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만나는 우리나라 가구
전통 목가구

- 제목
- 전통 목가구
- 저자
- 김삼대자 저,김삼대자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미술
- [KDC ] 예술 > 공예, 장식미술
제품소개
우리나라는 과거 전국토의 70퍼센트 이상이 산림지대였으며 이러한 자연 여건 때문에 일찍부터 목재 가공 기술이 발달하였다. 여기서는 먼저 전통 가구의 성격을 알아보고 목가구의 종류와 특징, 가구의 양식 형성과 발달, 재료와 제작 기법, 가구의 보존과 관리 등을 소개하였으며 그에 따르는 선명한 자료 사진을 수록하였다.
저자소개
김삼대자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에서 장식미술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 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수록내용
전통 가구의 성격 및 전통 목가구의 종류, 가구의 양식 형성과 발달, 종류와 특징 등을 사진과 함께 설명
- 전통 가구의 성격
- 전통 목가구의 종류
- 가구의 양식 형성과 발달
- 안방과 사랑방의 형성 배경
- 안방의 치장
- 사랑방의 치장
- 가구의 종류와 특징
- 궤(櫃)
- 옷장(欌)
- 각게수리ㆍ약장
- 농(籠)
- 함(函)
- 빗접과 좌경
- 평상(平牀)
- 탁자와 의자(椅)
- 궤(?)
- 서안(書案)
- 연갑(硯匣)과 연상(硯箱)
- 문갑(文匣)
- 사방탁자와 탁자장
- 책갑과 책장
- 뒤주
- 찬장과 찬탁
- 제상과 향안(香案), 교의(交椅)
- 재료와 제작 기법
- 재료
- 벌채와 건조
- 제작 기법
- 가구의 보존과 관리
- 소목장과 장전
- 양식의 단절과 기법의 부활
- 참고 문헌
- 전통 가구의 성격
- 전통 목가구의 종류
- 가구의 양식 형성과 발달
- 안방과 사랑방의 형성 배경
- 안방의 치장
- 사랑방의 치장
- 가구의 종류와 특징
- 궤(櫃)
- 옷장(欌)
- 각게수리ㆍ약장
- 농(籠)
- 함(函)
- 빗접과 좌경
- 평상(平牀)
- 탁자와 의자(椅)
- 궤(?)
- 서안(書案)
- 연갑(硯匣)과 연상(硯箱)
- 문갑(文匣)
- 사방탁자와 탁자장
- 책갑과 책장
- 뒤주
- 찬장과 찬탁
- 제상과 향안(香案), 교의(交椅)
- 재료와 제작 기법
- 재료
- 벌채와 건조
- 제작 기법
- 가구의 보존과 관리
- 소목장과 장전
- 양식의 단절과 기법의 부활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