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Revert)’를 화두로, 재통일과 자연복귀를 지향한 연구서
DMZ Ⅱ -횡적 분단에서 종적 연결로-

- 제목
- DMZ Ⅱ -횡적 분단에서 종적 연결로-
- 저자
- 김재한 편저
- 발행처
- 도서출판소화
- 발행년도
- 2014-07-0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정치학
제품소개
도서출판 소화에서 출판한 『DMZ Ⅱ -횡적 분단에서 종적 연결로-』는, ‘복귀(Revert)’를 큰 화두로 하여 국내외 학자가 분단으로부터 재통일로, 자연파손으로부터 자연복귀를 지향한 연구서이다.
저자소개
김재한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미국 로체스터대 정치학박사,
현 한림대 정외과 교수
현 한림대 정외과 교수
수록내용
DMZ 내에서의 윈-윈(win-win), MDL의 연혁, 국제법적 문제, 한반도통일 이후 남북한 접경지역의 개발, DMZ의 ZoP화 등의 연구서 수록
- 서문 / 김재한
- Ⅰ. 윈-윈(win-win)의 DMZ / 김재한
- 1. DMZ 논의의 현주소
- 2. 갈등·대립의 DMZ 이해 관계
- 3. 화해·협력의 DMZ 이해 관계
- 4. 화해와 복귀의 DMZ 정책
- Ⅱ. 베를린 장벽과 한반도 DMZ / 베르너 페니히(Werner Pfennig)
- 1. 용어의 의미
- 2. 베를린 장벽의 붕괴
- 3. 베를린 장벽과 한국의 DMZ
- 4. 심리적 측면에서 바라본 결론적 관찰
- Ⅲ. 한국사에서 본 DMZ 지역 / 최영희
- 1. 머리말
- 2. 역사유적으로 본 DMZ지역
- 3. DMZ지역의 역사상
- 4. 맺음말
- Ⅳ. MDL의 연혁과 DMZ·해상에서의 긴장완화를 위한 남북간 신뢰구축 방향 / 이문항(James M. Lee)
- 1. 군사분계선의 연혁
- 2. 존재하지 않는 해상분계선
- 3. DMZ의 무장화
- 4. 군사분계선상의 공동경비구역(JSA)
- 5. 남북간의 신뢰구축 방향
- Ⅴ. DMZ의 평화지대 건설시 국제법적 문제 / 이장희
- 1. 문제제기
- 2. DMZ의 개념 및 설치의 목적
- 3. DMZ 설치의 법적 근거 및 관리제도
- 4. 국가영역의 본질
- 5. 정전협정상 DMZ 토지의 법적 성질
- 6. DMZ를 자연공원으로 하기 위한 법제도적 문제
- 7. DMZ의 자연공원화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조치
- 8. 맺음말
- Ⅵ. 평화와 자연을 위한 한반도 DMZ 보호구역 / 아서 웨스팅(Arthur H. Westing)
- 1. 머리말
- 2.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실태
- 3. 생물다양성 보호에 있어서 한국 DMZ의 가치
- 4. 초(超)생물다양성을 위한 협조
- 5. 평화와 자연을 위한 한국 DMZ 보호
- 6. 초(超)국경적 환경행동규범
- 7. 맺음말
- Ⅶ. DMZ 및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 김귀곤
- 1. 서론
- 2. DMZ와 민통지역의 관리에 대한 접근 방법
- 3. DMZ와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현황
- 4. DMZ와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방안
- 5. 결론
- Ⅷ. 한반도통일 이후 남북한 접경지역의 개발 / 황지욱
- 1. 한반도 접경지역의 현상황과 문제점
- 2. 한반도의 공간구조와 변천
- 3. 연구의 목적 및 연구대상지역의 범주
- 4. 남북한 접경지역의 현황
- 5. 통일 이후 접경지역의 효율적 개발전략
- 6. 결론 : 공간구조에 적합한 개발을 위한 제언
- Ⅸ. DMZ의 ZoP화 / 요한 갈퉁(Johan Galtung)
- 1. DMZ와 ZoP
- 2. DMZ의 ZoP화를 위한 몇 가지 제안
- 3. 한국의 DMZ를 위한 제안
- 부록Ⅰ. DMZ 관련 유엔사-북한합의문
- 부록Ⅱ. 접경지역 관련 법령
- 서문 / 김재한
- Ⅰ. 윈-윈(win-win)의 DMZ / 김재한
- 1. DMZ 논의의 현주소
- 2. 갈등·대립의 DMZ 이해 관계
- 3. 화해·협력의 DMZ 이해 관계
- 4. 화해와 복귀의 DMZ 정책
- Ⅱ. 베를린 장벽과 한반도 DMZ / 베르너 페니히(Werner Pfennig)
- 1. 용어의 의미
- 2. 베를린 장벽의 붕괴
- 3. 베를린 장벽과 한국의 DMZ
- 4. 심리적 측면에서 바라본 결론적 관찰
- Ⅲ. 한국사에서 본 DMZ 지역 / 최영희
- 1. 머리말
- 2. 역사유적으로 본 DMZ지역
- 3. DMZ지역의 역사상
- 4. 맺음말
- Ⅳ. MDL의 연혁과 DMZ·해상에서의 긴장완화를 위한 남북간 신뢰구축 방향 / 이문항(James M. Lee)
- 1. 군사분계선의 연혁
- 2. 존재하지 않는 해상분계선
- 3. DMZ의 무장화
- 4. 군사분계선상의 공동경비구역(JSA)
- 5. 남북간의 신뢰구축 방향
- Ⅴ. DMZ의 평화지대 건설시 국제법적 문제 / 이장희
- 1. 문제제기
- 2. DMZ의 개념 및 설치의 목적
- 3. DMZ 설치의 법적 근거 및 관리제도
- 4. 국가영역의 본질
- 5. 정전협정상 DMZ 토지의 법적 성질
- 6. DMZ를 자연공원으로 하기 위한 법제도적 문제
- 7. DMZ의 자연공원화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조치
- 8. 맺음말
- Ⅵ. 평화와 자연을 위한 한반도 DMZ 보호구역 / 아서 웨스팅(Arthur H. Westing)
- 1. 머리말
- 2.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실태
- 3. 생물다양성 보호에 있어서 한국 DMZ의 가치
- 4. 초(超)생물다양성을 위한 협조
- 5. 평화와 자연을 위한 한국 DMZ 보호
- 6. 초(超)국경적 환경행동규범
- 7. 맺음말
- Ⅶ. DMZ 및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 김귀곤
- 1. 서론
- 2. DMZ와 민통지역의 관리에 대한 접근 방법
- 3. DMZ와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현황
- 4. DMZ와 민통지역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방안
- 5. 결론
- Ⅷ. 한반도통일 이후 남북한 접경지역의 개발 / 황지욱
- 1. 한반도 접경지역의 현상황과 문제점
- 2. 한반도의 공간구조와 변천
- 3. 연구의 목적 및 연구대상지역의 범주
- 4. 남북한 접경지역의 현황
- 5. 통일 이후 접경지역의 효율적 개발전략
- 6. 결론 : 공간구조에 적합한 개발을 위한 제언
- Ⅸ. DMZ의 ZoP화 / 요한 갈퉁(Johan Galtung)
- 1. DMZ와 ZoP
- 2. DMZ의 ZoP화를 위한 몇 가지 제안
- 3. 한국의 DMZ를 위한 제안
- 부록Ⅰ. DMZ 관련 유엔사-북한합의문
- 부록Ⅱ. 접경지역 관련 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