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재료별로 살펴보는 한국의 옷감

전통 옷감

제목
전통 옷감
저자
민길자 저,민길자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의류
  • [KDC ]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제품소개

한국의 전통옷감에 대해 알아보는 책으로 섬세하고 청아한 베와 모시, 질박하고 담소한 무명, 단아하고 온화한 명주는 가장 한국적인 직물들로 한국의 전통미를 잘 드러낸다. 한국의 전통 옷감에 대한 소개와 그 뛰어난 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다.

저자소개

민길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섬유공학을 전공, 졸업 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의복과 그 재료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전통 직물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민대학교 가정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국민대학교민속관관장, 문화체육부 문화재위원회 문화재위원으로 활동중이다. 20여 년 동안 세계의 고대 직물과 한국 전통 직물을 연구하여 다수의 논저를 발표하였다.

수록내용

한국의 전통 옷감에 대한 소개와 그 뛰어난 아름다움 수록

- 전통 옷감의 현재
- 한국 전통 직물을 제직한 직기
- 마직물
- 대마 직물의 역사와 종류
- 베의 용도와 손질
- 저마 직물의 역사와 종류
- 모시의 용도와 손질
- 면직물
- 면직물의 역사와 종류
- 면직물(무명, 광목, 옥양목)의 용도와 손질
- 견직물
- 누에치기와 견사
- 누에의 품종
- 누에치기와 견사 제품
- 견직물의 종류와 역사
- 주(紬)
- 노방주
- 사(紗)
- 라(羅)
- 능(綾)
- 기(綺)
- 단(段, 緞)
- 금(錦)
- 금박 직물(金箔織物)
- 곡(穀)
- 모직물
- 구유, 답등, 채담
- 조선철(朝鮮綴)
- 맺음말
- 참고 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