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 시기의 문화와 생활상을 조명하다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 -'식민지' 조선의 삶과 근대-

- 제목
-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 -'식민지' 조선의 삶과 근대-
- 저자
- 이준식 저
- 발행처
- 역사비평사
- 발행년도
- 2014-09-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해방 70주년을 앞두고 식민지 근대를 다시 생각해 본다. 근대의 문화와 삶을 들여다보며 식민지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수록내용
일제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 근대, 농촌사회의 변화와 농민의 생활상, 식민지 공업화·도시화의 빛과 그림자, 해외 이주민의 타향살이, 새로운 사상과 계층의 출현, 교육과 언론매체의 굴곡, 식민지 대중문화의 형성과 전환, 주요사건일지 등 수록
- 발간사_'20세기 한국사’를 완간하며
- 책머리에_식민지 근대의 양면성
- 01 일제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 근대
- 식민지 근대의 기본 성격
- 식민지 조선과 차별의 구조화
- 02 농촌사회의 변화와 농민의 생활상
- 농민층 양극화와 농민의 생활난
- 자본주의 상품경제의 침투와 농촌사회의 변화
- 사회관계의 변화
- 03 식민지 공업화·도시화의 빛과 그림자
- 식민지 공업화와 조선인 자본가·노동자의 존재양상
- 식민지 도시화와 도시 주민의 삶
- 스페셜 테마 : 서울 남산에 신사가 들어서다
- 04 해외 이주민의 타향살이
- 러시아 연해주 이주민의 카레이스키화
- 망국민에서 만주국인으로 바뀐 만주 이주민
- 식민지 종주국 일본으로 건너간 ‘조센징’
- 전시체제하에서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
- 05 새로운 사상과 계층의 출현
- 근대로의 다양한 사상적 모색
- 스페셜 테마 : 사회주의운동을 막기 위해 치안유지법이 제정되다
- 새로운 계층의 출현
- 06 교육과 언론매체의 굴곡
- 우민화 교육에서 황민화 교육까지
- 근대 언론매체의 등장과 변화
- 스페셜 테마 : 식민성과 근대성의 혼종 매체, 라디오 방송의 시작
- 07 식민지 대중문화의 형성과 전환
- 영화의 유행과 선전도구화
- 창가에서 친일가요로
- 스페셜 테마 : 전시동원체제하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
- 08 글을 맺으며_일제 식민지 지배의 유산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발간사_'20세기 한국사’를 완간하며
- 책머리에_식민지 근대의 양면성
- 01 일제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 근대
- 식민지 근대의 기본 성격
- 식민지 조선과 차별의 구조화
- 02 농촌사회의 변화와 농민의 생활상
- 농민층 양극화와 농민의 생활난
- 자본주의 상품경제의 침투와 농촌사회의 변화
- 사회관계의 변화
- 03 식민지 공업화·도시화의 빛과 그림자
- 식민지 공업화와 조선인 자본가·노동자의 존재양상
- 식민지 도시화와 도시 주민의 삶
- 스페셜 테마 : 서울 남산에 신사가 들어서다
- 04 해외 이주민의 타향살이
- 러시아 연해주 이주민의 카레이스키화
- 망국민에서 만주국인으로 바뀐 만주 이주민
- 식민지 종주국 일본으로 건너간 ‘조센징’
- 전시체제하에서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
- 05 새로운 사상과 계층의 출현
- 근대로의 다양한 사상적 모색
- 스페셜 테마 : 사회주의운동을 막기 위해 치안유지법이 제정되다
- 새로운 계층의 출현
- 06 교육과 언론매체의 굴곡
- 우민화 교육에서 황민화 교육까지
- 근대 언론매체의 등장과 변화
- 스페셜 테마 : 식민성과 근대성의 혼종 매체, 라디오 방송의 시작
- 07 식민지 대중문화의 형성과 전환
- 영화의 유행과 선전도구화
- 창가에서 친일가요로
- 스페셜 테마 : 전시동원체제하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
- 08 글을 맺으며_일제 식민지 지배의 유산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