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질그릇의 역사
우리 옛 질그릇

- 제목
- 우리 옛 질그릇
- 저자
- 윤용이 저,윤용이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7-01-05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미술
- [KDC ] 예술 > 공예, 장식미술
제품소개
질그릇은 고고학과 미술사의 중요한 대상이다. 선사시대의 질그릇과 역사시대의 질그릇을 합하면 8,000년의 역사를 지니며 신석기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시기에 걸쳐 만들어졌다. 생활의 필요에 따라,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졌으며 지금도 전국에는 그 당시 질그릇을 만들고 사용하였던 가마터와 생활터, 고분 등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소박한 아름다움을 지닌 우리 옛 질그릇을 시대별로 살펴보고 그 특징과 아름다움을 조목조목 짚어보았다.
저자소개
윤용이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사 및 학예관을 거쳐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원광대학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한국도자사연구』『아름다운 우리 도자기』『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공저) 등이 있다.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사 및 학예관을 거쳐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원광대학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한국도자사연구』『아름다운 우리 도자기』『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공저) 등이 있다.
수록내용
질그릇의 역사를 컬러 사진과 함께 수록
- 일러두기
- 머리말
- 선사시대 질그릇
- 신석기시대 질그릇
- 질그릇의 시작-덧무늬 질그릇
- 질그릇의 제작과 손톱무늬
- 빗살무늬 질그릇
- 청동기시대 질그릇
- 고조선과 질그릇-제기의 발달
- 민무늬 질그릇-호와 옹관
- 초기철기시대 질그릇
- 흑도
- 점토대 질그릇
- 역사시대 질그릇
- 원삼국시대 질그릇
- 다양해진 형태
- 타날 기법의 사용
- 가마의 사용
- 삼국시대 질그릇
- 부여의 역사와 삼국 문화
- 고구려의 역사와 질그릇
- 백제의 역사와 질그릇
- 가야의 역사와 질그릇
- 신라의 역사와 질그릇
- 통일신라시대 질그릇
- 실용적인 질그릇의 제작
- 녹유 도기의 제작
- 도용의 제작
- 인화문 질그릇의 성행
- 선종과 질그릇
- 고려시대 질그릇
- 고려 질그릇의 변천
- 고려 질그릇의 형태와 무늬
- 『고려도경』과 질그릇
- 조선시대 질그릇
- 조선시대 질그릇의 변천
- 조선 질그릇의 형태와 무늬
- 조선 질그릇의 용도
- 옹기의 기원과 특성
- 옹기의 종류와 쓰임새
- 맺음말
- 참고 문헌
- 우리나라 질그릇 역사 연표
- 일러두기
- 머리말
- 선사시대 질그릇
- 신석기시대 질그릇
- 질그릇의 시작-덧무늬 질그릇
- 질그릇의 제작과 손톱무늬
- 빗살무늬 질그릇
- 청동기시대 질그릇
- 고조선과 질그릇-제기의 발달
- 민무늬 질그릇-호와 옹관
- 초기철기시대 질그릇
- 흑도
- 점토대 질그릇
- 역사시대 질그릇
- 원삼국시대 질그릇
- 다양해진 형태
- 타날 기법의 사용
- 가마의 사용
- 삼국시대 질그릇
- 부여의 역사와 삼국 문화
- 고구려의 역사와 질그릇
- 백제의 역사와 질그릇
- 가야의 역사와 질그릇
- 신라의 역사와 질그릇
- 통일신라시대 질그릇
- 실용적인 질그릇의 제작
- 녹유 도기의 제작
- 도용의 제작
- 인화문 질그릇의 성행
- 선종과 질그릇
- 고려시대 질그릇
- 고려 질그릇의 변천
- 고려 질그릇의 형태와 무늬
- 『고려도경』과 질그릇
- 조선시대 질그릇
- 조선시대 질그릇의 변천
- 조선 질그릇의 형태와 무늬
- 조선 질그릇의 용도
- 옹기의 기원과 특성
- 옹기의 종류와 쓰임새
- 맺음말
- 참고 문헌
- 우리나라 질그릇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