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지리적 특징과 음식
제주도 음식

- 제목
- 제주도 음식
- 저자
- 김지순 저,안승일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제주도 - [KRpia 기본분류] 문화 > 음식
- [KDC ] 기술과학 > 생활과학 / 식품과 음료 > 한국요리 Korean cookery
제품소개
제주도는 척박한 화산섬이어서 생존을 위해서는 자연에 대항하여 힘겹게 싸워야 하는 곳이다. 이런 열악한 환경은 제주도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와 식생활 풍습을 만들었다.
이 책에서는 제주도의 자연 환경이 음식에 끼친 영향과 제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을 계절별로 분류하여 재료와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각 절기와 의례 음식에 대해 다룸으로써 제주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에서는 제주도의 자연 환경이 음식에 끼친 영향과 제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을 계절별로 분류하여 재료와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각 절기와 의례 음식에 대해 다룸으로써 제주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소개
김지순
안승일
수도여자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제주전문대학 가정과 전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식생활개발연구회 제주도 지부장, 요리학원 원장, 제주전문대학 관광호텔조리과 전임교수로 있다.
안승일
1946년 서울에서 태어나서 서라벌예술대 사진학과를 중퇴했다. 1969년과 1975년 두 차례에 걸쳐 ‘산악사진전’을 가졌고, 1995년 일본의 이와하시와 함께‘백두산 2인전’을 열었다. 1977년부터‘그린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산악사진가회 회원이며 사진집으로는 「산」(1982년) 「삼각산」(1990년) 「한라산」(1993년) 「백두산」1996) 「굴피집」(1997) 등이 있다.
수록내용
제주도의 고유 음식을 사진과 함께 소개
- 머리말
- 제주도의 자연 지리적 환경
- 척박한 땅
- 인내와 지혜로 극복한 환경
- 알뜰하고 소박한 식생활
- 자연 맛을 살린 음식
- 단순한 조리 방법
- 제주도의 고유 음식
- 봄철 음식
- 동지짐치(동지김치)
- 동지나물무침
- 꿩미농짐치(달래김치)
- 해삼미역냉국
- 난시국(냉이국)
- 매역새우럭국
- 옥돔국
- 양애순국(양하순국)
- 복쟁이고사리지짐(복어고사리지짐)
- 해삼회
- 해삼토렴
- 오분자기찜
- 패마농무침(파무침)
- 지름나물무침(평지나물무침, 유채나물무침)
- 여름철 음식
- 보말국
- 구살국(성게국)
- 호박잎국
- 배추냉국
- 청각냉국
- 오징어냉국
- 톨냉국(톳냉국)
- 구쟁기강회(소라강회)
- 구쟁기물회(소라물회)
- 군벗물회
- 한치물회
- 자리물회
- 마농지
- 반치지(파초지)
- 우럭콩조림
- 깅이콩볶음(방게콩볶음)
- 깅이집장(방게범벅)
- 게웃젓
- 구살젓(성게젓)
- 자리젓
- 구갱기구이(소라구이)
- 전복양념구이
- 깅이죽(방게죽)
- 대합조개죽
- 전복죽
- 문게죽(문어죽)
- 문게적(문어적)
- 보라쉰다리
- 보리개역
- 닭제골
- 가을철 음식
- 고등어배추국
- 갈치호박국
- 멜국(생멸치국)
- 양애간국
- 양애간무침
- 양애간지(양하장아찌)
- 고춧잎멸치젓무침
- 군벗젓
- 돗새끼회(돼지새끼회)
- 멜조림(멸치조림)
- 지실죽(감자죽)
- 고등어죽
- 겨울철 음식
- 흐린좁쌀밥(차조밥)
- 고구마차조밥
- 파래국
- 호박탕쉬(호박무침)
- 콥대사니무침(풋마늘무침)
- 옥돔구이
- 꿩토렴
- 꿩만두
- 콩죽
- 말고기육회
- 당유자차
- 오메기술
- 골감주
- 사철 음식
- 톨밥(톳밥)
- 톨무침(톳무침)
- 건옥돔국
- 돼지고기고사리국(돼지고기육개장)
- 느르미전
- 좁쌀미음
- 초기죽(표고죽)
- 건옥돔죽
- 톳새끼보죽(돼지새끼보죽)
- 마늘엿
- 강술
- 절기 음식과 의례 음식
- 철에 따른 특별 음식
- 정월
- 음력5월
- 음력 6월
- 음력 9월
- 음력 11월
- 음력 12월
- 의례음식
- 출산 음식
- 혼례 음식
- 제례 음식
- 맺음말
- 부록-부엌 세간
- 참고 문헌
- 머리말
- 제주도의 자연 지리적 환경
- 척박한 땅
- 인내와 지혜로 극복한 환경
- 알뜰하고 소박한 식생활
- 자연 맛을 살린 음식
- 단순한 조리 방법
- 제주도의 고유 음식
- 봄철 음식
- 동지짐치(동지김치)
- 동지나물무침
- 꿩미농짐치(달래김치)
- 해삼미역냉국
- 난시국(냉이국)
- 매역새우럭국
- 옥돔국
- 양애순국(양하순국)
- 복쟁이고사리지짐(복어고사리지짐)
- 해삼회
- 해삼토렴
- 오분자기찜
- 패마농무침(파무침)
- 지름나물무침(평지나물무침, 유채나물무침)
- 여름철 음식
- 보말국
- 구살국(성게국)
- 호박잎국
- 배추냉국
- 청각냉국
- 오징어냉국
- 톨냉국(톳냉국)
- 구쟁기강회(소라강회)
- 구쟁기물회(소라물회)
- 군벗물회
- 한치물회
- 자리물회
- 마농지
- 반치지(파초지)
- 우럭콩조림
- 깅이콩볶음(방게콩볶음)
- 깅이집장(방게범벅)
- 게웃젓
- 구살젓(성게젓)
- 자리젓
- 구갱기구이(소라구이)
- 전복양념구이
- 깅이죽(방게죽)
- 대합조개죽
- 전복죽
- 문게죽(문어죽)
- 문게적(문어적)
- 보라쉰다리
- 보리개역
- 닭제골
- 가을철 음식
- 고등어배추국
- 갈치호박국
- 멜국(생멸치국)
- 양애간국
- 양애간무침
- 양애간지(양하장아찌)
- 고춧잎멸치젓무침
- 군벗젓
- 돗새끼회(돼지새끼회)
- 멜조림(멸치조림)
- 지실죽(감자죽)
- 고등어죽
- 겨울철 음식
- 흐린좁쌀밥(차조밥)
- 고구마차조밥
- 파래국
- 호박탕쉬(호박무침)
- 콥대사니무침(풋마늘무침)
- 옥돔구이
- 꿩토렴
- 꿩만두
- 콩죽
- 말고기육회
- 당유자차
- 오메기술
- 골감주
- 사철 음식
- 톨밥(톳밥)
- 톨무침(톳무침)
- 건옥돔국
- 돼지고기고사리국(돼지고기육개장)
- 느르미전
- 좁쌀미음
- 초기죽(표고죽)
- 건옥돔죽
- 톳새끼보죽(돼지새끼보죽)
- 마늘엿
- 강술
- 절기 음식과 의례 음식
- 철에 따른 특별 음식
- 정월
- 음력5월
- 음력 6월
- 음력 9월
- 음력 11월
- 음력 12월
- 의례음식
- 출산 음식
- 혼례 음식
- 제례 음식
- 맺음말
- 부록-부엌 세간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