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17세기~18세기 선비 화가들의 그림

풍속화(하나)

제목
풍속화(하나)
저자
이태호 저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미술
  • [KRpia 기본분류] 예술 > 미술
  • [KDC ] 예술 > 공예, 장식미술

제품소개

풍속화의 시대배경과 의의를 설명하고 17~18세기 대표화가 및 각 시기의 그림을 컬러로 수록하였다.

저자소개

이태호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였고 같은 학교 대학원 미학ㆍ미술사학과를 졸엽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고대 산수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겸재 정선의 가계와 생애’ ‘김홍도의 진경산수’ ‘다산 정약용의 예술 세계’ ‘조선시대의 초상화’ ‘1940년대 친일 미술’ 등이 있으며 「고구려 고분 벽화」 「조선 후기 회화사 연구」 「그림으로 본 옛 서울」 등의 저서와 평론집 「우리 시대, 우리 미술」이 있다.

수록내용

풍속화의 시대배경과 의의를 설명하고 17~18세기 대표화가 및 각 시기의 그림을 컬러로 수록

- 머리말
- 풍속화의 시대 배경과 의의
- 17, 18세기 초 풍속화의 태동을 예고하는기록화
- 한시각의 「북새선은도권」
- 김진여, 장태흥, 박동진, 장득만, 허숙의 「기사계첩」
- 18세기 전반 선비 화가들의 속화
- 민중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사실적 창작 태도
-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 진보적 의식으로 민중 생활상에 눈떠
- 윤두서와 강희언의 ‘돌 깨는 사람들’
- 풍속화가의 자리를 후배에게 넘겨 준 윤두서
-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
- 창작 태도의 변화, ‘실득’에서 ‘실사’로
- 남에게 보이기 꺼려한 삶의 향기
- 사대부들의 일상 생활상도 그려
- 오명현(吳命顯), 윤용(尹?) 등 풍속화의 확산
- 오명현이 새롭게 포착한 시정(市井)의 생활상들
- 윤용의 토속미가 가득한 시골 아낙네 그림
- 선비의 생활상을 사생한 이인상, 정선, 강세황의 속화
- 김홍도를 일깨운 중인 화가 강희언
- 기타 기념화와 이국 풍물도, 중국 경직도류의 영향
- 조선 후기 풍속화를 남긴 화가들

연관검색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