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동학농민전쟁의 전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다

(1894년 농민전쟁 100주년기념 연구논문집)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 농민전쟁

제목
(1894년 농민전쟁 100주년기념 연구논문집)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 농민전쟁
저자
한국역사연구회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09-04-0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이 책은 한국역사연구회가 1894년 농민전쟁을 기념하여 진행하고 있는 5개년 연구사업의 세 번째 성과물로서 "1894년 농민전쟁의 정치ㆍ사상적 배경"에 대한 것이다. 1차년도의 사회경제적 배경, 2차년도의 18∼19세기 농민항쟁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1894년 농민전쟁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인 것이다.

1부는 '19세기 국제정세와 한반도'이다. 여기서는 우선 이 시기 세계사적인 차원에서 전개되었던 제국주의 체제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조건 속에서 근대화정책을 진행하고 있었던 청과 일본의 국내적 조건이 어떻게 조선에 대한 침략정책으로 나타났는지를 조명해보았다.

2부는 '지배층의 정치ㆍ사상적 동향'이다. 여기서는 조선 지배층들이 외압의 본질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근대화를 이룩하려고 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왜 농민들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고찰하였다.

3부는 '민중세력의 정치ㆍ사상적 동향'이다. 여기서는 19세기를 통해 민중의식이 성장해온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때 나타난 동학이 당시의 역사적 조건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어떠한 해결방안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검토하려고 하였다. 나아가 농민전쟁 직전의 동학교단 지도부의 인식과 활동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농민전쟁과의 관련성을 찾아보았다.

수록내용

책을 내면서

제1부 19세기 국제정세와 한반도

19세기 후반기 제국주의와 동아시아

淸의 朝鮮政策(1876∼1894)

개항 이후 일본의 조선정책

제2부 지배층의 정치ㆍ사상적 동향

개항기 권력집단의 정세인식과 정책

개화파의 성립과정과 정치ㆍ사상적 동향

개항 이후 보수유림의 정치ㆍ사상적 동향

제3부 민중세력의 정치ㆍ사상적 동향

19세기 민중의식의 성장

동학사상의 정치ㆍ사회적 성격

동학의 교단조직과 지도체제의 변천

1892, 1893년 동학교도들의 '신원' 운동과 '척왜양' 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