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재의 구성과 절차 상세히 설명하다
영산재

- 제목
- 영산재
- 저자
- 홍윤식 저,석선암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문화 > 종교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영산재는 영축산에서 석가모니불의 설법 모임을 뜻하는 영산회상을 상징화한 의식의 형태이다. 불교 의식 가운데 가장 심오하고 장엄의 극치를 이룰 뿐만 아니라 음악, 무용 등의 각종 문화 요소를 내포하고 있어 전통 문화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산재의 종류, 특성, 구성, 진행 절차 등을 사진과 함께 실었다.
저자소개
석선암
홍윤식
’88년 한국관광공사 사진 공모전에서 준우수상을 비롯하여 제50회 일본 아사이 신문 국제 사진 공모전에서 입선 등 개인사진전을 2회 가진 바 있다. 현재 한국 불교 신문사 사진부 기자이며 한국 불교 태고종 봉원사 교무로 잇다. 사진집으로 「영산재」가 있다.
홍윤식
일본 교토(京都) 불교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국사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문체부 문화재위원,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교수ㆍ문화예술대학원장으로 있다. 『한국불교의례의 연구』(일어판), 『고려불화의 연구』, 『삼국유사와 한국고대문화』, 『한국의 불교미술』, 『불화』, 『영산재』, 『만다라』, 『한국불화 화기집』등 여러 권의 저서가 있다.일본 교토(京都) 불교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국사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문체부 문화재위원,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교수ㆍ문화예술대학원장으로 있다. 『한국불교의례의 연구』(일어판), 『고려불화의 연구』, 『삼국유사와 한국고대문화』, 『한국의 불교미술』, 『불화』, 『영산재』, 『만다라』, 『한국불화 화기집』등 여러 권의 저서가 있다.
수록내용
영산재의 종류, 특성, 구성, 진행 절차 등을 사진과 함께 수록
- 영산재의 의미와 기원
- 불교 의례와 영산재
- 의례의 종류
- 의례의 구조
- 불교 신앙적 구조
- 민간 신앙적 구조
- 의례의 유형
- 의례의 특성
- 구조적 특성
- 신앙적 특성
- 천도 의식과 영산재
- 영산재의 구성
- 영산재의 진행 절차
- 시련
- 대령
- 관욕 절차
- 신중 작법
- 상단 권공
- 영산재의 화청(和請)
- 의의와 유래
- 화청의 특징
- 식당 작법
- 의의와 유래
- 구성과 진행 절차
- 맺음말
- 용어 해설
- 참고 문헌
- 영산재의 의미와 기원
- 불교 의례와 영산재
- 의례의 종류
- 의례의 구조
- 불교 신앙적 구조
- 민간 신앙적 구조
- 의례의 유형
- 의례의 특성
- 구조적 특성
- 신앙적 특성
- 천도 의식과 영산재
- 영산재의 구성
- 영산재의 진행 절차
- 시련
- 대령
- 관욕 절차
- 신중 작법
- 상단 권공
- 영산재의 화청(和請)
- 의의와 유래
- 화청의 특징
- 식당 작법
- 의의와 유래
- 구성과 진행 절차
- 맺음말
- 용어 해설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