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유적과 설화를 망라하다
한강

- 제목
- 한강
- 저자
- 이형석 저,김주환 저,이홍배 사진,송일봉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한강의 이름, 규모, 역사, 지질과 지형, 발원지, 문화 유적과 설화 등을 중심으로 꾸몄다. 작은 한 권의 책으로 한강의 모든 분야를 살필 수는 없으나, 한강과 관련된 기초적이고도 개략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한강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로서의 몫은 물론 1차적 교육 자료가 되도록 한 것이 이 책의 기획 의도이다.
저자소개
김주환
송일봉
이형석
1946년 서울 태생으로 서울사대 지리학과 동 대학원(석사)과 연세대 대학원 지질학과(박사)를 졸업했다. 미국 이스턴 워싱턴대학 교환 교수를 지냈고 현재 동국대 지리교육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지도학」(공저 ), 「기상 기후학」(공저), 「공간 구조」(공저) 등이 있다.
송일봉
경기도 양주 태생으로 관동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월간 「코리안 트레블러」 편집부장으로 있으면서 한국자유기고가 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이형석
1937년 전남 고흥 태생으로 광주사대 체육과와 동국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근무하연서 한국하천연구소 대표, 한국 땅 이름학회 부회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하천」 「한국의 산하」 「지명 유래집」(공저) 등이 있으며 ‘압록강의 명칭과 하계망 분석’(석사 논문) 동의 논문과 다수의 지도를 제작했다.
수록내용
한강의 역사, 이름, 지질과 지형, 규모, 문화유적과 설화 등 소개
- 머리말
- 한강의 역사
- 선사시대의 한강 유역
- 고려시대까지의 한강
- 조선시대의 한강
- 근세의 한강
- 한강의 이름
- 시대별 이름
- 지역에 따른 이름
- 지류의 이름과 그 유래
- 한강의 지질과 지형
- 지질(地質)
- 광역 지질
- 경기 육괴와 옥천 지향사대
- 화성 활동
- 구조구(構造區)
- 한강의 충적층
- 서울 부근의 지질
- 한강 이남 지역
- 지형(地形)
- 일반적 특색
- 서울 부근의 지형
- 한강의 규모
- 한강의 발원지
- 한강의 길이
- 한강 본류의 길이
- 한강 주요 지류의 길이
- 한강 유역의 넓이
- 한강의 하구
- 한강 유역의 문화 유적과 설화
- 차수(茶水)와 오대산 우통수
- 고씨 동굴
- 영월 낙화암과 어라연
- 청령포와 호장 엄흥도
- 주천강변 무릉도원
- 아우라지와 정선 아리랑
- 단양 팔경
- 도담 삼봉
- 청풍 문화재 단지
- 충주 탄금대
- 중원의 중앙탑과 고구려비
- 남한산성
- 수종사
- 행주산성
- 공암진 나루
- 밤섬
- 머머리섬
- 왕봉하와 한씨 미녀
- 조강포 애기봉
- 참고 문헌
- 머리말
- 한강의 역사
- 선사시대의 한강 유역
- 고려시대까지의 한강
- 조선시대의 한강
- 근세의 한강
- 한강의 이름
- 시대별 이름
- 지역에 따른 이름
- 지류의 이름과 그 유래
- 한강의 지질과 지형
- 지질(地質)
- 광역 지질
- 경기 육괴와 옥천 지향사대
- 화성 활동
- 구조구(構造區)
- 한강의 충적층
- 서울 부근의 지질
- 한강 이남 지역
- 지형(地形)
- 일반적 특색
- 서울 부근의 지형
- 한강의 규모
- 한강의 발원지
- 한강의 길이
- 한강 본류의 길이
- 한강 주요 지류의 길이
- 한강 유역의 넓이
- 한강의 하구
- 한강 유역의 문화 유적과 설화
- 차수(茶水)와 오대산 우통수
- 고씨 동굴
- 영월 낙화암과 어라연
- 청령포와 호장 엄흥도
- 주천강변 무릉도원
- 아우라지와 정선 아리랑
- 단양 팔경
- 도담 삼봉
- 청풍 문화재 단지
- 충주 탄금대
- 중원의 중앙탑과 고구려비
- 남한산성
- 수종사
- 행주산성
- 공암진 나루
- 밤섬
- 머머리섬
- 왕봉하와 한씨 미녀
- 조강포 애기봉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