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철학사상(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Ⅱ - 哲學思想編(上)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Ⅱ - 哲學思想編(上)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2권에서는 철학사상(상)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한국 유가철학의 과제와 전개,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학사상, 고려시대의 유학사상, 15~16세기 성리학의 흐름, 퇴계이황의 사상과 퇴계학의 전개, 남명 조식의 사상과 남명학파의 좌절, 율곡 이이의 사상과 율곡학의 전개 등과 함께 도판 수록

- 간행사
- 일러두기
- 서장: 한국 유가철학의 과제와 전개 / 금장태
- 제1절 한국 유가철학의 과제
- 제2절 시대이념의 정립과 계승의 방향
- 1. 정통 이념의 확립과 성리설의 쟁점
- 2. 의리론의 시대적 적용
- 제3절 변화의 인식과 대응 이론의 전개
- 1. 초기 실학파의 현실인식과 변혁 논리
- 2. 후기 실학파의 현실인식과 변혁 논리
- 제4절 사상적 교류와 근대적 개혁의 탐색
- 1. 불교·서학과의 교류
- 2. 근대적 개혁론의 시도
-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학사상 / 천인석
- 제1절 삼국시대 유학사상의 영성
- 1. 삼국시대 유학사상의 배경
- 2. 문자의 사용과 유학의 수용
- 3. 음양오행설과 유학사상
- 제2절 고구려의 유학사상
- 1. 태학과 경당의 경전 교육
- 2. 통치이념과 유교 관료
- 3. 고구려인의 화복관
- 제3절 백제의 유학사상
- 1. 백제 경학의 전개
- 2. 육좌평과 육전
- 3. 생활과 예제
- 제4절 신라의 유학사상
- 1. 왕호 사용과 안민의 통치
- 2. 충·효·신의 윤리
- 3. 국학의 정비와 대당유학생
- 제5절 신라 석학들의 유교사적 의의
- 1. 강수의 실천유학
- 2. 설총의 훈고학
- 3. 최치원의 사장학
- 제6절 삼국 유학사상의 특성과 한계
- 1. 고대의 '무(巫)'와 유교의 '사(士)'
- 2. 유사와 불승의 공존
- 제2장 고려시대의 유학사상 / 최영성
- 제1절 고려시대 유학사상의 연구사적 검토
- 제2절 고려 초기의 정치적 동향과 유학사상
- 1. 나말여초 유교계의 동향과 태조의 통치이념
- 2. 광종의 왕권강화와 과거제 실시
- 3. 교육제도 및 과거제도
- 4. 고려 전기의 유불 관계
- 제3절 고려유학의 형성과 유교문화의 발달
- 1. 성종의 우문정책과 유교정치 이념의 정초
- 2. 최승로의 시무책과 유교정치이념의 확립
- 3. 사학의 발흥과 최충의 유학사상 공적
- 4. 북송도학의 수용과 그 영향
- 제4절 관학의 진흥과 유학의 흥성
- 1. 예종·인종 연간의 관학진흥책
- 2. 전적의 교류 및 출판의 활기
- 3. 존경적 학풍의 고조
- 4. 수사사업과 역사의식의 발달
- 제5절 무인의 집정과 유학의 쇠퇴
- 1. 무신집정기 대표적 문인·학자들의 활동
- 2. 백운거사 이규보의 학문과 사상
- 제3장 여말선초 유학계의 동향과 성리학의 전개 / 도현철
- 제1절 고려 후기 사상계의 동향과 성리학 수용 배경
- 1. 기존 연구의 검토
- 2. 성리학 수용의 배경과 수용 과정
- 제2절 원 간섭기 도학 중심의 성리학과 실천 윤리의 강화
- 1. 도학 중심의 성리학 수용과 세계 의식
- 2. 수기치인론과 경세론
- 3. 실천 윤리의 강화와 불교의 긍정
- 제3절 고려 최말기 유학 연구의 확대와 성리학의 분화
- 1. 유학 연구의 확대와 성리학서의 확대 보급
- 2. 성리학적 역사의식의 심화와 『춘추』
- 3. 사대부의 분기와 성리학의 분화
- 제4장 15세기 정치 상황과 성리학의 흐름 / 김홍경
- 제1절 유교 국가의 수립
- 1. 15세기 유학사상에 대한 연구사 정리
- 2. 문물제도의 정비와 유교의례의 전파
- 3. 정도전의 유학사상
- 4. 권근의 성리학과 경학
- 제2절 중앙집권화와 관학파 유학사상
- 1. 조선 초기 국가운영의 기본방향과 관학파
- 2. 관학파의 철학사상
- 3. 관학파의 경세사상
- 제3절 향촌사회의 성장과 사림파의 형성
- 1. 사림파의 등장
- 2. 초기 사림파의 주요 인물
- 제5장 16세기 전반, 이론 성리학의 본격적 시작 / 장원목
- 제1절 문제제기
- 1. 16세기 전반의 상황
- 2. 기존 연구의 검토
- 3. 연구의 방향
- 제2절 서경덕의 기본체론
- 1. 태허선천기 - 본체로서의 기
- 2. 리의 위상
- 3. 본체와 현상의 관계
- 4. 이황과 이이의 서경덕 비판 - 기본체론의 한계
- 제3절 이언적의 리본체론
- 1. 태극일리 - 주자학의 본체
- 2. 조한보와 비교해 본 이언적의 본체
- 3. 본채와 현상의 관계
- 4. 리본체론의 문제점
- 제4절 서경덕과 이언적 이후의 사상계
- 제6장 퇴계 이황의 사상과 퇴계학의 전개 / 김종석
- 제1절 퇴계 이황의 사상 형성과 그 해석
- 1. 기존 연구의 성과와 쟁점
- 2. 시대배경과 15·16세기의 정치상황
- 3. 이황의 공부 과정과 송명 사상의 수용
- 제2절 퇴계철학의 본질
- 1. 이황의 학술활동과 독자적 철학
- 2. 리발론과 퇴계철학의 독자성
- 3. 「성학십도」와 퇴계철학의 구조
- 4. 심통성정과 일상적 실천론
- 제3절 퇴계학파 형성과 퇴계학의 전개
- 1. 『도산급문제현록』과 학통제자
- 2. 주요 학통제자와 그 학문경향
- 3. 직전제자의 학문경향과 특징
- 제7장 남명 조식의 사상과 남명학파의 좌절 / 오이환
- 제1절 연구사와 생애
- 1. 기존의 연구
- 2. 조식 학문의 형성 과정
- 제2절 조식 사상의 본질
- 1. 실천유학의 전통
- 2. 실학의 이념
- 3. 독립불굴의 비판정신
- 4. 비성리학적 요소의 문제
- 제3절 남명학파의 전개
- 1. 참동계 논쟁
- 2. 『변무』의 출현
- 3. 『계암일록』 친필고
- 4. 『송정세과』와 『서행록』
- 제8장 율곡 이이의 사상과 율곡학의 전개 / 김경호
- 제1절 사상의 형성 배경
- 1. 기존의 평가와 연구 동향
- 2. 시대인식과 사상형성 과정
- 3. 학문 태도와 학문 경향
- 제2절 율곡 사상의 주요 쟁점
- 1. 대상세계의 본질에 대한 논의: 리무위와 리통기국
- 2. 마음과 본성의 본질에 대한 논의: 심시기와 기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