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세상사는 지혜와 배움의 길라잡이

동양초학고전

제목
동양초학고전
저자
동양초학고전 저본,한국사사료연구소 편
발행처
한국사사료연구소
발행년도
2008-03-3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철학일반
  • [KDC ] 철학 > 철학

제품특징

서명별, 목차별 내용열람 가능
선현들의 지혜를 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목차구성으로 제공
유니코드 한자 지원을 통한 원문 낱자 검색의 지원

제품소개

동양초학고전(東洋初學古典)은 어린 시절 학문의 길로 들어서면서 배우기 시작하는 일종의 입문서들입니다.한자에 들어 있는 우주의 원리와 이치를 깨닫게 하는 천자문부터 학문을 닦기 위한 초학들이 배우는 소학과 격몽요결, 그리고 선현들의 명언들을 가슴깊이 새겨두도록 정리한 명심보감, 고문진보, 고문관지에 이르기까지 학문의 자세를 배우고 세상을 살아가는 도리와 태도를 깨우치도록 삶의 길라잡이가 될 매우 유익한 콘텐츠입니다.

저자소개

동양초학고전
천자문(千字文); 주흥사(周興嗣)


소학(小學); 주희(朱熹), 소학제가집주≪小學諸家集註≫ 규장각 소장 춘방장판(奎章閣 所藏 春坊藏版)


원본 명심보감(原本明心寶鑑); 추적(秋適)


고문진보(古文眞寶[後集]); 황견(黃堅)


고문관지(古文觀止) ; 오초재(吳楚材), 오조후(吳調侯)


격몽요결강의(擊蒙要訣講義); 이이(李珥)



한국사사료연구소
한국사 사료 연구소는 우리의 선조들이 남겨준 수 많은 사료들이 제대로 정리되고 있지 않아 국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초 사료의 전산화와 이 과정을 통한 한적자료 전산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한국사 사료 연구소는 서울대학교 중문학과 허성도 교수에 의하여 설립, 운영되었으며 國學 東洋學 硏究資料集成 입력을 마지막 사업으로 활동을 정지하였습니다. 한국사 사료 연구소가 처음 설립되었던 1980년대는 한적자료 전산화에 대한 개념도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시기로, 한적자료 입력에 따른 수 많은 난관을 헤치며 한자 코드화에 대한 성과를 일궈내는 등 민간의 후원만으로 소중한 한국사 사료의 많은 부분을 전산화하였습니다.
* 한국사 사료 연구소 소개 페이지(http://www.eoneo.com/eoneodb/hsy/)


수록내용

천자문(千字文)
소학(小學)
원본 명심보감(原本明心寶鑑)
고문진보(古文眞寶[後集])
고문관지(古文觀止)
격몽요결강의(擊蒙要訣講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