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역사로 살펴보는 한국 신문의 특성
신문

- 제목
- 신문
- 저자
- 채백 저,채백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사회과학
제품소개
신문의 역사를 사진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저자소개
채백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박사)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언론비평, 어떻게 할 것인가』,『 출판학』,『 미국의 언론개혁』등이 있으며 그 외 한국 언론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서울대학교 신문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박사)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언론비평, 어떻게 할 것인가』,『 출판학』,『 미국의 언론개혁』등이 있으며 그 외 한국 언론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수록내용
신문의 역사를 사진과 함께 수록
- 머리말
- 일러두기
- 개화기의 신문
- 근대 신문의 탄생
- 조선 후기의 시대 상황
- 근대 신문 탄생의 배경
- 『한성순보』의 창간
- 『한성주보』와 광고의 출현
- 『독립신문』과 근대 신문의 발전
- 『독립신문』의 창간
- 민간 신문의 민족 운동
- 근대 신문의 정착
- 신문 발행의 다양화
- 독자층의 확대
- 신문사들의 경영과 판촉 활동
- 독자들의 신문 살리기 운동
- 러일 전쟁 이후 신문의 항일 운동
- 일제의 신문 탄압
- 신문의 항일 운동
- 광무신문지법과 출판법의 제정
- 일제 강점기의 신문
- 무단 통치기의 신문
- 한일 합병과 언론 통폐합
- 3ㆍ1운동과 지하 신문의 활동
- 식민 정책의 변화와 민간 신문의 창간
- 무단 통치에서 문화 정치로
- 민간 신문 창간의 주체
- 민간 신문의 논조와 경영
- 신문계의 변화
- 1920년대 후반의 신문
- 신간회의 결성과 『조선일보』
- 기자들의 항일 운동
- 잡지의 항일 운동과 신문 비평
- 1930년대의 신문
- 일제의 언론 통제 강화
- 민간 3지의 상업적 경쟁
- 일장기 말소 사건
- 일제 말기의 친일 신문과 민간 신문의 폐간
- 신문들의 친일 행각
- 민간 신문의 폐간
- 맺음말
- 참고 문헌
- 신문 연보
- 머리말
- 일러두기
- 개화기의 신문
- 근대 신문의 탄생
- 조선 후기의 시대 상황
- 근대 신문 탄생의 배경
- 『한성순보』의 창간
- 『한성주보』와 광고의 출현
- 『독립신문』과 근대 신문의 발전
- 『독립신문』의 창간
- 민간 신문의 민족 운동
- 근대 신문의 정착
- 신문 발행의 다양화
- 독자층의 확대
- 신문사들의 경영과 판촉 활동
- 독자들의 신문 살리기 운동
- 러일 전쟁 이후 신문의 항일 운동
- 일제의 신문 탄압
- 신문의 항일 운동
- 광무신문지법과 출판법의 제정
- 일제 강점기의 신문
- 무단 통치기의 신문
- 한일 합병과 언론 통폐합
- 3ㆍ1운동과 지하 신문의 활동
- 식민 정책의 변화와 민간 신문의 창간
- 무단 통치에서 문화 정치로
- 민간 신문 창간의 주체
- 민간 신문의 논조와 경영
- 신문계의 변화
- 1920년대 후반의 신문
- 신간회의 결성과 『조선일보』
- 기자들의 항일 운동
- 잡지의 항일 운동과 신문 비평
- 1930년대의 신문
- 일제의 언론 통제 강화
- 민간 3지의 상업적 경쟁
- 일장기 말소 사건
- 일제 말기의 친일 신문과 민간 신문의 폐간
- 신문들의 친일 행각
- 민간 신문의 폐간
- 맺음말
- 참고 문헌
- 신문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