제자들의 공희노기발과 공희노리발에 대한 논쟁
- 5. 주자대학설과 고본대학설의 갈등
- 6. 천주교의 수용과 배척
- 제13장 한국양명학의 성립과 전개 / 김교빈
- 제1절 한국양명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 1. 개괄 연구 시기
- 2. 본격 연구 시기
- 3. 한국양명학 연구 전망
- 제2절 양명학의 전래
- 1. 초기 양명학 수용의 흐름
- 2. 계곡 장유의 양명학 수용
- 3. 지천 최명길의 양명학 수용
- 4. 교산 허균의 양명학 수용
- 제3절 이황의 변척과 양명학의 위축
- 1. 이황의 양명학 비판
- 2. 유성룡의 양명학 비판
- 제4절 조선 후기 주자학과 양명학 논쟁
- 1. 논쟁 배경과 참여 인물
- 2. 주자학과 양명학 논쟁
- 3. 논쟁의 사상사적 의미
- 제5절 하곡 정제두의 철학사상
- 1. 정제두의 학문 배경
- 2. 진리 지향의 리기론
- 3. 양지체용의 심성론
- 4. 정제두의 경학사상
- 5. 정제두 철학의 사회적 역할
- 제6절 실심으로 살아간 강화학파
- 1. 강화학의 연원과 학맥
- 2. 실심 지향의 심학
- 3. 실심에 기초한 실천
- 4. 강화학파의 철학사적 위치와 특징
- 제14장 한국예학의 변천과 예서 편찬 / 지두환
- 제1절 한국예학의 전개 과정
- 1. 연구 동향
- 2. 조선 전기 『주자가례』의 이해와 정착
- 3. 조선 후기 조선예학의 형성과 발달
- 제2절 예송의 전개와 철학적 의의
- 1. 예송의 발단
- 2. 기해예송
- 3. 갑인예송
- 4. 철학적 의의
- 제3절 예학의 발달과 예서 편찬
- 1. 15세기 주자예학의 이해와 예서의 편찬
- 2. 16세기 조선예학의 형성과 예서 편찬
- 3. 17세기 조선예학의 발달과 예서 편찬
- 4. 18세기 조선예학의 완성과 예서 편찬
- 제15장 조선 후기의 주요 논쟁과 쟁점 / 문석윤
- 제1절 개관
- 1. 논쟁 주체의 형성
- 2. 논쟁의 주제들 그리고 연구사 정리
- 제2절 제 논변들
- 1. 사단칠정논변
- 2. 태극논변
- 3. 지각논변
- 4. 미발논변
- 5. 인물성동이논변
- 제3절 조선 후기 논쟁의 특성과 전개
- 1. 조선 후기 논변의 특성과 의의
- 2. 조선 후기 논쟁의 전개
- 제16장 정약용의 경전 해석과 철학사상 / 유권종
- 제1절 연구의 개황
- 1. 경전 해석과 철학적 연구의 관계
- 2. 연구의 역사
- 제2절 정약용의 경전 해석에 관한 연구 내용
- 1. 경전 해석 연구의 범위와 자료
- 2. 경학 관련 연구 주제와 논의의 내용
- 제3절 경전 주해에 근거한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와 논점들
- 1. 수사학적 수기치인의 실학으로 보는 관점
- 2. 탈성리학적 경향과 근대지향 의식으로 보는 관점
- 3. 경학과 경세학의 접목을 통한 유학 이념의 재강화로 보는 관점
- 4. 유물론으로 보는 관점
- 제4절 정약용 실학의 본질과 의의
- 제5절 정약용의 경학과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전망
- 제17장 북학론의 사상적 특징 / 김문식
- 제1절 북학론 및 북학파에 대한 논의
- 1. 낙론과 북학론
- 2. '북학파'는 학파로 성립하는가?
- 3. 북학사상은 '탈성리학'인가?
- 제2절 대외 교섭의 추이
- 1.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추이
- 2. 대청 교섭의 추이
- 3. 대일 교섭의 추이
- 제3절 18세기 학계의 동향
- 1. 경·향 학계의 분리
- 2. 정조의 학문 정책
- 3. 중인층의 성장
- 제4절 화이론의 변화
- 1. 문화 중심의 화이론
- 2. 조선 중화의 기원은 기자
- 3. '조선중화주의'의 등장
- 제5절 고증학의 수용 양상
- 1. 청대 고증학의 발달
- 2. 조선 후기의 고증학 수용
- 3. 고증학에 대한 인식
- 제6절 문물도입론의 이념적 기반
- 1. 청 문물은 중화 문물
- 2. 일본 및 서양 문물에 대한 인식
- 3. 문물도입론의 목적
- 제18장 한말 개화론의 대두와 기호유학계의 대응 / 이상익
- 제1절 한말의 역사적 상황과 기호유림의 대응 양상
- 1. 연구사의 검토
- 2. 한말의 역사적 상황과 개국·개화를 둘러싼 갈등
- 3. 기호유림의 학맥별 대응 양상
- 제2절 한말 기호유림의 학문적 동향
- 1. 호락논쟁의 고착화와 지양 노력
- 2. 명덕주리주기논쟁
- 3. 개방적·경세학적 학풍의 대두
- 4. 양명학적 반전의 시도
- 제3절 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